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천의 해나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1223
한자 倉泉-害-
영어공식명칭 Changcheon’s harmful trees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창천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다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2002년 11월 9일 - 「창천의 해나무」 박준하에게서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8년 - 「창천의 해나무」 『성주의 구비 문학』에 수록
관련 지명 창천 마을 -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창천리 지도보기
채록지 「창천의 해나무」 채록지 -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동원리 지도보기
성격 설화|전설
주요 등장 인물 천창 마을 사람들|해나무
모티프 유형 나무의 재앙|신이담

[정의]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창천리에 있던 해나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창천의 해나무」성주군 가천면 창천리 천창 마을에 있던 해(害)나무에 관한 신이담이다.

[채록/수집 상황]

2002년 11월 9일에 성주군 가천면 동원2리의 박준하에게서 채록하여, 2008년에 김광순이 쓴 『성주의 구비 문학』[택민국학연구원]에 「창천의 해나무」라는 제목으로 수록하였다.

[내용]

삼한 시대부터 현재의 성주군 가천면 창천리 자리에는 천창이라는 마을이 있었다. 천창은 큰 냇물이 있어 토지가 비옥하고 넓었다. 그래서 임금에게 바칠 곡식들을 보관할 수 있는 큰 창고가 있었다. 비옥한 땅과 큰 창고가 있어 천창의 사람들은 부유하게 지냈다. 천창 마을에는 마을을 지켜 주고 부유하게 살 수 있게 해 준다고 여겨지는 같은 종류의 나무 몇 그루가 있었다. 마을 사람들은 자신들이 평화롭고 부유하게 살 수 있는 것이 그 나무들 덕분이라고 굳게 믿고 애지중지 보살폈다. 마을 사람들은 해마다 마을의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그 나무에 제사를 지냈다.

그러던 어느 날 나라에 전쟁이 일어났고, 천창 마을을 점령하기 위해 사람들이 들이닥쳤다. 그 사람들은 마을 사람들이 애지중지하는 나무를 한 그루만 제외하고 모두 베어 버렸다. 전쟁이 끝나자, 마을 사람들은 그 나무들이 자신들을 지켜 주지 못하였다고 원망하였으며, 나무를 돌보지 않았다. 이후 마을에는 원인 모를 역병이 돌았다. 역병으로 인해 천창의 사람들은 많이 죽어 갔다. 또한 사람들이 죽어 마을이 피폐해지자 큰 창고가 없어지게 되었다. 마을 사람들은 가난에 허덕이다가 서서히 망해 갔다고 한다. 사람들은 이 나무를 일컬어 해나무라고 불렀으며, 더 이상 해나무와 관련한 이야기를 하지 않으려 한다고 전한다. 일제 강점기에도 천창 마을은 다른 마을에 비해 혹독한 핍박을 받았고, 이후 핍박 받는 천창이라는 이름 대신 창천으로 마을 이름을 바꾸었다. 마을 사람들은 그 마을에 거듭되었던 재앙이 나무의 해(害) 때문이었을 것이라고 여기고 있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창천의 해나무」의 주요 모티프는 ‘나무의 재앙’, ‘신이(神異)’이다. 천창 사람들이 신성시하였던 나무를 소홀히 하면서 마을 사람들은 각종 재해와 재앙에 시달리게 된다. 결국 사람들은 천창이라는 마을 이름을 창천으로 바꾸기에 이른다. 지금도 마을 사람들은 ‘해나무’와 관련해 말하기를 꺼려 한다고 전한다. 전승 집단은 「창천의 해나무」 이야기를 통해 ‘해나무’의 신성성에 대한 두려움을 드러내고 있으며, 앞으로도 신성한 나무를 함부로 대하지 말아야 한다는 교훈을 전해 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