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에서 해마다 음력 2월에 전쟁에서 사망한 원혼을 위로하고자 지내는 마을 제사. 은산별신제는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 주민들이 마을 사당인 은산별신당(恩山別神堂)에 모여 백제 군사의 넋을 위로하고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이다. 제사 날짜는 해마다 음력 2월로 정하며 보통 보름 동안 약 100여 명의 인원이 참가한다. 은산별신제에서는...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내지리에서 피부병을 물리치기 위해 행하는 주술적인 민속놀이. 단잡기란 ‘단(丹)’이라는 질병에 걸린 환자를 민간에서 주술적인 방법으로 치유하는 민간요법이다.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내지리에서 전승되어 오는 내지리단잡기(內地里 丹잡기)는 이러한 단잡기 풍속을 민속놀이화한 것으로, 사람이 많이 참가할수록 효과가 있다 하여 마을 사람들이 대부분 참여하는 집단적인...
충청남도의 내포 지역인 부여군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시조창. 내포제시조는 충청남도 내포 지역에서 전하는 시조창이다. 시조를 가창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나누면 서울 중심의 경제(京制)와 이외 지방의 향제(鄕制)로 나뉜다. 그중 향제는 지역과 가창 특성에 따라 나뉜다. 경기도의 경제, 전라도의 완제(完制), 경상도의 영제(嶺制), 충청도의 내포제로 구분하고 있다. 내포(內浦)는 금강(錦江...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용정리 일대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상엿소리의 전통과 관련된 의식요. 부여용정리상여소리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용정리 일대에서 전하는 상엿소리의 전통과 관련된 의식요이다. 노래가 시작된 시기를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과거 두레 형식의 상조계에서 동네의 상례와 관련된 일을 도맡아 하던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서 전하여지는 노동요이자 유희요. 「산유화가(山有花歌)」는 넓은 지역에서 채록되고 있지만, 가사를 살펴보면 부여의 지명과 백제 고사들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부여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인 산유화가의 내용에는 나라를 잃은 백제 유민들의 애환이 반영되어 있다. 한편 산유화가는 농사를 지으며 부르는 농요이기도 하므로, 농사일의 속도와 맞아떨어지는 장단으로...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동사리에서 두레를 조직하여 논매기를 할 때 행하던 풍물놀이. 두레풍장은 두레꾼들이 논을 매거나 흥겨운 놀이판을 벌일 때 치고 노는 풍물놀이이다. 세도두레풍장은 지금의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동사리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과거 전승되던 특유의 풍물굿을 일컫는다. 가락은 느린 듯하면서도 역동적이고, 특별한 기교를 부리지 않아도 흥이 절로 나는 투박함이 있다. 이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