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4055
한자 花浮山祠
영어음역 Hwabusansa Shrine
이칭/별칭 화산사(花山祠),흥무왕사(興武王祠)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강원도 강릉시 교1동 725-2번지지도보기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집필자 김동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7년 11월 28일연표보기 - 화부산사,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57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화부산사,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성격 사당
양식 익공양식
건립시기/일시 673년(문무왕 13) 추정연표보기|1884년 중건연표보기
관련인물 김유신
정면칸수 3칸
측면칸수 3칸
높이 630㎝
층수 단층
면적 43,395㎡[13.15평]
소재지 주소 강릉시 교1동 725-2번지
소유자 가락강릉시종친회
문화재 지정번호 강원도 유형문화재

[정의]

강원도 강릉시 교동(校洞)에 있는 조선 말기의 사당.

[개설]

말갈을 물리치고 삼국통일의 위업을 달성한 김유신(金庾信) 장군을 모신 사당이다.

[명칭유래]

화부산(花浮山) 아래에 사당을 세운 데서 유래되었다.

[건립경위]

신라 삼국통일 후 강릉이 신라의 변방이었던 시기에 말갈족들의 침입 때문에 이 지역이 불안할 때 김유신이 출정하여 강릉[당시 명주군] 화부산 아래에 오랫동안 주둔하여 주검소(鑄劍所)에서 칼을 만들었으며, 팔송정 들판에서 말을 달려 퇴병처(退兵處)에서 적을 격퇴하였다고 전해 온다. 주민들이 장군의 공을 기리기 위해 사당을 지어 향사를 받들었다고 한다.

[위치]

강릉시 교1동 725-2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변천]

건립 연대는 673년(신라 문무왕 13)으로 추정되며,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 “김유신사 재화부산 화부산 재강릉북삼리(金庾信祠 在花浮山 花浮山 在江陵北三里)”라고 씌어있고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금합우성황사(今合于城隍祠)”라고 하였다. 1884년 영남에 사는 후손 김홍두가 성금을 모아서 화부산사를 중건하였는데 당시 강릉부사인 김연수, 민영우가 많은 협찬을 했다. 1936년 동해철도부설공사 관계로 다음 해인 1937년에 후손 김시배(金時培)와 김현국(金顯國)이 주선하여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이후 사당이 비좁고 노후화하여 2004년 정부지원과 자체자금 10억원으로 증개축하여 성역화하고 2005년 중수사적비를 세웠다. 제향일은 음력 5월 5일 단오날과 10월 22일이다.

[형태]

사당건물은 겹처마 맞배지붕에 정면 3칸, 측면 3칸의 익공양식이며, 기단은 화강석 세겹대 쌓기를 하였다.

[금석문]

사당에는 ‘화부산사’ 현판만 있으며, 사당 앞에는 “순충장렬흥무대왕화산재기적비명(純忠壯烈興武大王花山齋紀蹟碑銘)”이 있다. 김유신 장군이 명주 지역 침입이 잦은 말갈족을 저지하고 또한 삼국통일의 위업을 달성하자. 이에 명주 지역 백성들은 말갈침입을 막아준 장군의 은혜에 감사하여 사당도 짓고 비석도 세워서 그분을 기린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외에도 ‘화부산사중수사적비’가 있다.

[현황]

솟을대문으로 들어가면 좌측에는 관리사무소가, 우측에는 화부산사중수사적비가 있다. 그 다음 문을 통과해 들어가면 좌측에는 고직사(庫直舍)가 있고 우측에는 순충장렬흥무대왕화산재기적비명(純忠壯烈興武大王花山齋紀蹟碑銘)이 있다. 그리고 통일문을 통과해 들어가면 영정각(影幀閣)이 있는데 이것이 원래 화부산사 본청이었다. 옆에는 새로 건립한 사당이 있고 그 앞의 문은 화랑문이라 명명하였다. 전체 둘레는 돌담으로 둘러싸여 있다. 1977년 11월 28일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5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