효자
-
경상남도 창원 지역에서 부모를 지극하게 섬겨 향리에서 효자로 칭송되었거나 나라로부터 복호, 정려 등에 의해 효자로 인정받은 남자. 효는 자식으로서 마땅히 어버이를 섬기는 마음과 몸가짐이다. 공자의 가르침에 따르면 효(孝)란 부모를 공경하고 부모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 드리는 것이며, 예로써 제사를 받드는 것이라고 하였다. 경상남도 창원 일원의 조선 시대에도 이러한 덕목을...
-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감갑현의 본관은 회산(檜山). 자는 갑수(甲守). 회산감씨 시조 감규(甘揆)의 35세손이며 삼열공파(三烈公派)이다. 아버지는 감재춘(甘在春)이고, 어머니는 밀성박씨(密城朴氏)이다. 감갑현은 아버지의 병환을 6년간 지극한 정성으로 돌보았다. 그러나 백약이 효험이 없어 걱정하던 중 부인의 꿈에 신선이 나타나서 봉곡산 눈 속에...
-
조선 말기 창원 출신의 효자. 감화식(甘華植)의 본관은 회산(檜山). 자는 형관(亨寬), 호는 국포(菊圃). 회산감씨 시조 감규(甘揆)의 36세손이며 돈암공파(遯庵公派)이다. 아버지는 감태백(甘泰伯)이며, 어머니는 상산김씨(商山金氏)이다. 감화식은 어려서 아버지를 여읜 뒤 정성을 다하여 홀어머니를 봉양하였다. 어머니가 병환이 나면 온갖 약을 지어 올리는 등 그...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양. 이조 참의를 지낸 강기룡의 5세손이다. 강윤제(姜允齊)[?~?]는 아버지가 91세로 돌아가실 때까지 효성을 다한 효자이다. 성품이 순박하고 검소하였으며 용모가 의롭고 행동이 고결하였다. 부모를 모심에 정성을 다하였고 항시 부모의 뜻에 어긋남이 없이 지극히 하였다. 아버지가 사시는 동안 그 역시 늙고 쇠하였으나 정성으로...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강증흠(姜曾欽)은 강기룡(姜起龍)의 후손으로 성품이 어질고 효심이 깊었다. 부모를 모심에 그 직분을 다하니 인근 마을에서 그의 효행을 기려 여러 차례 상을 주었다고 한다....
-
조선 후기 창원 출신의 효자. 구명신의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현보(顯甫)이다. 부사공파(府使公派) 창원·용정 문중으로서 구설(具雪)의 14세손이다. 아버지는 구세봉(具世鳳)이다. 구명신은 묘소가 창원시 동읍에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 창원부(昌原府) 동면 일원(또는 대산면 일원)에 살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아버지가 병이 들자 지극한 효심으로 간호하던 중,...
-
조선 중기 창원 출신의 효자. 구석린의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성래(聖䚅), 호는 정람(情嵐). 승지공파(承旨公派) 전북(全北) 문중으로, 구설(具雪)로부터 14세 손이며, 봉암(鳳岩) 구정려(具廷呂)의 현손이다. 아버지는 구한웅(具漢熊)이다. 구석린은 당시 창원부 일원에 살았을 것으로 여겨지나 분명하지 않다. 어려서부터 효행이 지극하였다. 특히 부친이 세...
-
조선 말기 창원 출신의 효자. 구우서의 본관은 능주(綾州), 자는 치견(致見). 능주구씨의 시조 구존유(具存裕)의 25세손이다. 구우서는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를 온갖 지성으로 섬겼다. 모친이 병을 얻어 자리에 몸져누운 때는 한시도 모친의 병석을 떠나지 아니하고 정성껏 간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지성에도 불구하고 어머니의 병은 더욱 위중해 사경에 이르...
-
조선시대 창원 출신의 효자. 구정기의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우일(宇一). 전라병마절도사를 역임한 구복한(具復漢)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금송(琴松) 구재창(具在昶)이다. 구정기는 천성이 온건하고 평소 행동거지가 반듯하였다고 한다. 항상 『시전(詩傳)』의 「육아장(蓼莪章, 부모의 공을 노래한 대목)」을 읽었고 부모를 섬김에 있어 지체(志體)로 봉양하기에 힘썼...
-
조선 중기의 효자. 본관은 창원(昌原). 부사공파(府使公派) 동래 문중으로 구설(具雪)의 14세손이다. 아버지는 구득룡(具得龍)이다. 구주성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아버지가 병을 얻어 일어나지 못하자 손가락을 잘라 관혈하여 소생케 하였다. 효행이 향리에 널리 알려져 조정에서 정려를 내려 효의 귀감으로 삼았다. 이러한 내용이『창원시사』에 기록되어 있다. 묘소는...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권규열의 본관은 안동이며, 효자로 이름난 진전면 오서리 입향조인 권용현(權龍見)의 후손이다. 권규열(權奎烈)[?~?]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남달랐다. 부모님께서 진노하심이 있으면 웃음으로 다가서서 다시 기쁜 얼굴이 되도록 하였다. 장성하여서는 몸소 고기를 잡고 사냥을 하여 부모님을 봉양하니 입맛에 맞지 않음이 없었다. 아버...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권방희는 본관은 안동. 호는 기정(淇亭). 효자로 이름난 권용현(權龍見)의 후손이다. 권방희(權邦熙)[?~?]는 아버지께서 병이 들어 십년이 넘도록 일어나지 못하자 항상 곁에서 시중을 들면서 숟가락과 젓가락을 들고 있으면서 밥을 번갈아 먹으면서도 잠시도 곁을 떠나지 않았다. 항상 변을 맛보아 그 병의 차도를 살폈다. 상을...
-
조선 중기 진해현[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출신의 효자.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기이(紀爾), 호는 월암(月巖)이다. 권세형(權世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권식(權栻)이고 아버지는 권응경(權應慶)이며, 어머니는 영암 최씨 최종언(崔宗彦)의 딸이고, 부인은 월성 이씨 이직(李稷)의 딸이다. 권용현(權龍見)[1632~1714]은 하늘에서 내린 정성스런 효심으로...
-
조선 중기 창원 출신의 효자. 권을의 자는 차갑(次甲). 아버지는 권준영(權俊英)이다. 이름은 을미년(1595)에 태어났기 때문에 ‘권을(權乙)’이라고 불렀던 것이 굳어진 것이라 한다. 『미수기언(眉叟記言)』에는 창원군 상남면[현 상남동] 바닷가 사람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세거지, 문중, 후손 등은 확인되지 않는다. 권을은 조선 선조 대에 창원도호부 서쪽 회원(...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권정래의 본관은 안동. 호는 모헌(慕軒)이다. 효자로 이름 난 권용현(權龍見)의 증손이다. 권정래(權正來)[?~?]는 영특함이 뛰어나 특별한 재능이 있었다. 부모를 봉양함에 지극한 정성으로 효를 다하였다. 부모의 상을 당하자 죽으로 연명하였다. 「이십명(二十銘)」을 지어 자손들을 경계하였다고 하나 전해지지 않는다. 나라에...
-
조선 후기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권중엄의 본관은 안동, 자는 덕보(德甫), 호는 농계(農溪). 월암 권용현의 후예로 할아버지는 권기(權璣)이고 아버지는 권정래(權正來)이며 부인은 함안 이씨 이익종(李益宗)의 딸이다. 권중엄(權重儼)[1748~1830]은 학문에 힘썼고 효를 행함에 돈독하였다. 어려서 어머니의 상을 당하였을 때 예를 다하여 장례를 치렀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김경련(金慶鍊)[?~?]의 본관은 광산. 호는 홍재(虹齋)이다. 타고난 성품이 지극히 효성스럽로 우애로왔다. 삼년 동안 부친의 병을 수발하면서 대변을 맛보아 그 차도를 살폈고 허벅지의 살을 베어 먹이는 등의 효도를 다하였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김경호(金璟浩)의 본관은 안동, 호는 학고(鶴皐)이며, 지극한 효성으로 고을에 이름이 높아 향리의 칭송과 포상이 있었다....
