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해군읍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0538
한자 寧海郡邑誌
영어공식명칭 Yeonghae-gun Eupji
이칭/별칭 경상북도 영해군읍지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이재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899년연표보기 - 『영해군읍지』 편찬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향토지
편자 영해군
간행자 영해군
권책 1책 21장
행자 20행 10자
규격 27.3×19.5㎝
어미 상하내향어미(上下內向魚尾)
권수제 영해군읍지(寧海郡邑誌)

[정의]

1899년 편찬된 경상북도 영해군의 읍지.

[편찬/간행 경위]

1895~1896년 지방제도를 개편한 대한제국은 1899년(광무 3) 4월 각 고을에서 읍지와 지도를 각 2건씩 정서하여 제출하라는 ‘읍지수상령’을 내부(內部)를 통해 지시하였다. 이에 영해군수는 기존에 편찬된 읍지를 참조하여 『영해군읍지』를 편찬하였다.

[형태/서지]

『영해군읍지』는 1책 18장으로, 행자수는 20행 10자, 규격은 세로 27.3㎝, 가로 19.㎝, 어미는 상하내향어미(上下內向魚尾)이다. 권수제는 '영해군읍지(寧海郡邑誌)'이며, 판심제는 없다.

[구성/내용]

전형적인 『경상도읍지』 유형으로 항목은 영해군지지도(寧海郡地之圖), 건치연혁, 군명, 관직, 성씨, 산천, 풍속, 방리, 호구, 전부, 군액, 성지, 임수(林藪), 창고, 군기, 관애[무(無)], 진보[무(無)], 봉수, 학교, 단묘, 총묘[무(無)], 불우, 공해, 누정, 도로, 교량, 도서, 제언, 장시, 어염(魚鹽), 역원, 목장[무(無)], 형승, 고적, 토산, 진공, 봉름, 관적(官蹟), 과거, 인물, 제영, 비판(碑板)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호구는 1,998호인데, 1871년 편찬한 『영남읍지』의 1,503호보다 많지만, 1760년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의 2,355호, 1786년 편찬된 『경상도읍지』의 2,455호, 1832년 편찬된 『경상도읍지』와 1878년에 편찬한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읍지』의 2,503호보다는 적은 수치이다. 군액은 1899년의 상황을 반영하여 금무(今無)라고 하여 해당 내용이 없음을 밝혀 놓았다. 『경상도읍지』의 항목인 능묘 편은 총묘 편, 환적 편은 관적 편으로 변경하였다. 관적 편은 1899년 영해군수로 부임한 서민순(徐敏淳)까지 수록하였다.

1871년 편찬 『영남읍지』 인물 편에는 1694년 갑술환국으로 희생된 이현일(李玄逸)에 대하여 이휘일(李徽逸)의 동생이라는 사실만을 기재하였는데, 이 읍지에서는 신원(伸冤)되지 않은 상태였는데도 좀 더 상세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비판에는 남민(南敏)과 이곡(李穀)·이색(李穡) 유허비 비문 전체와 안평대군의 병풍판(屛風板)을 수록하였다.

[의의와 평가]

『영해군읍지』는 갑오개혁[1894~1896] 이후 경상북도 영해군의 사회적·경제적 변화상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전반적으로 1871년 편찬된 『영남읍지』「영해읍지」를 바탕으로 일부 내용을 수정하였지만, 건치연혁 편 등에 지방행정 제도 개편 내용은 반영하지 않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