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0304
영어공식명칭 Pine Tree
이칭/별칭 솔,솔나무,소오리나무,송(松),적송(赤松),육송,송목,송수,송유송(松油松),여송(女松),자송(雌松),청송(靑松)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보호수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경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학명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겉씨식물문〉소나무강〉소나무목〉소나무과〉소나무속
수령 200~600년
관리자 경상북도 영덕군청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 지역에 서식하는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 교목.

[개설]

한국, 중국, 일본의 북부 고원지대를 제외한 전역에 분포하며 수직적으로는 해발고도 약 1,300m 이하에서 자란다. 햇볕이 잘 들고 건조한 산지의 능선과 사면에서 자란다. 우리나라 수종 중 가장 넓은 분포 면적을 가지고 그 개체수도 가장 많다. 그리고 높고 굵게 크는 나무로서 우리나라의 나무 가운데 은행나무 다음으로 큰 몸집을 갖고 있다.

[형태]

소나무는 높이 약 35m, 지름 약 1.8m까지 자란다. 나무껍질은 적갈색을 띠며, 오래되면 인편 모양으로 벗겨진다. 새 가지는 황적색이고 털이 없다. 겨울눈은 타원상 달걀 모양이고 적갈색을 띠며, 윗부분의 인편은 뒤로 살짝 젖혀 있다. 잎은 길이 5~15㎝ 침형이며, 2개씩 모여 나고 다소 어긋나 뒤틀려 있다. 잎은 길이 4~140㎝, 너비 0.5~1.3㎜이고, 잎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발달한다. 소나무는 암수한그루이며, 꽃인 구화수(毬花穗)[송백류의 배우자체를 생산하는 생식 구조. 소나무의 솔방울 따위]는 4~5월에 달린다. 수구화수는 노란색 타원형이고 새 가지 끝에 모여 달리며 길이 3.7~5.8㎜이다. 암구화수는 진한 자주색 달걀 모양을 띠며 길이 3.1~5.5㎜이고, 흔히 수구화수 위쪽에 1~4개가 달리는데 보통 2개씩 달린다. 열매는 솔방울이라 하며, 달걀 모양 원추형에 길이는 2.6~5.6㎜, 너비는 2.6~3.8㎜이다. 이듬해 9~10월에 황갈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흑갈색의 타원형이며 윗부분에 날개가 있다. 열매 조각은 70~100개이다. 씨는 타원 모양으로 길이 5~6㎜, 폭 3㎜ 검은 갈색이며, 날개는 연한 갈색 바탕에 검은색 갈색 줄이 있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소나무는 정원수, 가로수, 관상용, 신목(神木), 당산목 등으로 심는다. 목재는 건축재·토목재·포장재·합판재·펄프·숯 등으로 이용되고, 테레핀유는 페인트·니스용재·합성장뇌의 원료로 쓰인다. 잎과 꽃가루·나무껍질을 약용 또는 식용하며, 송진은 염증에 약재로 쓴다. 아이가 태어나면 금줄을 치고 솔가지를 매달아 나쁜 기운을 막고자 하였으며, 소나무로 지은 집에서 살며 소나무로 불을 지피고, 소나무 껍질에서 꽃가루에 이르기까지 식용이 가능하였다. 관도 소나무 관을 많이 쓰니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소나무 신세를 진다는 말도 있다. 소나무 꽃으로 다식을 만들고, 솔잎은 몸을 맑게 해주어 선식으로 이용한다. 껍질은 벗겨서 끓여 먹고, 속껍질은 멥쌀가루에 버무려 먹고, 솔방울로는 송실주를 만든다. 송판은 결이 부드러우면서 조밀하고 단단하며, 둥치는 잘라 관목을 할 정도로 이용이 많았다. 국가 생물종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현황]

2021년 8월 13일 현재 영덕군 내 소나무 중 4본이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는데, 영덕읍, 영해면, 병곡면, 지품면에 각 1본씩 있다. 보호수의 수령은 지품면이 600년으로 가장 오래되었고, 다음으로 영해면 400년, 영덕읍 350년, 병곡면 200년 순이다. 보호수의 수고와 흉고둘레는 지품면이 20m와 3.45m로 가장 높고, 병곡면이 7m와 5.6m로 가장 두꺼우며, 영덕읍영해면이 각각 15.5m와 2.6m, 14m와 4m이다. 보호수의 유형은 영덕읍지품면 소나무가 산기슭·산정·마을 입구·촌락 부근 등에 있는 나무로서 성황목·당산목이라 부르며, 부근에 제를 지내는 산신당·산주당·성황당이 있는 당산목(堂山木)이다. 영해면병곡면 소나무는 풍치·방풍·방호의 효과를 주는 풍치목(風致木)에 해당한다. 보호수 지정 일자는 영덕읍 소나무가 1982년 10월 29일로 가장 먼저 지정되었고, 다음으로 영해면이 1996년 9월 9일, 병곡면이 2007년 6월 13일, 지품면이 2008년 8월 4일 순이다.

[참고문헌]
  • 『영덕군지』 (영덕군지편찬위원회, 2002)
  • 김진석·김태영, 『한국의 나무』(돌베개, 2018)
  • 영덕군청(https://www.yd.go.kr)
  • 경상북도 공공데이터포털시스템(https://data.gb.go.kr)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https://www.nature.go.kr)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https://species.nibr.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