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일 년을 주기로 절기마다 행하는 전통과 관습. 일상적인 생활은 일 년을 단위로 반복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세시풍속은 절기에 따라 나타난다. 그리고 한 해가 시작되는 시점과 마무리 되는 시점은 특히 중요하기 때문에 세시풍속은 새해의 시작과 끝 지점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한편 세시풍속은 생업 주기와도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농업 사회였던 한국...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음력 정월 초여드렛날 지내온 풍속. 음력 초하룻날로부터 여덟 번째 날로 곡일(穀日)이라고도 한다. 농사를 위해 씨앗을 광이나 다락 등에 보관해 두었다가 곡식날이 되면 밖으로 내어서 햇볕을 쪼이기도 하고 씨앗 상태를 점검하기도 한다. 그리고 새해 농사를 위해 농기구를 점검하기도 하고 축사를 보수하기도 한다. 곡식날 씨앗을 비롯하여 농기구와 축사 등을 잘...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음력 11월 또는 양력 12월 22일에 드는 절기(節氣)에 지내는 세시풍속.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을 동지라고 한다. 그리고 동지가 포함되어 있는 음력 11월을 동짓달이라고 한다. 동지는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아세(亞歲)’라고도 한다. 동지에 팥죽을 쑤면 먼저 사당과 안방 윗목에 먼저 한 그릇씩...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삼재를 막기 위한 방안으로 설날에 하는 풍습. 삼재는 수재, 화재, 풍재를 말하기도 하고, 병난, 질역, 기근을 의미하기도 한다. 사람에게 좋은 일과 나쁜 일이 일어날 수 있는데 유독 나쁜 일이 많이 일어나는 해는 ‘삼재가 들었다’는 표현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삼재는 12간지에 의해 출생년에 따라 정해지므로 사람마다 삼재가 드는 해는 다르다. 삼재가...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음력 3월 3일에 지내는 명절. 중삼일(重三日)이라고도 한다. 삼짇날은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이라고 한다. 이는 봄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삼짇날은 봄을 맞이하는 축제일이기도 하였다. 제비는 처마에 집을 짓고 새끼를 치며 사람과 매우 친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삼짇날 제비를 보면 공손하게 손을 합장하고 제비...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음력 정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정월대보름은 상원일이라고도 하며 설 다음에 오는 큰 명절로 인식되어 있다. 대보름이라고 하는 것은 정월에 보름달의 크기가 일년 중 가장 크기 때문이다. 정월대보름에는 다양한 민속놀이가 실시되며 특히 저녁에 달집태우기를 하면서 달맞이 하는 풍습이 특징이다. 남원의 정월대보름 행사도 전국적인 보편성을 가지고 있...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음력 정월 초사흘 날에 집안의 안녕을 위하여 주부가 지내던 고사. 고사를 지내기 전 주부는 목욕재계하고 대문에 금줄을 쳐서 부정을 막는다. 초사흘 고사는 주부가 중심이 되어 집안 식구끼리 제를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때로는 무당을 부르기도 한다. 초사흘 고사에 사용하는 제물은 설날에 만든 음식 중 남겨두었던 것으로 장만한다. 이 고사에 사용된 제물을...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정월 초에 한 해 농사의 풍작과 흉작을 가늠하는 관습. 설날부터 정월 12일까지는 12간지에 해당하는 동물을 기준으로 ‘털날’과 ‘털 없는 날’로 구분한다. 털날은 12간지의 동물에게 털이 있는 날로서 소, 호랑이 등 대부분의 동물이 해당된다. 반면 털 없는 날은 용과 뱀만 해당한다. 설날이 털날이면 그해에는 풍년이 든다고 생각하고 설날이 털 없는 날...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벼농사의 김매기가 끝나는 시기인 6월·7월에 농군들을 위로하는 잔치. 주로 소작을 주거나 머슴을 두고 있는 대농의 집에서 호미씻기를 주관하였으나 마을 단위에서 행사를 하는 경우도 있었다. 호미씻기를 하면 소나 돼지를 잡아 온 마을 사람들이 고기를 나누어 먹고 술을 마시면서 농군들을 위로하였다. 고기값은 마을 공동 작업인 두레에서 받은 돈으로 하고 술값...
세시놀이(세시놀이)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음력 정월을 비롯한 농한기에 마을 주민들이 집단으로 풍악을 치면서 가가호호를 방문하여 그 집의 안녕을 빌어주던 놀이. 마당을 비롯하여 부엌, 창고 등을 다니면서 풍악을 치면 부정한 것들이 사라진다고 믿는다. 집 주인은 풍악을 치는 풍악패에게 술과 음식을 대접하고 쌀이나 돈으로 사례를 하기도 한다. 여기서 거두어진 돈이나 쌀은 마을 공동 사업에 주로 사...
