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1501
한자 巫歌
영어음역 muga
영어의미역 shamanic so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강원도 강릉시
집필자 황루시

[정의]

무속의례에서 무당이 부르는 사설이나 노래.

[개설]

굿을 하는 무당의 무가와 독경무의 무경이 있다. 그렇지만 강릉 지역에는 주로 무당이 굿에서 가창하는 무가가 전승된다.

[분류]

강릉 지역의 무가를 기능적으로 나누면 신을 청하는 청배무가, 신을 기쁘게 하기 위해 부르는 오신무가, 축원무가 등이 있고 신들린 무당이 신의 위치에서 말하는 공수가 있다. 문학적 분류를 하면 서사무가, 서정무가, 희곡무가, 교술무가로 나뉜다.

서사무가는 신의 일대기를 창하는 것이고 서정무가는 신을 찬양하거나 신에게 축복과 장수를 기원하는 내용이 많다. 희곡무가는 주로 양중들이 하는 촌극으로 신과 인간, 신과 신의 의사소통을 내용으로 한다. 교술무가는 신의 의지와 우주만물의 사상을 전하는 내용이다.

[성격]

강릉 지역 무가는 첫째 주술성을 가진다. 신과 인간의 중개자인 무당은 굿을 하면서 인간의 편에 서서 신에게 인간의 소원을 빌어 주는 역할을 한다. 무가는 재앙을 없애고 복을 비는 내용인데 이는 무가를 구연함으로써 신이 이를 들어 준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다.

둘째 신성성을 가진다. 무가는 신의 말이거나 지침이기에 어기면 안 되는 것으로 신성하게 여긴다.

셋째, 오락성을 가진다. 특히 강릉 지역 세습무의 굿에서 구연되는 무가는 오락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심청굿무가」는 판소리와 내용이 같아 흥미롭게 윤색되어 있고 당금애기무가는 서사민요로도 부른다.

넷째 전승이 제한되어 있다. 무가는 전승자가 무당으로 한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일반인이 배우기에는 사설의 내용이 어렵다. 또한 무악에 맞추어 부르기 위해서는 장단을 알아야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