-
조선 후기 창원 출신의 효자. 김만경의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중약(仲若), 호는 괴희자(愧喜子). 사정공파(司正公派)의 15세손으로 김귀(金龜)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김시진(金時振)이다. 직계 후손의 거처는 알 수 없으며, 방계 후손들이 경상남도 창원시 동읍 화양리 곡목마을 등에 거주하고 있다. 김만경은 현 경상남도 창원시 동읍 화양리 곡목마을에 살면서...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김산은 김해(金海) 김씨로 문민공(文愍公) 김일손(金馹孫)의 후손이다. 호는 시락재(時樂齋)이며 성품이 어질고 효심이 깊었다. 부모의 상(喪)을 당하여서는 여묘살이를 6년 동안 하였는데 너무 애통한 나머지 눈물을 흘리며 슬프게 울었더니 묘(墓) 주변의 나무들이 말라 죽었다. 만년(晩年)에 고성(古城) 아래 정자(亭子)를 짓고 ‘시락...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김성환(金成煥)은 선산(善山) 사람으로 수사(水使) 김치형(金致亨)의 후손이다. 성품이 어질고 효심이 깊었다. 부모가 병이 깊자 대변을 맛보며 병세를 살폈으며 손가락을 잘라 그 피를 마시게 하여 생명을 연장시켰다. 마을의 선비들이 그의 효행을 기려 포상(襃賞)을 청(請)하였다. 진사(進士) 허채(許採)가 시문(詩文)을 지어 그의 효...
-
조선 후기 창원 출신의 효자. 김우진의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성겸(聖謙). 김해김씨(金海金氏) 삼현파(三賢派)의 5세손인 절효(節孝) 김극일(金克一)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김치영(金致永)이며, 아들은 효자로 이름난 김창용(金昌瑢)이다. 후손들이 창원시 일원과 타지에 거주하고 있다. 김우진은 창원군 상남면 지귀리[현 경상남도 창원시 지귀동]에서 살았는데,...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김유식(金有軾)은 김해 김씨로 효성스런 행실이 탁월하였다. 어려서 어머니를 잃고 아버지를 모심에 지극 정성을 다하였다. 계모가 들어오자 더욱 효성을 다하였는데 아버지는 98세의 천수를 누렸다. 매번 부친이 병이 들면 하늘에 기도하였다. 부친이 돌아가시니 삼년을 묘 곁에 여막을 짓고 시봉하였다. 조선 영조 때 좌랑(佐郞)에 증직되고...
-
조선 후기 창원 출신의 효자. 김응구(金應九)[?~?]는 부모를 모심에 지극한 정성을 다하였다. 효행은 예를 갖춘 것이었고 봉양함에도 마찬가지였다. 부모가 돌아가심에 상례와 장례를 치름에도, 소상(小祥)과 대상(大祥)에도 법도에 맞게 행함이 한결같았다. 장례 기간 동안 피눈물을 흘리며 삼년상을 치렀고 여막(廬幕)을 떠나지 않았다고 한다....
-
조선 후기 창원 출신의 효자. 김이창의 이름에 ‘창(昌)’이라는 항렬자가 있는것으로 보아 김해김씨(金海金氏)이고, 1700년대 인물로 추측될 뿐이다. 김이창은 현재의 경상남도 창원시 북면 내곡리에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버지가 병중에 있을 때 약을 구하여 오다가 동구에서 폭우를 만나 개천을 건널 수 없게 되었다. 이에 김이창이 하늘을 올려다 보며 통곡을 하...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진해 지역의 효자. 김정한(金正漢)[?~?]은 조선 시대 진해 지역에 살았던 효자로 부모를 섬기는 효성이 지극하였다. 하루는 부친이 병상에 있을 때 추운 겨울임에도 병환 중의 부친을 위해 연못에서 얼음을 깨어 고기를 잡아 드리고 눈이 쌓인 골짝에 산나물도 캐내어 드리면서 쾌유를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였다. 간병을 위한 정성에도 병세가 위독해지자 변(便...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김제주(金濟周)[?~?]의 초명(初名)은 하정(夏鼎)이며, 김무조(金武祚)의 증손자이다. 부모를 모심에 효성이 지극하였다. 아버지가 나이가 들어 시력을 잃을 뻔하자 여러 가지 약초를 구하여 지극 정성으로 탕약을 만들어 봉양하니 시력을 회복하였다. 마을의 선비들이 감동하여 그 효행을 기록하여 관청(官廳)에 고하니 관청(官廳)에서 그의...
-
조선 후기 창원 출신의 효자. 김창용의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내언(乃彦). 김해김씨(金海金氏) 삼현파(三賢派)의 5세손인 절효(節孝) 김극일(金克一)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역시 효자로 이름난 김우진(金禹振)이다. 김창용은 창원군 상남면 지귀리[현 경상남도 창원시 지귀동]에서 살았다. 아버지의 효행을 이었으므로 향리에서 ‘대를 이은 효자’가 났다고 칭송을...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지역의 효자. 김택윤(金澤潤)[?~?]은 본관은 광산으로 부모를 모심에 정성을 다하였고 계모를 받듦에도 지극 정성으로 봉양하였다. 여러 아우들도 그의 효행을 본받아 혼정신성(昏定晨省)의 범절을 행하였고 항상 입에 맛는 음식을 봉양하는데 정성을 그치지 않으며 좋아하는 것은 어떻게든 구해서 드렸다. 계모도 그러한 정성에 감복하였다....
-
조선 후기 창원 출신의 효자. 김필서는 영조·정조 대에 창원대도호부에 살았던 것으로 여겨지나 분명하지는 않다. 부모를 지극하게 봉양하였으며, 돌아간 후에도 생전과 같이 예를 다하였다. 특히 자신이 늙어서까지 풍우한서(風雨寒暑)에도 부모 묘소를 살피는 일을 조금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사후에 효행이 널리 알려져 공조참의에 추증되었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김하정(金夏鼎)은 김해 김씨로 지극한 효심으로 부모를 봉양하니 탁월한 이적이 있었다. 그의 처 강씨와 더불어 부모를 봉양함에 예를 다하였다. 그 아비가 나이가 연로하여 날로 눈이 어두워져 사물을 잘 볼 수 없게 되었다. 어떤 사람이 와서 말하기를 ‘새의 간을 눈에 넣으면 눈이 밝아진다.’고 하였다. 상을 차려놓고 하늘에 기도하며 정...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김학규(金學圭)[?~?]는 김주(金澍)의 후손으로 호는 죽암(竹菴)이다. 아버지가 병이 깊자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 그 피를 마시게 하여 생명을 연장시켰다. 아버지의 상(喪)을 당하여서는 매우 애통한 나머지 몸을 상하여서 하마터면 목숨을 잃을 뻔도 하였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김학엽(金學曄)[?~?]의 본관은 안동, 호는 묵재(黙齋)로 효성스러운 성품과 우애로운 행실로 고을에 이름이 높아 칭송이 자자하였다....
-
일제강점기 창원 출신의 효자. 김현구의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치성(致聲), 호는 회은(檜隱). 김해김씨(金海金氏) 경파(京派) 70세손이다. 아버지는 김주식(金周植), 동생은 김현세(金顯世)·김현영(金顯永)이다. 김현구의 후손들이 경상남도 창원시 북면 상천리 일원과 타지에서 살고 있다. 김현구는 어릴 때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아침저녁 부모에게 문안을 잊지...
-
일제강점기 창원 출신의 효자. 김현세의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익성(益聲). 김해김씨(金海金氏) 경파(京派) 70세손이다. 아버지는 김주식(金周植), 형은 김현구(金顯昫), 아우는 김현영(金顯永)이다. 김현세의 후손들이 경상남도 창원시 북면 상천리 일원과 타지에서 살고 있다. 김현세의 효행과 관련된 기록과 구전은 ‘효행이 특이하였다’ 정도이다. 형 김현구의...
