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안택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2414
한자 安宅祭
영어음역 Antaekje
영어의미역 Folk Rite for the House Guardian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강원도 강릉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장정룡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집안신앙
의례시기/일시 정초|10월
의례장소 집안
제관 가장|주부

[정의]

가신(家神)에게 복을 빌고 재액이 없기를 기원하는 제사.

[개설]

매년 정초에 성주신(성조)에게 한 해 동안 집안의 평안, 무병장수, 자손의 번창을 기원한다. 안택제는 정초와 추수가 끝난 10월 혹은 동짓달에 하며 해마다 하는 집도 있고 일 년에 두 번, 3년에 한 번씩 하는 집도 있으며, 한옥일 경우에는 대들보 중앙에 상을 차린다. 사업을 하는 집에서는 번창을 기원하는 뜻에서 매년 지내는 경우가 많고 무당을 부르거나 독경쟁이를 불러서 지내기도 한다.

[명칭유래]

안택제는 집안의 평안을 기원하는 뜻으로 집안의 으뜸신인 성주신에게 가장 먼저 기원하고 대상신에 따라 옮겨가며 조왕, 터주에게도 빈다. 강릉에서는 정초기도라 하며 안방에서 한 번에 집안신에게 빌기도 한다.

[연원]

조선시대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상원에서 정월 말까지 소경을 불러다가 안택경을 읽고 밤을 새우며 액을 막고 복을 빈다고 하고 10월 상달에도 떡과 과일을 차려놓고 무당을 데려와 성주신을 맞이하여 안택기도를 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변천]

조선 세종서거정(徐居正)의 『필원잡기(筆苑雜記)』에는 복을 빌고자 할 때나 집을 새로 지으면 반드시 경 읽는 소경 여럿을 불러 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다른 기록에는 무당들이 행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근래에는 농촌 집안에서 제사를 주관하는 가장이나 주부가 정초나 10월 달에 제물을 차려놓고 간단하게 비는 경우가 많다.

[신당/신체의 형태]

신당이나 신체는 별도로 만들지 않고 안방이나 대청 등에 상을 차리고 신체는 건궁에 하는데 성주신에게는 새로 대들보에 한지를 무명실로 묶어서 건다.

[제관의 선정 및 역할]

제관은 대부분 집안대주인 남자가 하고, 주부가 부엌에서 지내기도 한다. 바다 일을 하는 선주나 사업하는 사람들은 무당이나 독경쟁이가 대신 해주기도 한다.

[절차]

제관이 되는 가장은 당일 문 앞에 금줄을 치고 바깥출입을 하지 않으며 깨끗하게 목욕재계한 채 제사 시간을 기다린다. 강릉에서는 백설기와 팥시루떡을 시루째 제상에 올려놓고 삼색 실과와 주과포 등을 차린다. 새벽 자시가 되면 도포 차림에 유건을 쓴 가장이 제사를 지내며, 끝난 뒤에는 음복을 하고 ‘봉송’이라 하여 떡을 이웃에 나누어준다.

[금기]

안택을 지내는 집에서는 수일 전부터 미리 대문에 금줄을 치고 황토를 집 앞의 양쪽으로 여러 번 뿌려둔다. 제관은 외부 출입을 하지 않고 상갓집이나 결혼식에도 가지 않으며 부부간에 합방도 피한다.

[옷차림]

전통적인 집안에서는 제관이 도포나 두루마기를 입는데 대부분 별도의 옷 대신 깨끗한 흰색 옷을 입는다.

[축문]

안택을 각자가 알맞은 말로 가정의 평안과 번창을 간절히 고축하고 절을 하는 집이 있다. 유교식으로 할 경우 『축규총집(祝規叢集)』에 의하면 안택축원문을 한문으로 써서 독축을 하거나, 부엌에서는 조신축(竈神祝), 안방에서는 가택성조축(家宅成造祝), 마당에서는 가택토지축을 읽고 새로 집을 지어 입주할 경우는 개성조개기축(開成造開基祝)을 읽는다.

[현황]

강릉 지역에서 안택을 할 때 종가집이나 바닷가 어업을 하는 선주는 해사의 번창과 무사고를 기원하는 성주제를 지내고 배에 가서 배성주제를 지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