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601055 |
---|---|
한자 | 龍城館址 |
영어음역 | Yongseonggwanji |
영어의미역 | Yongseong Guest House Site |
이칭/별칭 | 휼민관,용성관 석물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터 |
지역 | 전라북도 남원시 동충동 192-4[용성로 29]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
집필자 | 유종국 |
성격 | 객사 터 |
---|---|
원건물 건립시기/일시 | 691년![]() |
소재지 주소 |
전라북도 남원시 동충동 192-4[용성로 29]![]() |
소유자 | 용성초등학교 |
문화재 지정 번호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
문화재 지정일 | 1984년 4월 1일![]() |
전라북도 남원시 동충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객사 터.
용성관은 조선시대 관원들의 숙소로 사용된 건축물이다. 그 규모가 웅장하여 남원에서는 광한루, 관왕묘와 더불어 고대 건물의 삼걸(三傑)로 불렀다. 이후 불에 타서 여러 차례 보수 과정을 거쳤다.
용성관을 처음 건립한 시기는 통일신라시대인 691년(신문왕 11)인데, 용성관을 휼민관이라고도 하였다. 휼민관은 정유재란 때 남원성이 위험에 처하자 병마사 이복남(李福男)이 휼민관을 그대로 두면 태조의 전패(殿牌: 殿자를 새긴 나무패로 임금을 상징)가 왜적에게 욕을 당할 것을 염려하여 소각하였다.
그 후 1620년(광해군 12)에 남원부사 최여립(崔汝立)이 휼민관을 재건하였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소실되고 남쪽의 중문만 남게 되었다. 그 후 1680년(숙종 6) 남원부사 정동설(鄭東卨)이 재건에 착수하여 1690년(숙종 16)에 남원부사 정협(鄭峽) 때 대청을 완성하여 건축물이 완공되었다.
그러나 6·25전쟁 때 폭격으로 전소되었다. 지금은 용성초등학교 본관 계단으로 사용하는 돌계단 1기와 용성관 기단 70여 미터만 남아 있다. 당초에는 계단 1기만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하였으나, 1994년 7월 15일 석물 29기를 추가하여 지정하였다.
전라북도 남원시 동충동 용성초등학교 내에 위치하고 있다.
6·25전쟁 때 불에 타서 지금은 기단, 계단 석물들만 남아 있다. 계단은 돌로 잘 다듬어진 것으로 보이고 난간 양쪽에 반원형으로 된 석물이 놓여 있다. 그것은 표면에 도깨비상을 조각하여 독특한 모습이다. 1994년에 용성초등학교에 세운 용성관에 대해 기록한 비가 교내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