-
조선 전기 창원 출신의 효자. 김효량은 15세 때에 아버지 김득예(金得裔)가 악질에 걸려 낫지 않자, 산 사람의 뼈가 가장 좋다는 말을 듣고 자신의 왼손 무명지를 끊어서 피를 약에 타서 병구완하여 아버지의 병을 낫게 하였다. 효행이 향리에 널리 알려져 세종 때에 조정에서 정려를 내리고 조세와 요역을 면제하였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삼형제. 김희광(金喜光)·김희철·김희현 삼형제는 어머니를 봉양함에 삼형제가 함께 맛난 음식으로 봉양하며 지극정성을 다하였다. 어머니가 병이 들자 어머니의 대변을 맛보며 병세를 살폈으며, 서로 번갈아가면서 손가락을 잘라 그 피를 마시게 하여 병세를 호전시켰다. 어머의 상(喪)을 당하여서는 함께 여묘살이를 하였다. 향도(鄕...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박상구(朴祥龜)[?~?]는 밀양 박씨로 천성이 효성스러웠다. 부친의 병에 손가락을 잘라 피를 먹여 소생시켰다. 아버지의 상을 당하여 피눈물을 흘리며 삼년상을 치렀다. 어머니의 병에 하늘에 기도하니 새가 날아와 환약을 뱉어 그 약으로 소생시켰다. 문장과 학행이 뛰어났다. 당시 진해에 유배와 있던 김려(金鑢)가 그의 문행(文行)을 인정...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지역의 효자. 박서구(朴瑞龜)의 호는 구암(龜菴)으로 천성이 효성스러웠다. 아버지가 병으로 위독하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흘려 넣어 소생시켰다. 또한 변을 맛보아 병의 차도를 살폈다. 아버지가 돌아가신지 3년이 지난 뒤 다시 어머니가 병져 누우니 하늘에 제를 드리고 칠성에 빌어 낫기를 청하였다. 어느날 문득 한 마리의 새가 날아와 입에 환약을 물고...
-
조선 중기 진해현[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출신의 효자.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자는 성즉(聖則), 호는 묵은(默隱)이다. 박의징(朴義徵)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박사덕(朴師德)이고 아버지는 박중무(朴重茂)이며, 어머니는 안동 권씨 권몽래(權夢來)의 딸이고 부인은 함안 조씨 조중혁(趙仲赫)의 딸과 진양 강씨 강기환(姜基煥)의 딸이다. 박수민(朴守敏)[1785~185...
-
조선 전기 창원 출신의 효자. 박시명은 1400년대 후반 창원도호부 사화(沙火)[현 경상남도 창원시 사화동]에 살았는데, 당시 참봉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타고난 성품이 순후하여 어릴 때부터 부모의 마음을 받들어 효를 다하였다. 27세에 무과에 응시하여 출사하려 하였으나, 때마침 어머니가 병을 얻어 출사의 뜻을 접고 어머니를 봉양하였다. 어머니가 93세에 죽자 매우 애통...
-
조선 전기 창원 출신의 효자. 박정견은 조선 성종·연산군조에 창원도호부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연산군 때 상기(喪期)을 짧게 제한하는 법이 엄하였음에도 연이은 부모상에 3년간 최복(衰服)을 입어 애도했으며, 상을 마친 후에도 초하루와 보름에 전(奠)을 올리는 예를 그만두지 않았다 한다. 1510년(중종 5) 경상도관찰사 강혼(姜渾)의 장계에 의해 정려가 내려졌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지역의 효자. 박종징(朴宗徵)[?~?]의 본관은 밀양이고 효행은 하늘에서 타고난 것이었다. 아버지가 병이 들어 혼미하자 대신하기를 하늘에 청하였다. 그 고을에 한 노인이 와서 이 병에 살아있는 해삼이 좋은 약제가 된다고 하자 바닷가에 가서 울면서 호소하니 문득 백 여 마리의 해삼이 스스로 모래밭으로 올라와 잡혔다. 날이 이미 어두워졌는데 큰 호랑...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백우진(白瑀鎭)은 호는 야은, 본관이 수원으로 부친이 병들어 잉어와 꿩을 먹고 싶어 하니 강가에 나아가 울면서 기도하니 잉어가 얼음 위로 뛰어 올랐고 꿩이 날아와 잡히는 이적이 일어났다. 밤을 새워가며 약을 구할 때면 항상 호랑이가 따라 다니며 호위하였고 개를 물어다 주는 이적도 일어났다. 나라에서 그 효성에 감동하여 정려를 내렸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지역의 효자. 서신재는 달성 서씨이며, 부모를 봉양함에 뜻에 어긋남이 없었고 예를 다하였다. 부친의 병들자 하늘에 기도하여 낫기를 빌었고 변을 맛보아 병의 차도를 살폈다. 여러번 돌아가실 뻔할 때마다 정성을 다하여 소생시켰다. 상을 당함에 날마다 묘소에 나아가 성묘를 하였다. 묘 아래에는 큰 냇물이 있었는데 하루는 큰 비가 내려 물이 불어나 갈...
-
조선 후기 경상남도 진해 출신의 효자. 서지순(徐志淳)[1734~1801]은 23세 때 웅산에서 내려온 한 마리의 범이 군졸과 읍민에게 쫓겨 지금의 웅천 1동인 망덕리(望德里)로 와서 뜻밖에 그의 부친을 물고 말았다. 이를 본 서지순은 낫으로 범을 찔러 죽였다. 그러나 부친의 상처는 쉽게 아물지 않았으며 죽은 범의 암컷이 마을에 내려와서 사람들을 위협하였다. 이에 서지순...
-
조선 후기 창원 출신의 효자. 안세인은 1700년대 현 경상남도 마산시 내서읍 안성리에서 살았다. 효행이 돈독하여 아버지가 죽은 후 애도하고 사모하는 마음을 헤아릴 길이 없어 하늘에다 부르짖어 애통함을 달랬다. 그 연유로 향리 사람들이 호천재(呼天齋)라고 불렀다 한다. 경상도에서 조세와 요역을 면제하였다....
-
조선시대 경상남도 진해 지역의 효자. 어경덕(魚敬德)[?~?]은 조선 시대 진해 지역에 살았던 효자로 어려서는 물론이고 어른이 되어서도 부모를 섬기는 효성이 지극하였다. 어느 날 아버지가 전선대장(戰船代將)으로서 전선을 타고 군사 훈련에 참가했다가 뜻밖에 실화(失火)로 익사하였다. 그도 따라 죽으려고 몸을 바다에 던졌으나 문중 사람에게 발견되어 구출되었다. 어경덕은 그...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지역의 효자. 본관은 파주. 효자로 호조 좌랑에 증직된 염범(廉范)의 아들이다. 염상유(廉尙儒)는 부모를 모심에 뜻에 어긋남이 없었고 예법에 맞게 하였다. 상을 당할 때에도 그러하였고 제사를 모실 때에도 역시 예법에 맞게 하였다. 대대로 효성을 이어갔다. 나이 팔십에 별세하니 고을의 많은 선비들이 향교에 글을 올렸다. 그 글에 “우리 고을에 자손...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오국명은 본관은 해주(海州). 전서(典書) 오광연(吳光延)의 후손이며. 호는 농은(農隱)이다. 오국명(吳國命)[?~?]은 성품이 어질고 효심이 깊어 부모를 모심에 맛난 음식으로 봉양하였다. 부모의 상(喪)을 당하여서 여묘살이를 하였는데 호랑이가 와서 그를 보호해 주었다. 마을 사람들이 그의 효심을 칭찬하고 권장하여 상을 주...
-
조선 후기 창원 출신의 효자. 오이원의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감발(甘發), 호는 이수(以秀). 충정공(忠貞公) 오윤겸(吳允謙)의 8세손이자 병조판서 서파공(西波公) 오도일(吳道一)의 5세손이다. 아버지는 오태성(吳泰聖)이다. 현재 후손들이 경상남도 창원시 동읍 용강리 일원에 살고 있다. 오이원은 7세 때에 모상(母喪)을 당하였다. 이 후 어머니에 대한 예...