-
전리북도 남원시에서 행해지는 정월 대보름에 다리를 건너다니는 놀이. 마을 안이나 마을 가까이에 있는 큰 다리를 주로 이용하며 다리를 밟고 건너는 것이다.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누구나 할 수 있는 놀이이지만 다리가 약한 어린이나 노인들이 주로 하였다. 다리밟기를 하면 한 해 동안 다리가 아프지 않는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이는 하천을 건널 수 있도록 만든 다리가 튼튼하다는 것과 사...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정월 보름에 달을 가장 먼저 보기 위하여 동산에 올라가 달을 기다리는 풍습. 정월 보름에는 달을 먼저 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여 초저녁이면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동산이나 뒷산에 올라가 달을 기다렸다. 달을 가장 먼저 본 사람은 “달 봐라”고 외침으로써 자기가 가장 먼저 보았다는 사실을 알렸다. 동쪽에 달이 솟아오르면 달을 향해 두 손을 모으고 “달님...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정월 대보름에 짚으로 집을 짓고 달이 뜨면 그것을 태우던 놀이. 정월 보름 오후에는 청년과 장년들이 짚과 소나무 가지 그리고 나무 가지 등을 준비하고 달이 잘 보이는 곳에 달집을 지었다. 달집은 가능하면 크게 지었으며 달이 뜨는 방향을 향하여 문을 만들어 두어 달빛이 직접 달집 안으로 비췰 수 있도록 하였다. 남원에서는 달집을 ‘망월이’ 또는 ‘만올이...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백중날 그해 농사를 잘 지은 집 마당에서 농악단을 초청하여 풍물을 치면서 노는 놀이. 백중은 봄 농사가 마무리 되는 철이다. 이 때가 되면 농사를 많이 한 집에서 농사에 수고한 머슴들을 하루 쉬게 하면서 놀도록 한다. 이것이 마당 밟기이다. 마당 밟기는 원래 부정한 것을 몰아내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 농사를 하면서 수고한 사람들을 위로하는 성격도 강하...
-
전라북도 남원시 만복사에서 승려나 불교 신자들이 탑을 돌면서 기원을 하는 것. 사월 초파일에 특히 많이 행해지는 것으로서 종교적 성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 남원에서는 만복사 탑돌이가 특히 유명하다. 만복사 탑돌이와 토성밟기의 기원은 만복사가 건립된 고려 문종 때부터라고 전해온다. 「만복사저포기」에 보면 음력 3월 24일에 남원의 젊은 남녀와 지역 주민들이 만...
-
전라북도 남원시 만복사 인근 토성을 밟으면서 국태민안(國泰民安)을 빌었던 행사. 만복사는 남원부의 비보사찰로 창건되었다. 남원부는 풍수지리에 따르면 행주형(行舟形)이어서 무거운 돌이나 토성을 쌓아야 했기 때문에 만복사를 창건하였다. 만복사 탑돌이와 토성밟기의 기원은 만복사가 건립된 고려 문종 때부터라고 전해오며 토성밟기는 만복사 승려들이 중심이 되었으나 지역...
-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괴양리에서 삼동굿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당산제를 지낸 이후 샘에서 지내는 굿. 괴양리는 양촌, 음촌, 개신이라는 세 개의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이 마을에서는 백중이 되면 삼동굿놀이를 한다. 삼동굿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당산제를 지내게 된다. 당산제는 유교식으로 지내지만 당산제 이후 농악대를 앞세우고 양촌마을의 공동샘으로 가서 그 곳에서...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정월대보름에 달맞이를 하면서 깡통에 불을 담아 돌리면서 노는 놀이. 정월 대보름에는 달맞이를 한다. 달을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야산이나 언덕 위에서 달이 뜨기를 기다린다. 달이 뜨기를 기다리는 동안 달집을 만들기도 하고 해가 져서 어두워지면 줄이 달린 깡통에 숯과 풀, 나무토막 등을 담아서 돌린다. 불이 담긴 깡통을 돌리는 것이 놀이 방법이다. 어두...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걸립패나 굿중패·두레패가 넓은 마당에서 농악의 기예를 충분히 발휘하도록 짜서 노는 농악. 판굿은 농악의 일종이다. 농악은 농사와 관련된 음악을 말하는 것으로서 징, 꽹가리, 북 등의 타악기를 이용하여 리듬을 만들고 그에 맞추어 춤을 추는 것이다. 그러나 농사와 직접 관련되지 않고 이런 놀이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를 지역에 따라 굿, 금고, 매구, 풍...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봄철에 산이나 들에서 진달래 꽃잎을 따서 붙임 떡을 만들어 먹으면서 노는 놀이. 화전(花煎)은 진달래 꽃잎을 놓아서 부친 전을 말하는 것으로서 진달래가 만개하는 음력 3월~4월에 화전놀이를 하였다. 날을 잡아 친구들이나 가족끼리 산이나 들로 나가서 화전을 부쳐 먹으면서 하루를 즐겼다. 특히 음력 3월 3일에 화전놀이를 많이 하였다. 이 날은 3이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