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0481
한자 遊金剛山卷
영어공식명칭 Yugeumgangsangwon
이칭/별칭 『금강산록(金剛山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문덕로1길 32-3[문덕리 275]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추제협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술 시기/일시 1604년연표보기 - 『유금강산권』 저술
문화재 지정 일시 2000년 4월 10일연표보기 - 『유금강산권』 경상북도 유형 문화재로 지정
소장처 송용섭 -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문덕로1길 32-3[문덕리 275]지도보기
성격 기행문
저자 이광준|최립|한호|이정|이호민|이익
편자 이광준
권책 1책
규격 23×33㎝
권수제 금강산록(金剛山錄)|유금강산권(遊金剛山卷)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북도 유형 문화재

[정의]

성주군의 송세빈 13세손 송용섭이 소장하고 있는 이광준이 지은 금강산 기행문.

[개설]

『유금강산권(遊金剛山卷)』은 1604년에 이광준(李光俊)이 강원도관찰사 재임 시절에 그의 아들인 이민성(李民宬), 이민환(李民寏)을 대동하고 강원도 간성군수(杆城郡守)인 최립(崔岦), 흡곡현령(歙谷縣令)인 한호(韓濩) 등 벗들과 함께 금강산을 유람하며 지은 「유금강산기(遊金剛山記)」에다 이정(李霆)의 「묵죽도(墨竹圖)」와 명문가인 이호민(李好閔)이 짓고 명필가인 한호(韓濩)가 쓴 감상문 등을 합본하여 만들었다.

[저자]

이광준[1531~1629]의 자는 준수(俊秀), 호는 학동(鶴洞)이다. 15세 때 무예에 관심을 두었으나 말에서 떨어져 팔을 다치자 수년 동안 독서를 전념하여 문사에 뛰어났다. 심의겸(沈義謙), 구봉령(具鳳齡)과 교유하였다. 1562년에 문과에 합격하여 성균관 학유를 시작으로 학록, 전적, 형조좌랑을 거쳐 형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 그 사이에 경주와 안동의 교수, 하동과 창녕의 현감, 임천과 예천의 군수 등 외직을 다니기도 하였다. 칠순이 넘은 나이에 낙향하여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산운리에서 말년을 보냈다.

[편찬/간행 경위]

자세한 편찬 및 간행 경위는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1604년 금강산 유람을 마치고 쓴 글들을 정리하여 『유금강산권』의 편찬을 준비한 것으로 보인다. 성주본에는 금강산 유람에 참석하지 못했지만 평소 친분이 있던 이정의 「묵죽도」와 이호민의 감상문 등이 합본되어 있고, 특히 1735년에 쓴 이익(李瀷)의 감상문이 말미에 추가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간행 시기는 그 이후일 것으로 추정된다. 2000년 4월 10일 경상북도 유형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형태/서지]

1책 20장의 필사본이다. 장정은 포배장(包背裝)이며, 표제는 ‘금강산록(金剛山錄)’이다. 크기는 23×33㎝이다. 현재 복간본 3책이 전하는데, 경상북도 의성군 이광준의 후손가, 이광준의 3남인 이민환의 사위인 송세빈(宋世彬)의 후손가, 부산의 고서화 수집가인 도종현(都鐘鉉)의 소장본이 그것이다. 이 책은 성주군에 있는 송세빈의 13세손 송용섭이 소장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로 의성본은 1책 24장이며 장정은 포배장, 표제는 ‘유금강산권(遊金剛山卷)’이다.

[구성/내용]

「유금강산기」와 첨부된 글 등 모두 6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먼저 이정의 「흑죽도(黑竹圖)」가 수록되어 있다. 「유금강산기」는 이광준을 비롯한 아들과 함께 한 문인들이 금강산을 유람하며 느낀 것을 기록한 것으로 최립이 대표로 작성하였다. 여기에 이호민이 짓고 한호가 글자를 쓴 감상문과 이정의 「묵죽도」, 한호가 글씨를 쓴 ‘기(記)’, 마지막에는 이익의 감상문이 추가되어 있다. 다른 기행문과는 달리 연대가 정확히 기록되어 있고 문(文), 서(書), 화(畵)를 모두 수록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저작자, 필사자, 서화가가 모두 당대의 명인이며 전래와 보관의 경위를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금강산은 유학자들에게 자연을 통해 그 내재한 이치를 깨닫는 도학적 수양의 대표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그런 만큼 『유금강산권』은 당대들의 자연관 및 수양관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더불어 이정의 「묵죽도」와 한호의 말년 글씨 등을 함께 감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는 더욱 크다.

[참고문헌]
  • 성주군청(https://sj.go.kr)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의성문화대전(uiseong.grandculture.net)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