-
조선 전기 창원 출신의 효자. 옥석견의 본관은 의령(宜寧). 의령옥씨(宜寧玉氏)의 14세손이며 감사공파(監司公派)이다. 아버지는 옥수(玉壽)이다. 후손들이 경상남도 창원 지역 일원과 타지에서 살고 있다. 옥석견은 창원도호부 불천(佛川)[현 경상남도 창원시 동읍 용잠리 인근]에 살았다. 어릴 때 아버지가 죽어 가난하였으나 별미가 생기면 가슴에 품고 와서 어머니를...
-
조선 후기 창원 출신의 효자. 유광익(柳光益)의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국서(國瑞). 문화유씨 시조 유차달(柳車達)의 29세손으로 좌상공파(左相公波)이다. 아버지는 유정문(柳正文)이며, 어머니는 해주오씨(海州吳氏)이다. 유광익은 농부에 불과했지만 효행이 극진하여 친상 중에 죽으로 연명하면서 여막살이를 하였다. 묘소는 경상남도 창원시 동읍 가월리 화산(花山)...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유기원(柳基元)은 유상모(柳相模)의 아들로 호는 모헌(慕軒)이다. 아버지가 병이 깊자 잉어를 구하여 봉양하려 하였다. 밤에 깊은 계곡을 건너는데 호랑이가 나타나 길을 인도하여 주었다. 마침내 잉어를 구하여 봉양하니 효험이 있었다. 마을에서 칭찬하여 상을 주었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유복규(柳復奎)의 본관은 문화(文化), 호는 은민재(隱民齋)로 좌상(左相) 유만수(柳曼殊)의 후손이다. 은거(隱居)하면서 학문에 힘썼다. 여덟 개의 잠언(箴言)을 지어 스스로의 경계로 삼았다. 부모를 모심에 효성이 지극하였다. 집이 가난하였지만 물고기를 잡고 땔감을 팔아 항상 맛난 음식으로 부모를 봉양하였다. 부모가 병이 들자 대변...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진해 출신의 효자. 윤치언(尹致彦)은 조선 시대 진해 지역에 살았던 효자로 부모를 섬기는 효성이 지극하였다. 부모 섬기는 효성이 지극하여 집에 기르는 개도 그의 효심을 알고 그를 도왔다. 어느 날 외출하였을 때 집안에 급한 일이 있어서 그 아버지가 아들을 찾으니 집에 기르던 개가 그 뜻을 알아차리고 아들이 있는 곳으로 달려가서 신발을 물고 짖어대니 그...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이강영(李康榮)[?~?]은 이정현(李廷賢)의 조카로 성품이 어질고 효심이 깊었다. 부모를 모심에 있어 몸과 마음을 항상 바르게 하였다. 부모의 병이 깊자 병을 낫게 해달라고 하늘에 기원하였다. 상(喪)을 당하여서는 3년 동안 머리를 풀어 내리고 지냈으며 날마다 하루도 빠지지 않고 부모의 묘소를 살폈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이경혁은 이일장(李日章)의 후손으로 호는 모헌(慕軒)이다. 성품이 어질고 효심이 깊었다. 부모의 상(喪)을 당하여서는 날마다 묘소를 살피며 슬프게 울면서 심히 애통해 하였다. 또 그는 독서를 좋아하였다. 마을에서 그의 효행을 칭찬하고 권장하여 상을 주었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지역의 효자. 이경화(李璟華)[?~?]는 본관은 성주. 호는 은우(隱隅)이며 고성 현감을 지낸 이일장(李日章)의 후손이다. 이경화는 학문이 높고 효행이 돈독하였다고 한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지역의 효자. 이국로는 본관은 성주. 호는 이촌(梨村). 이일장(李日章)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이세갑(李世甲)이다. 이국로(李國魯)[?~?]는 타고난 품성이 효성스러웠다. 그의 아버지가 찹쌀떡을 좋아하여 매년 2두락 밭에 찹쌀을 심었는데 갑술년 여름 가뭄에 벼 이삭이 말라가게 되었다. 하늘을 우러러 울며 기도하니 하늘에서 홀연히 소나기가...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지역의 효자. 이기린(李起麟)[?~?]은 부모를 모심에 지극히 효성스러웠고 예를 갖추어 봉양하였다. 부친의 병에 손가락을 잘라 피를 먹여 소생시켰다. 상을 당함에 관을 부여안고 통곡함이 마치 어린아이가 어미를 잃은 듯하였다. 이 때 나이가 66세였다. 초상에 예를 다하여 치름이 모두 예법에 합당하였고 삼년상을 치르는 동안 죽을 먹으며 지내 얼굴이...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이기백(李起伯)[?~?]은 성주 이씨 이국로(李國魯)의 손자로 호는 경와(耕窩)이다. 효심이 깊고 우애가 돈독하였다. 아버지의 상을 당하여서는 날마다 묘소에 들렀다. 간혹 홍수가 들어 묘소에 가지 못할 때에는 해안가에 가서 묘소를 바라보며 절을 하였다. 겨울에 눈이 내려 쌓이면 반드시 빗자루를 가지고 가서 쓸었는데 종신(終身)토록...
-
창원 출신의 효자. 이득희는 『창원군지』 등에 효행 내용이 전승되고 있는 것을 보아 창원시와 연고가 있는 인물로 추정된다. 17세 때 어머니가 괴질을 얻어 눕지도 일어나지도 못하고 음식을 자유로이 먹지 못하자 한시도 옆을 떠나지 않고 정성으로 봉양하였다. 또한 부인 박씨도 지아비와 같이 효성이 지극하여 30년을 하루같이 시어머니를 봉양하였다. 향리에서 효자·효...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이명모(李命模)[?~?]는 이춘혁(李春赫)의 증손으로 호는 낙계제(樂溪齊)이다. 어려서부터 효심이 깊어 어머니를 모심에 맛난 음식으로 극진히 봉양하였다. 어머니의 상(喪)을 당하여서는 예(禮)를 다하여 통곡하였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추모하며 삼년 동안 상복을 입었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 지역 출신의 효자 이백도(李伯道)[?~?]는 어려서 아버지의 마마병을 입으로 빨아 낫게하고 장성하여 처 강씨와 함께 부모를 정성으로 모셨다. 아버지 나이 팔십에 종기가 생기자 부부가 번갈아 빨아내어 치유하였다. 또 어머니께서 병으로 위독하자 손가락을 잘라 소생시켰다. 상을 당함에 매일 세 차례 성묘하고 곡을 하며 삼년상을 치루었다. 고을의...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지역의 효자. 이부화는 본관은 성주. 고성 현감을 지낸 이일장(李日章)의 후손이다. 이부화는 아버지가 병으로 7년을 누워 지냈는데 그 동안 온갖 정성을 다하여 끝내 소생시켰다. 상을 당하여 삼년동안 여묘살이를 하였다....
-
조선 후기 창원 출신의 효자. 이석년의 본관은 경주(慶州). 할아버지는 이성문(李聖門), 아버지는 이순적(李順迪)이다. 이석년은 정려비의 비문에 비추어 볼 때 1700년대 인물로 여겨진다. 당시 창원부 상남면 신덕리[현 경상남도 창원시 토월동]에 살면서 손수 농사를 지어 부모님을 봉양하였다. 어머니가 죽자 지극 정성으로 상을 치렀다. 아버지가 병이 나서 자리에...
-
조선 후기 창원 지역의 효자. 이응록(李應祿)[?~?]은 타고난 성품이 효성스럽고 우애로왔다. 부모를 모심에 있어 예법과 도리가 있었다. 향촌에서는 그의 효성과 행실에 대해 칭송이 높았다. 고을의 사람들이 이응록의 효성과 행실을 높이 기려 칭송하였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이찬휘(李贊輝)[?~?] 는 이보(李𥙷)의 후손으로 성품이 어질고 효심이 깊었다. 집이 가난하였지만 맛난 음식으로 부모를 극진히 봉양하였다. 부모가 병이 들자 산에 들어가 백일 동안 기도를 드리는데 호랑이가 문득 나타나 이찬휘를 보호하였다. 마침내 영약(靈藥)을 얻어 봉양하니 효험을 보았다. 상(喪)을 당하여서는 극진히 예(禮)를...
