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1161
한자 喪禮
영어공식명칭 Funeral Rite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설병수

[정의]

경상북도 성주 지역에서 사람이 죽은 후 행해지는 예법.

[개설]

상례는 한 개인으로서는 삶과 죽음을 가르는 통과 의례이며,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는 산 자와 죽은 자가 영원히 이별하는 분리 의례이다. 또한, 사람의 영혼이 육신을 떠나서 영혼의 세계로 들어가는 단계이므로, 이때부터 영혼을 취급하고 내세를 인정하는 절차가 따르게 마련이다. 이러한 절차와 형식에는 상주(喪主)의 관념, 영혼관, 내세관 등이 표현되어 있다.

[절차]

상례 절차는 크게 초종(初終), 성복 발인(成服發靷), 치장(治葬), 흉제(凶祭)의 네 단계로 나뉜다. 초종은 사람이 운명해서 입관하고 성복하기까지 행해지는 절차를 가리킨다. 성복은 상주 이하의 복인(服人)이 처음으로 상복을 입는 것을 말한다. 발인은 상여가 상가를 떠나 장지로 출발하는 것을 가리킨다. 치장은 상례 중에 묘지를 정하고 시신을 땅에 묻는 일을 가리킨다. 흉제는 장례를 마치고 집에 돌아와서 지내는 초우제(初虞祭)에서부터 3일 만에 지내는 삼우제(三虞祭), 졸곡제(卒哭祭), 소상(小詳), 대상(大詳), 담제(禫祭), 길제(吉祭) 등 각종 제사를 가리킨다.

경상북도 성주 일대에서는 전통 상례가 대체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다. 초종[초혼(招魂), 수시(收屍), 사자상(使者床) 차리기, 수의(壽衣)·관(棺)·장지(葬地) 준비]-염습(殮襲)-성복-조문 받기-발인-[망자의 의복 처리 및 부정 씻기]-치장-초우제-재우제(再虞祭)-삼우제-졸곡제-길제-소상-대상-담제-탈상(脫喪) 등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변천]

경상북도 성주 지역에서도 옛날에는 장일(葬日)이 긴 편이었다. 오일장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명망 있는 사람의 장일은 달을 넘겨서 하는 유월장(踰月葬)을 주로 하였다. 장일이 길었던 탓에 시신을 집 뒤란이나 집 근처 밭에 임시로 모셔두기도 하였다.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상례에도 상당한 변화가 생겼다. 오늘날 경상북도 성주 지역에서도 전통 상례를 찾아보기란 거의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는 상례 절차, 기간, 시신 장사(葬事) 방법 등에 많은 변화가 생겼음을 의미한다. 다만, 장례 절차만큼은 최대한 전통 상례의 절차를 따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