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주생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300040
한자 住生活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기도 양주시
집필자 김혜선

[정의]

경기도 양주 지역민들이 살았던 전통 살림집의 형태 및 구조.

[개설]

양주 지역 주민들의 주생활은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특별한 점이 없고, 전형적인 중부 지방형 민가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이에 따라 중부 지방, 특히 경기 지역 민가의 특성을 중심으로 양주 지역 주생활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가옥의 형태]

중부 지방형 민가의 특성은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마루 없는 一자형 가옥 구조와 함께, 안채가 ‘곱패집’·‘곱은자 집’이라 불리는 ㄱ자형 가옥 형태가 많다는 것인데, 이는 다른 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형태이다. 양주의 가옥 구조 역시 이 같은 ㄱ자형 가옥 형태가 일반적이고, 부엌·안방의 배열축과 대청·건넌방의 배열축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튼 ㅁ자형 구조가 기본형이다. 이 같은 형태는 조선 시대 서울의 상류층 가옥 구조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서민들은 상류층의 생활을 선망하여 그와 비슷한 생활 환경을 구현하기를 바라는 욕구가 있는데, 게다가 경기 지역은 지리적으로 수도의 양반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는 환경이었으며, 양반의 가옥을 건축하던 전문 건축 공장(工匠)들이 활동하기에도 매우 유리했기 때문이다.

[가옥의 배치]

가옥의 배치는 주로 안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민가는 세월이 흐르면서 그 구조가 시대의 변화에 맞게 바뀌게 마련인데, 안채는 정형성(定型性)을 보이고 그다지 크게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주변의 부속채는 쓰임새에 맞게 변형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바깥에 위치해 있던 변소를 없애거나 헛간·외양간 등을 창고 등으로 개조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양주의 전통 민가 역시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전통 가옥을 제외하고, 오늘날에는 이 같은 개조 과정을 거친 가옥들이 대부분이며,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다.

대문간이 안채의 정면이나 측면에 세워지는 것도 중부 지방 민가의 큰 특징이다. 때로는 여기에 사랑방이 부가되어 안채 및 안마당을 에워싸는 형태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 같은 부속채는 처음에 一자형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ㄴ자형으로 변화하여 안채의 ㄱ자형과 상응하는, 튼 ㅁ자형 구조가 완성형으로 자리 잡아 오늘날까지 내려오고 있다. 이러한 가옥 배치는 안채에 거주하는 부녀자의 활동 모습이 바깥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려는 조선 시대의 유교적 관념에서 나온 것이다. 간혹 바깥채와 안채를 구분하는 작은 담이 만들어져 있는 가옥도 있는데, 이 역시 같은 이유에서 나온 발상으로 볼 수 있다.

[의의]

튼 ㅁ자형 구조의 가옥은 하층민은 유지하기 힘들었고, 적어도 중농(中農) 이상의 계층은 되어야 거주할 수 있는 수준의 가옥이었는데, 이를 통하여 조선 후기쯤 이르면 양반층이 아니어도 유교적 관념이 일반 민가에까지 널리 퍼져 퍼졌으며, 상공업의 발달로 부유한 중인층이 증가하였음을 전통 가옥의 구조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