-
조선 후기 창원 출신의 효자. 임림(林淋)의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의중(義仲). 나주임씨 시조 임비(林庇)의 25세손이며 장수공파(長水公派)이다. 아버지는 임성립(林星立)이고, 아들은 임윤국(林潤國)이다. 임림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는데, 아버지의 병이 깊어서 매우 위급한 지경에 이르자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서 주혈을 하여 회생시키기도 하였다. 나중에...
-
조선 후기 창원 출신의 효자. 임성립의 본관은 나주(羅州). 나주임씨(羅州林氏) 시조 임비(林庇)의 24세손이며 장수공파(長水公派)이다. 아들은 임빈(林彬), 손자는 임윤국(林潤國)이다. 후손들이 경상남도 창원시 동읍 용강리 일원에 살았으나 지금은 타지로 이주해 살고 있다. 임성립은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편모슬하에서 자랐으나 효성이 지극하였다. 14세때 어머...
-
조선 후기 창원 출신의 효자. 임윤국의 본관은 나주(羅州). 나주임씨(羅州林氏) 시조 임비(林庇)의 26세손이며 장수공파(長水公派)이다. 할아버지는 임성립(林星立), 아버지는 임빈(林彬)이다. 후손들이 경상남도 창원시 동읍 용강리 일원에 살았으나 지금은 타지로 이주하였다. 임윤국은 할아버지와 백부, 아버지로 이어진 효문에 태어났는데, 선대의 효행을 이어 받아...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임윤홍(林潤弘)[?~?]은 성품이 어질고 효심이 깊었다. 어머니가 병이 들었을 때 손가락을 베어 그 피를 마시게 하여 소생시켰다. 아버지가 병이 들어 겨울에 배[梨]를 먹고 싶다고 하자 배를 구할 수 없어 수풀 아래에서 통곡하였는데 홀연히 여러 종류의 배가 낙엽더미에서 나왔다. 그것을 가지고 돌아와 봉양하였다. 상(喪)을 당하여서는...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진해 출신의 효자. 정창진(鄭昌鎭)[?~?]은 양경공(良景公) 정희계(鄭熙啓)의 후손으로 성품이 어질고 효심이 깊었다. 아버지가 병이 들자 하늘에 기도하면서 손가락을 잘라 그 피를 마시게 하여 병세를 호전시켰다. 어머니가 병이 깊을 때도 그렇게 하였고, 6년 동안 탕약(湯藥)을 달여 봉양하였다. 마을에서 여러 번 그 효행을 기록하여 포상(襃賞)을 청하...
-
조선 시대 창원 지역의 효자. 본관은 진양이다. 정필형(鄭弼衡)[?~?]은 어린 나이에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를 모심에 정성을 다하였다. 어머니의 상을 당함에 3년을 여묘 살이를 하였고 아버지의 상을 당한 것에 정성을 다하지 못한 것을 더하여 6년간 복을 입었다고 한다. 나라에서 정려를 내렸다....
-
조선 중기 창원 출신의 문신이자 효자. 조광익(曺光益)[1537~1578]의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가회(可晦), 호는 죽와(竹窩)·취원당(翠遠堂). 아버지는 조윤신(曺允慎)[1511~1571]이고, 어머니는 인동장씨(仁同張氏)[?~1572]로 선략장군(宣略將軍) 장중우(張仲羽)의 딸이다. 경상남도 창원시 북면 지개리에서 다섯 아들 가운데 둘째로 태어났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자. 조성학(趙性學)[?~?]은 부모를 모심에 효심이 지극하였다. 어머니가 병이 들자 대변을 맛보며 병세를 살폈으며 병을 낫게 해달라고 하늘에 기원하였다. 마을의 선비들이 여러번 조성학의 효행을 기록하여 포상(襃賞)을 청하였다고 한다....
-
조선 시대 창원 지역의 효자. 조윤사(曺允師)[?~?]는 용모와 행실이 높고 단정하며 문장과 덕행이 다른 사람들보다 걸출하였다. 부모를 모심에 지극하여 아침저녁으로 문후하는 일을 조금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오랜 병으로 누워계실 때 약탕을 손수 달여 봉양하였고 아침저녁으로 변을 맛보아 병의 차도를 시험하였다. 임종을 맞이하여 손가락을 잘라 피를 흘려 넣어 회생하게 하여...
-
조선 시대 창원 지역의 효자. 조창복(曺昌復)[?~?]은 어려서부터 천성이 효성스럽고 우애로웠다. 집의 살림이 지극히 가난하였으나 부모를 봉양함에는 부자와 같이 넉넉히 하였다. 아버지가 병들자 육 년을 하루같이 탕약을 달여 받들고 입에 맞는 음식을 구해 봉양하며 한결같은 마음으로 조금도 게을러지지 않았다. 양친의 상을 당하였을 때에도 조금도 예법에 어긋남이 없었다....
-
조선 시대 진해 출신의 효자. 주병석(朱秉奭)[?~?]은 부모님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다. 어느 날 주병석이 부친의 약을 지어 돌아오는 밤길에 큰 발티 고개에서 범이 주병석의 효심에 감응하여 길을 비켜준 일이 있었다. 또한 집안의 밭에 인삼이 저절로 자라는 일도 있어서 위독한 부친의 병환에 그 인삼을 써 쾌유하게 되었다. 그로부터 아버지는 83세에 이르도록 장수하였다....
-
조선 말기와 일제강점기의 효자. 주정원의 본관은 신안(新安)이고, 자는 재삼(在三), 호는 국정(菊井)이다. 신안주씨(新安朱氏)의 시조 주희(朱熹)의 30세손이며 웅천파(熊川派)이다. 아버지는 주봉갑(朱鳳甲), 부인은 문씨(文氏)이다. 후손들은 경상남도 진해시 일원에 거주하며 기제를 지내고 있다. 주정원은 당시의 창원부 진해면[현 경상남도 진해시 석동 일원]에...
-
조선 시대 진해 출신의 효자. 주한혁(朱漢奕)[?~?]은 사람됨이 순수하고 부지런하며 신중하였다. 집안에서는 효자로 사람됨이 세속에 물들지 않고 매사를 삼가고 부모님 생전에 효성도 지극하였다. 돌아가신 뒤 무덤 옆에 막을 짓고 3년의 시묘(侍墓)를 하는 동안에도 그 정성이 지극하여 고을 사람들이 모두 감복하였다. 1618년(광해군 10) 나라에서 그의 행실을 기려 정문(...
-
일제강점기 창원 출신의 효자. 팽붕석(彭鵬錫)의 본관은 절강(浙江). 자는 우칠(禹七), 호는 효우당(孝友堂). 절강팽씨 시조 팽우덕(彭友德)의 10세손으로 아버지는 팽화일(彭華日)이고, 어머니는 분성배씨(盆城裵氏)이다. 『절강팽씨세보(浙江彭氏世譜)』에 의하면, 족명은 관석(寬錫)이고 속명은 봉석(鳳錫)이다. 팽붕석은 효행이 극진하였으며, 효행으로 이적이 있었...
-
조선 시대 창원 지역의 효자. 본관은 청주. 호는 농은(農隱)이다. 한경유(韓敬維)[?~?]의 아버지가 기이한 병이 들어 눕자 10년을 하루같이 탕약을 달여 올렸으며 모든 음식을 입에 맞게 정성을 들여 마련하였다. 어느 더운 여름날에 물고기를 잡아가는데 왜가리 한 마리가 물고기를 물고 날아갔다. 그가 울면서 호소하니 다시 돌아와 물고기를 떨어뜨리고 갔다. 겨울에 또한 얼...
