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101083 |
---|---|
한자 | 三-一運動 |
영어의미역 | March First Movement |
이칭/별칭 | 독립만세운동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충청북도 음성군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박걸순 |
[정의]
1919년 3월부터 4월까지 충청북도 음성군 일원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운동.
[역사적 배경]
일제의 한국 강점과 무단통치에 대항하여 1919년 3월 1일 독립선언과 만세운동이 시작되어 전국적으로 파급되었다. 충청북도 음성군 일원에서도 이에 호응하여 1919년 3월 하순부터 4월 상순에 걸쳐 군내 각지에서 만세운동이 전개되었다.
[경과]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서는 초전리 서당에 다니던 김영익·정민영·최만득·정대영 등의 주도로 1919년 3월 28일 장날에 만세운동이 발생하였다.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한내[漢川] 장터에서는 김을경·이중곤·권재학 등의 주도로 수많은 군중이 장터에 모여 만세시위를 벌였다.
이후 시위군중은 면사무소로 몰려가 면장 민병식을 끌어내어 함께 독립만세를 부를 것을 요구하였다. 그러자 일본경찰이 출동하여 주도자를 연행하였다. 이에 분노한 시위군중들은 주재소로 달려가 동지의 석방을 요구하며 격렬히 항쟁하였다. 그러나 충주에서 응원 출동한 일본수비대의 무차별 발포로 십여 명이 현장에서 순국하고, 많은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에서는 평소 항일의식이 투철했던 박병철·민병철·박영록·박제성 등의 주도로 만세운동이 전개되었다. 4월 2일 밤, 대소면 오산리에 있는 대소면사무소에는 사전 약속에 따라 천여 명의 군중이 모였다. 이들은 군중들에게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배부하였으며, 군중의 선두에 서서 독립만세를 외치며 만세시위를 주도하였다.
이때 면장과 면 직원들이 나타나 시위의 중단과 해산을 종용하였다. 이에 격분한 시위군중들은 대소면사무소의 유리창과 기물을 부수고 장부를 파손시키는 등 격렬한 시위를 벌인 뒤 면사무소에 불을 질렀다. 상황이 다급해지자 진천 수비대가 응원, 출동하여 무력으로 시위군중을 해산시켰다.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에서는 이성용의 주도로 4월 2일 삼성면 선정리와 삼성면 천평리 일대에서 만세운동이 전개되었다. 이성용은 이날 밤 수십여 명의 주민들과 선정리 뒷산에서 독립만세를 외친 다음, 군중을 이끌고 주재소가 있는 천평리로 이동하여 격렬한 만세시위를 계속하였다.
이 밖에도 군내 각 지에서 만세시위가 전개되었다.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서는 1919년 4월 1일에 만세시위가 전개되었고, 2일에는 감곡면 주천리에서 만세시위가 있었다. 4월 3일 밤에는 감곡면 문촌리에서 수십 명의 주민들이 송석봉의 주도로 응봉산에 올라 횃불을 올리며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음성군 맹동면에서는 3월 20일, 주민 수백여 명이 횃불을 올리며 만세시위를 벌였고, 4월 2일에는 맹동면 소재지가 있는 쌍정리 뒷산에서 김화서·김해룡·백순규 등의 주도로 만세시위가 전개되었다. 음성군 원남면에서는 4월 5일, 보천시장에서 시위군중들이 만세시위를 벌였고, 11일에는 원남면 주봉리에서 80여 명의 주민들이 만세를 외쳤다. 음성군 금왕읍에서는 4월 2일, 금왕읍 내송리에서는 1천여 명의 주민들이 만세시위를 벌였다.
[결과]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서 시작된 만세시위 운동은 음성군 일대로 확대되었고 군중들의 저항이 격렬해졌다. 그러자 출동한 일본수비대는 시위군중을 해산시키기 위해 무차별 발포를 실시하여 십여 명의 군중들이 부상을 입거나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음성군 삼성면에서 시위를 주도했던 이성용은 체포되어 옥고를 치르고 출국하였으나 일본의 감시와 탄압이 극심하여 결국 자결하고 말았다.
3·1운동에 관한 통계자료인 박은식의 『한국독립운동지혈사』에는 3·1운동 당시 충청북도 음성군 일대에서 6회의 만세시위가 전개되었고, 2,000여 명의 군중이 참여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 일제와의 충돌로 6명이 순국하고, 10명이 부상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음성군에서 일어난 3·1운동은 타 지역에 비해 늦게 시작되었고, 그 규모도 컸다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음성군 전역에서 거의 만세운동이 일어났고, 항쟁도 격렬하였다. 특히 음성군 소이면 한천장터 시위는 충청도 안에서 순국자가 많이 발생한 지역으로 손꼽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