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900535 |
---|---|
한자 | 月沙集木版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유물(일반) |
지역 |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 산115-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신용남 |
제작 시기/일시 | 1636년 - 월사집목판 제작 |
---|---|
제작 시기/일시 | 1688년 - 월사집목판 재판각 |
제작 시기/일시 | 1720년 - 월사집목판 별집 판각 |
보수|복원 시기/일시 | 1928년 - 월사집목판, 충청북도 옥천군으로 옮겨 결손 부분 판각 |
이전 시기/일시 | 1984년 - 월사집목판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로 이전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8년 3월 21일 - 월사집목판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3호 지정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월사집목판 경기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
현 소장처 | 연안 이씨 종중 장판각 -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 산115-1 |
원소재지 | 용연사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용연사길 260[반송리 산54-1] |
성격 | 목판 |
재질 | 목재 |
크기(높이, 길이, 너비) | 53㎝[가로]|28㎝[세로]|3㎝[두께] |
소유자 | 연안 이씨 월사공파 종중 |
관리자 | 연안 이씨 월사공파 종중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기도 유형문화재 |
[정의]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 연안 이씨 종중에 소장된 조선 시대 문장가 이정구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만든 목판.
[판각과 간행]
월사집목판은 조선 중기 4대 문장가의 한 사람으로 꼽히는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1564~1635]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만든 목판이다. 1636년(인조 14) 이정구의 아들 이명한(李明漢)[1595~1645]과 이소한(李昭漢)[1598~1645]이 당시 공주목사로 있던 최유해(崔有海)[1588~1641]에게 부탁하여 74권 22책으로 초간하였다. 이후 병자호란으로 초간본의 판목이 산실되고 훼손되자, 손자 이익상(李翊相)[1625~1691]과 증손자 이희조(李喜朝)[1655~1724]가 경상도관찰사 이세화(李世華)[1630~1701]의 도움을 받아 1688년(숙종 14) 원집 63권, 부록 5권, 합 20책을 목판으로 다시 간행하였다.
1720년(숙종 46) 이희조가 원집에 수록되지 못한 저자의 잡저, 차(箚), 서간, 묘도 문자들을 모아 7권 2책의 별집을 엮었는데, 종질(從姪)인 대구판관 이우신(李雨臣)[1670~1744]의 도움을 받아 대구에서 간행하여 원집과 함께 용연사(龍淵寺)에 보관하였다. 용연사에 보관되어 있던 월사집목판은 1928년에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이원리로 옮겨와 없어진 300여 판을 새로 새겼다.
[구성과 내용]
월사집목판은 원집 63권, 부록 5권, 별집 7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연보 2권이 1982년에 경문사(景文社)에서 영인한 『월사집』에 실려 있는데, 105판 분량의 목판본이다. 연보의 편집과 판각 연도는 알 수 없다. 1794년(정조 18)의 기사가 실린 점으로 보아 18세기 말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데, 1928년에 결손 부분을 판각할 때 함께 간행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원집 권 1~18은 시(詩), 권 19~63은 문(文)이다.
[형태]
월사집목판의 크기는 가로 53㎝ 내외, 세로 28㎝ 내외, 두께 3㎝ 내외이다. 좌우 양쪽 끝에 홈을 판 나무를 끼워 몸체가 뒤틀리지 않도록 하였다. 판광(板匡)[서책 책장의 사주(四周)를 둘러싸고 있는 검은 선]은 사주단변(四周單邊)[네 테두리를 한 줄의 선으로 두른 것]으로, 가로 30.5㎝, 세로 21㎝이다.
[현황]
월사집목판은 1984년에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에 있는 이정구 묘역 앞에 장판각(藏板閣)을 건립하여 이관하였다. 1988년 3월 21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3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