-
조선 시대 창원 출신의 효자. 한철충(韓哲冲)의 후손이다. 한광택(韓光宅)[?~?]은 성품이 어질고 효심이 깊었다. 부모를 모심에 기쁜 마음으로 섬겼으며, 상(喪)을 당하여서는 눈물을 흘리며 슬프게 울었다. 아침저녁으로 부모의 묘소를 찾아 살폈는데 비바람이 부는 날에도 항상 성묘(省墓)를 하였다고 한다....
-
조선 후기 창원 지역의 효자. 한도원(韓道源)[?~?]은 아우 한필원(韓必源)과 더불어 형제가 모두 효도를 다하였다. 아버지가 병이 들어 위독하자 형제가 함께 허벅지 살을 베어 먹였다. 상을 당하자 장례를 치르는 동안 같이 여묘(廬墓) 살이를 하였다. 고을에서 한씨 형제 효행을 높이 기려 여러 번 포상을 청하는 장계를 올렸다....
-
조선 시대 창원 출신의 효자. 한필원(韓必源)[?~?] 은 부모에 대한 효심이 깊었다. 아버지가 병이 들자 허벅지의 살을 베어 내어 봉양하였으며, 상(喪)을 당하여서는 함께 여묘 살이를 하였다. 향도(鄕道)에서 여러 번 그 효행을 기록하여 포상(襃賞)을 청하였다....
-
조선 시대 창원 출신의 효자. 본관은 김해(金海). 호는 근와(謹窩)이다. 허준(許鎨)[?~?]은 성품이 어질고 효심이 깊었다. 부모의 상(喪)을 당하여서는 극진히 예(禮)를 다 하였고, 3년 동안 부모의 묘소를 찾아 살폈다. 비바람이 불어도 그 일을 그치지 않았는데 절을 한 자리에 구덩이가 파졌다. 이종기(李鍾杞)와 김도화(金道和) 문중(門中)에 유학하여 경서(經書)와...
-
조선 후기 창원 지역의 효자. 호는 임헌(林軒). 할아버지는 황상옥(黃尙鈺)이며 아버지는 황재하(黃再河)이다. 황심(黃審)[?~?]은 부모를 섬김에 지극한 효성을 다하였다. 음식을 봉양함에 입맛에 어긋남이 없었다. 상을 당함에도 예를 다하여 장례를 치렀고 삼년상을 치르는 동안 날마다 곡을 하여 피눈물을 흘렸다. 또한 경서를 공부하고 예학을 익히는 것을 좋아하였다....
-
조선 중기 창원 출신의 효자. 황하룡은 조선 성종·연산군 대에 창원도호부 서쪽 물리동에 살았다. 형 황한룡(黃漢龍)과 함께 지극한 정성으로 효도하고 형제간에 우애가 돈독하였는데,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에는 여막살이로 효행을 다하였다. 경상도에서 계를 올려 조정에서 조세와 요역을 면제하였다....
-
조선 중기 창원 출신의 효자. 황한룡은 조선 성종·연산군 때에 창원도호부 서쪽 물리동에 살았다. 동생 황하룡(黃夏龍)과 함께 지극한 정성으로 효도하고 형제간에 우애가 돈독하였는데,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여막살이로 효행을 다하였다. 경상도에서 계를 올려 조정으로부터 요역을 면제 받았다.....
열녀
-
경상남도 창원 지역에서 남편에 대한 정절을 지켜 포상된 여자. 대부분의 열녀들은 남편에 대한 정절을 지키기 위하여 남편이 죽으면 수절하거나 남편을 따라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러한 열녀들의 행적은 멀리는 순장 제도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겠으나, 그보다는 여성을 독립적인 인격체로 인식하지 않고 남성의 예속물이나 종속물로 인식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즉 유교적 국가 이...
-
조선시대 창원 지역의 열녀. 공우직은 지금의 경상남도 창원시 북면 감계리 사람이다. 공우직이 병사하자 공우직 처 이씨가 슬픔을 가누지 못해 남편이 죽은 날 목을 매 죽어서 남편과 한 무덤에 묻혔다. 이씨의 열행이 조정에 알려져 정려가 내려졌다....
-
조선 후기 창원 지역의 열녀. 구학령 처 강씨는 1783년(영조 14) 참봉 진양강씨의 딸로 태어나 16세에 지금의 창원시 동읍 단계리에 살던 구학령에게 시집왔다. 수개월 만에 남편 구학령이 병을 얻어 일어나지 못하게 되자 강씨는 약을 구해 간호하고 매일 밤 천지신명께 남편의 회복을 빌었으나 남편은 죽고 말았다. 이에 구학령 처 진양강씨는 미망 죄인으로 하...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지역의 열녀. 밀양 박씨 박경환(朴慶煥)의 딸로, 안동 권씨 권석(權석)의 처(妻)가 되었다. 권석 처 밀양 박씨는 성품이 정숙한 덕이 있어 모든 행동이 내칙(內則)에 합당하였다. 안동 권씨 권석에게 시집간 지 3년만에 남편이 병이 들어 학질에 걸리자 하늘에 기도하여 대신 죽을 것을 빌었으나 끝내 남편이 죽자 슬퍼함이 극...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열녀. 진양 강씨(晉陽姜氏)는 강정환(姜鼎煥)의 딸로 안동 권씨 찬렬(燦烈)과 혼인하였다. 권찬렬 처 진양 강씨(晉陽姜氏)[?~?]는 성품이 효성스럽고 순박하며 지어미로서의 부덕(婦德)을 갖추었다. 시집가서 시부모를 모심과 종중에 돈목함이 그 마땅함을 다하였고 남편을 모신지 40여 년 동안 반드시 공경하며 어긋남이...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열녀. 파평 윤씨(坡坪尹氏)는 김해 김씨 김경호(金慶昊)의 처(妻)이다. 김경호 처 파평 윤씨(坡坪尹氏)는 나이 18세에 성혼을 하였는데 시어머니가 병들었다는 말을 듣고 바로 시댁으로 가서 시중들었다. 똥을 맛보아 병을 살피고 그에 맞게 약을 드리는 정성을 다하여 끝내 병을 낫게 하였다. 남편이 희귀한 병으로 드러...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열녀. 황씨(黃氏)는 김광식(金光寔)의 처(妻)이다. 김광식 처 황씨(黃氏)는 남편이 병들자 하늘에 기도하여 대신 아플 것을 청하였다. 그 기도가 통하여 병이 차도가 있어 5개월을 더 지탱하였다. 그 후 다시 재발하여 다시 일어나지 못하였다. 남편이 죽자 가슴을 치고 곧 따라 죽으려 하였으나 곁의 6촌 시누이가 말...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열녀. 전주 이씨(全州李氏)는 광산 김씨 김국현(金國鉉)의 부인이다. 김국현 처 전주 이씨(全州李氏)[?~?]는 어려서부터 의젓하고 훌륭한 행실이 있었는데 시집간 뒤 시부모님을 모시는데 정성을 다하였다. 남편이 병에 걸려 눕자 온갖 약을 구해 백방으로 구완하니 차도가 있었다. 그러나 남편이 죽음에 이르자 과단하게...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열녀. 해주 오씨(海州吳氏)는 오재묵(吳載黙)의 딸이다. 김해 김씨 김두철(金斗哲)과 혼인하였다. 김두철 처 해주 오씨(海州吳氏)[?~?]는 남편이 병이 들어 매우 낫기 어려운 지경이 되어 병져 누운 지 3년이 되었어나 회생할 기미도 보이지 않고 도리가 없었다. 산천에 백일 기도를 드리며 매일 밤 칠성에도 빌었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부. 남양 홍씨(南陽洪氏)는 홍종한(洪宗漢)의 딸이며 김해 김씨 김병호(金秉浩)와 혼인하였다. 김병호 처 남양 홍씨(南陽洪氏)는 어려서부터 부모를 모심에 효성이 지극하였다. 시어머니가 병들어 누웠을 때 지붕에서 새가 우니 상스럽지 못한 일이라고 사람들이 말하자 새를 바라보고 울자 새가 울기를 그쳤다. 시아버지가...
-
조선시대 창원 지역의 열녀. 김상찬 처 이씨의 아버지는 이인선(李寅善)이다. 남편 김상찬이 결혼 후 얼마 안 되어 병을 얻어 수년간을 신음하였다. 이씨는 백약으로 치료하였으나 김상찬이 죽자 모든 예를 다 갖추어 장사를 지냈다. 이 후 어린 아이들을 잘 키워서 집안을 일으켜 주위의 칭송이 자자하였다....
-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열녀. 김소남은 본관은 김녕(金寧)으로 김기두(金基斗)의 장녀로 태어났다. 17세에 경상남도 창원군 동읍 무성리 영산신씨(靈山辛氏) 신지순(辛支順)의 아들 신용선(辛龍善)에게 시집을 갔다. 결혼하자마자 남편이 중풍에 걸려 눕고 말았는데 온갖 약을 써도 소용이 없을 만큼 병이 매우 위중하였다. 19세 되던 해 자신의 허벅지 살을 떼어 내 구...
-
조선시대 창원 출신의 효부이자 열녀. 김수양 처 이씨는 창원도호부 서쪽 사율리(斜栗里)[현 경상남도 창원시 명곡동] 출신이다. 이씨는 지성으로 시아버지를 받들고 남편인 김수양을 예를 다해 섬겼으나, 김수양이 세상을 뜨자 남편을 따라 죽었다. 김수양 처 이씨의 열행이 조정에 알려져 정려가 내려졌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열녀. 주씨(朱氏)는 김응범(金應凡)의 처(妻)이다. 본관은 불분명하다. 그러나 웅천 일대에 신안 주씨들의 세거지와 집성촌이 있었던 것을 감안하면 신안 주씨로 추정된다. 김응범 처 주씨(朱氏)는 나이 23세에 머리를 올리고 시집으로 가지 않았는데 홀연히 불의의 강제 폭압을 당하는 변고를 만났으나 몸이 더럽혀지지는...
-
경상남도 창원 지역의 효부(孝婦). 진양 강씨(晉陽姜氏)는 강위겸(姜渭謙)의 딸로 김해 김씨 김제주(金濟周)와 혼인하였다. 성품이 효성스러워 지아비를 잘 섬기고 시부모를 잘 모셨다. 시아버지가 병이 들자 하늘에 기도하니 새가 날아와 잡히고 물고기가 뛰어오르는 기적 같은 일이 있었다. 고을에서 그의 효행을 기려 포상이 있었다....
-
조선 말기 창원 출신의 효부. 김처화 처 밀양박씨는 경상남도 창원 지역 사람이다. 그러나 당대의 기록에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어느 시대 사람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아마도 비교적 현대에 가까운 인물로 추정한다. 김처화 처 밀양박씨의 시아버지 김한장(金漢章)은 머리에 종기가 나서 항시 피고름이 흘러내렸다. 이에 김처화 처 밀양박씨...
-
조선 후기 창원 출신의 효부이자 열녀. 박경천 처 분성 배씨는 곧고 맑은 품성으로 시어머니를 정성껏 봉양하였다. 남편 박경천이 해괴한 병에 걸려 앓게 되자 박경천 처 분성 배씨는 자신이 그 병을 앓게 해 달라고 빌었으나, 남편은 효력도 없이 죽고 말았다. 그러자 배씨는 그날 밤 남편 박경천의 시신을 안고 따라 죽었다. 박경천 처 분...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효부. 김녕 김씨(金寧金氏)는 밀양 박씨인 박기우(朴基宇)와 혼인하였다. 박기우 처 김녕 김씨(金寧金氏)[?~?]는 시아버지와 시어머니를 모심에 몸과 마음을 다하였다. 시아버지께서 병으로 자리에 누워 위독하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먹여 병을 낫게 하려 하였다. 고을의 선비들이 그의 효행에 감동하여 포상을 하였다. 고...
-
조선시대 창원 출신의 효부이자 열녀. 박문중 처 김씨는 창원 지역 사람이다. 시부모를 극진히 모시어 효부로 칭송이 자자했는데, 남편 박문중이 병에 걸려 죽자 3일 만에 스스로 목을 매어 죽었다. 박문중 처 김씨의 열행이 조정에 알려져 정려가 내려졌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지역의 열녀. 황석순(黃錫順)의 딸로 밀양 박씨 박영현(朴榮鉉)과 혼인하였다. 박영현 처 창원 황씨(昌原黃氏)[?~?]는 결혼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남편이 병으로 죽자 한모금의 물도 입에 넣지 않고 죽기를 각오하였다. 그러나 시부모님이 노쇠하여 의탁할 곳이 없음을 생각하여 죽기를 그만두고 시부모님이 돌아가실 때까지 효성을...
-
조선시대 창원 출신의 효부이자 열녀. 박익천 처 배씨는 지금의 경상남도 창원시 안민동 출신이다. 시부모를 극진히 모시어 효부라고 칭송이 자자했는데, 남편 박익천이 죽자 목을 매어 죽음으로써 절개를 지켰다고 한다. 박익천 처 배씨의 열행이 조정에 알려져 정려가 내려졌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지역의 열녀. 정씨(丁氏)[?~?]는 박춘경(朴春慶)과 혼인하였다. 시집간 지 오래지 않아 남편이 중한 병이 들어 여러 해 동안 매우 앓았다. 이에 정성을 다하여 온갖 치료 방법을 구하였으나 조금도 나아지지 않았다. 어느날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나 사람의 살이 효험이 있다고 하였다. 놀라서 일어나 허벅지 살을 베어 먹이니 집안사람들도 알지 못하였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지역의 열녀. 정씨(鄭氏)는 박형직(朴衡直)와 혼인하였다. 남편이 병으로 앓아 누우니 온갖 정성을 다하여 남편의 병수발을 하였고 하늘에 병이 낫기를 기도함이 간절하였다. 남편이 병들어 죽어 상을 치르게 되자 약을 먹고 남편을 따라 순절하였다. 1829년(순조 29) 나라에서 정려를 명하였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지역의 열녀. 이씨(李氏)는 의생(醫生) 배낙용(裵洛鎔)과 혼인하였다. 정숙하고 부덕(婦德)이 있었다. 남편이 요절하자 후사가 없음을 생각하여 순절하지 않고 몸소 삯바느질을 하며 방아를 찧어 제사를 정성으로 모셨다. 삼년의 대상(大祥)이 끝나자 조용히 방으로 들어가 순절하였다. 고을의 선비들이 여러번 장계를 올려 포상을 청하였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지역의 열녀 주씨(周氏)는 상주 주씨로 배문선(裵文善)과 혼인하였다. 남편의 상을 당하자 예를 다하여 장례를 치렀다. 시아버지가 천수를 누리고 돌아가시는 날까지 지극 정성으로 봉양하였고 종질을 양자로 삼아 후사를 잇고 남편의 기일이 되어 제사를 모신 후 차마 혼자 삶을 부끄럽게 여겨 자결하였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열녀 남평문씨(南平文氏)는 분성 배씨 배병준(裵炳俊)과 혼인하였다. 남편이 역병을 만나 병들어 눕자 온갖 정성을 다하여 약을 구하여 병 구완을 하였다. 남편이 죽어 상을 당함에 시신을 끌어안고 통곡하다 자진하여 순절하였다. 온 고을의 사람들이 놀라고 감탄하여 칭송하였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열녀 전주 이씨(全州李氏)는 이치재(李致宰)의 딸로, 수원 백씨 백재수(白載洙)와 혼인하였다. 백재수 처 전주 이씨는 남편과 어린 딸이 기이한 병으로 기맥이 막혀 혼절하니 다리 살을 베어 피를 내어 그것을 술에 섞어 먹여서 소생시켰다. 나라에서 정려를 내렸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지역의 열녀. 안동 김씨(安東金氏)는 변립(卞岦)과 혼인하였다. 변립 처 안동 김씨(安東金氏)[?~?]는 남편 변립이 시아버지 변연수(卞延壽)가 의병을 일으켜 충무공 이순신의 휘하에 들어가자 같이 참석하였다. 전장에서 여러 번 공을 세웠다. 정유년에 당항포 싸움에서 부자가 모두 죽으니 그 말을 듣고 안동 김씨가 그날로 목...
-
조선 말기 창원 지역의 효부이자 열녀. 손씨 처 이씨의 이야기는 김종하의 『창원군지』에 처음 등장한다. 따라서 자세한 연대는 알 수 없지만 1899년(고종 36) 『창원읍지』 편찬 이후의 일이라 여겨진다. 손씨 처 이씨는 열일곱 살에 웅남면 정리[현 경상남도 창원시 웅남동] 손씨 집에 시집을 갔으나 불행하게도 남편이 일찍 죽었다. 이에 손씨 처 이씨는 정절을 지키고 시부모를 잘 봉...
-
조선 말기 창원 출신의 효부이자 열녀. 윤재홍 처 강씨의 열행 사실은 1899년(고종 36)에 편찬된 『창원읍지(昌原邑誌)』에는 전하지 않는데, 이로 미루어 『창원읍지』 편찬 후인 조선 말기로 짐작된다. 윤재홍 처 강씨는 지금의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동에서 출생하였다. 극진한 효성으로 시부모를 모시어 근동에서는 효부로 칭찬이 자자했다...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지역의 열녀. 창녕 조씨(昌寧曺氏)는 조병관(曺秉寬)의 딸로 전주 이씨 이강두(李康斗)와 혼인하였다. 이강두 처 창녕 조씨는 시집간 지 얼마되지 않아 남편이 병들어 위독하게 되었다. 온갖 정성을 다하여 구완하며 백약으로 치료하면서 하늘에 기도하여 대신할 것을 청하였다. 남편이 죽어 상을 당함에 늙으신 시조모를 위로하며 내...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지역의 효부. 선산 김씨(善山金氏)는 김채규(金采珪)의 딸이며 전주 이씨 이극(李克)과 혼인하였다. 집안이 매우 가난하여 몸소 나물을 캐고 나무를 하여 생계를 이어가면서도 시부모를 모심에 그 입에 맞게 봉양하였다. 계묘(癸卯)년에 흉년이 들어 그 자신이 병이 들었음에도 머리카락을 잘라서 쌀을 바꾸어 공양하였다. 이 때 도둑의 무리가 습격을 하자...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 지역의 열녀. 전주 이씨(全州李氏)는 경주 이씨 이기준(李機駿)과 혼인하였다. 이기준 처 전주 이씨는 남편이 병이 들어 위독해지자 세 번에 걸쳐 다리살을 베어 약에 섞어 공양하니 살이 다 하여 뼈가 드러날 지경이었다. 그 남편은 그것을 먹고 끝내 병이 쾌유되어 일어났다. 암행어사에게 전주 이씨의 열행이 알려져 포상이 있었...
-
조선 시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 지역의 열녀. 삭령 최씨(朔寧崔氏)는 최인급(崔人岌)의 딸이며 성주 이씨 이동신(李東新)과 혼인하였다. 이동신(李東新)의 처 삭령 최씨(朔寧崔氏)는 남편이 중병에 들어 눕자 온갖 정성을 다하여 구호함이 지극하였다. 매일 목욕 재계하고 밤낮으로 하늘에 기도하며 대신하기를 청하였다. 그러나 필경에 남편이 죽자 손수 염...
-
조선 시대 창원 지역의 열녀. 이두식(李斗植)의 딸이며 이여근(李汝根)과 혼인하였다. 이여근 처 전의 이씨(李汝根 妻 全義李氏)[?~?]는 시집간 지 얼마 되지 않아 남편이 요절하자 슬프게 통곡하며 순절할 것을 생각하였다. 그러나 시부모가 노쇠하고 남편이 후사가 없는 것을 생각하여 몸소 상례를 집례하며 염습을 행하였고 예를 다하여 소상과 대상을 치루었다. 그...
-
조선시대 창원 출신의 열녀. 장귀 처 양씨는 지금의 경상남도 창원시 사화동에서 태어났다. 남편 장귀가 죽어서 장사를 지내려 하는데, 장귀 처 양씨가 목을 매어 죽어 남편과 한 무덤에 묻혔다. 장귀 처 양씨의 열행이 조정에 알려져 정려가 내려졌다....
-
조선 시대 창원 지역의 열녀. 진양 정씨 정시갑(鄭時甲)과 혼인하였다. 정시갑 처 안동 권씨(鄭時甲 妻 安東權氏)[?~?]는 가난한 정시갑의 집에 시집갔다. 시아버지가 병들어 눕자 몸소 나무를 하고 물고기를 잡으며 생업을 지탱하면서도 온갖 봉양을 다하였다. 그러다 남편이 병들어 죽자 따라서 순절하려다가 홀로 계시는 시아버지와 어린 자식을 생각하여 마음을 접고...
-
조선시대 창원 지역의 효부이자 열녀. 정주안 처 안씨의 효행과 열행의 시기는 구체적으로 알 수 없지만, 1997년 편찬된 『창원시사』에 전해 온다. 정주안은 지금의 경상남도 창원시 웅남동 출신의 사람이다. 안씨는 정주안과 결혼 후 시아버지가 눈이 멀고 남편도 병이 들었지만, 수십 년을 한결같이 시아버지를 봉양하고 남편을 섬기어 효부와 열녀로 이름...
-
조선 시대 진해 지역의 효부. 영응대군(永膺大君) 이염(李琰)의 후손인 이방영(李邦영)의 딸이다. 정창진(鄭昌鎭)과 혼인하였다. 정창진 처 전주 이씨(鄭昌鎭 妻 全州李氏)[?~?]는 성품이 효성스러웠다. 시어머니가 병으로 눕자 변을 맛보아 차도를 살폈고 하늘에 기도하여 병이 났기를 빌었다. 상을 당함에 예를 다하여 치루어 내니 고을에서 글을 올려 포상하기를 청...
-
조선 시대 창원 지역의 열녀. 이흥신(李興臣)의 딸로 조성학(趙性學)과 혼인하였다. 조성학 처 성주 이씨(趙性學 妻 星州李氏)[?~?]는 가난한 집안으로 시집가서 남편이 병들자 온 고을을 돌면서 구걸하면서도 생업을 지탱하였다. 고을에서 성주 이씨의 열행을 높이 기려 여러 번의 포상이 있었다....
-
조선 시대 창원 지역의 열녀. 의생(醫生) 조원서(趙元瑞)와 혼인하였다. 조원서 처 황소사(趙元瑞 妻 黃召史)[?~?]는 혼인한지 얼마 되지 않아 남편이 병들자 지극 정성으로 수발하며 하늘에 병이 낫기를 기도하였다. 병 문진을 가는 길에 호랑이가 길을 막자 울며 호소하니 길을 열어 주었다. 남편의 상을 당하여 예를 다하여 초상을 치르고 초상이 상이 끝나자 약을 먹고 순절...
-
조선 말기 창원 출신의 효부. 진정원 처 정씨의 효행은 1899년(고종 36)에 편찬된 『창원읍지(昌原邑誌)』에는 전하지 않는데, 이루 미루어 『창원읍지(昌原邑誌)』 편찬 후의 일로 짐작된다. 진정원 처 정씨는 창원부 동쪽 봉곡[현 경상남도 창원시 봉곡동] 출신이다. 시아버지가 병이 들어 오랫동안 자리에 눕게 되자 등에 종기가 났는...
-
조선시대 창원 출신의 효부이자 열녀. 진흥은 처 강씨는 창원도호부 봉곡[현 경상남도 창원시 봉곡동] 사람이다. 강씨는 시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여 근동에서 효부로 칭찬이 자자하였다. 어느 날 남편 진흥은이 병으로 자리에 눕자 백방으로 수소문해 약을 구해 먹이고 간호하였으나 차도가 없었다. 남편을 살려 달라고 정성을 다해 하늘에다 빌기도 하고 심지어는 자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