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0539
한자 慶尙北道盈德郡邑誌
영어공식명칭 Gyeongsangbuk-do Yeongdeok-gun Eupji
이칭/별칭 영덕군읍지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이재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899년연표보기 - 『경상북도영덕군읍지』 편찬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향토지
편자 영덕군
간행자 영덕군
권책 1책 18장
행자 20행 10자
규격 27.3×19.5㎝
어미 상하내향어미(上下內向魚尾)

[정의]

1899년 편찬된 경상북도 영덕군의 읍지.

[개설]

『경상북도영덕군읍지(慶尙北道盈德郡邑誌)』는 1899년(광무 3) '읍지수상령(邑誌修上令)'에 따라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편찬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1895~1896년 지방제도를 개편한 대한제국은 1899년(광무 3) 4월 각 고을에서 읍지와 지도를 각 2건씩 정서하여 제출하라는 ‘읍지수상령’을 내부(內部)를 통해 지시하였다. 이에 영덕군수는 기존에 편찬된 읍지를 참조하여 『경상북도영덕군읍지』를 편찬하였다.

[형태/서지]

『경상북도영덕군읍지』는 1책 18장의 필사본이며, 행자수는 20행 10자, 크기는 세로 27.3㎝, 가로 19.5㎝, 어미는 상하내향어미(上下內向魚尾)이다. 표제는 '경상북도영덕군읍지(慶尙北道盈德郡邑誌)'이고, 권수제와 판심제는 없다.

[구성/내용]

『경상북도영덕군읍지』 항목은 영덕군 지도, 강역, 건치연혁, 군명, 성씨, 직관(職官), 고적, 부곡, 봉름, 공해(公廨), 궁실, 누대제영(樓臺題詠), 창고, 조적(糶糴), 전부(田賦), 군액(軍額), 풍속, 고적, 토산, 진공, 사묘(祠廟), 교원(校院), 명산대천, 불우, 제언, 교량, 우역(郵驛), 봉수, 장시, 능묘[무(無)], 충효열(忠孝烈), 수재(守宰), 인물, 방리(坊里), 부(附), 호구(戶口)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누대제영 편에는 청심루(淸心樓)·임벽정(臨碧亭)에 게시한 시를 다수 수록해 놓았다. 고적조에 실린 빙혈(氷穴)·용추(龍湫)·소라암(素螺巖)은 1871년에 편찬된 『영남읍지』 「영덕읍지」의 형승(形勝)에 용암(龍巖)과 함께 실려 있다. 수재 편에는 1896년 영덕군수로 부임한 강봉흠(姜鳳欽)까지 수록하였다. 총 인호(人戶)는 1,815호인데, 1760년 『여지도서』의 3,199호, 1786년 『영남읍지』의 3,760호, 1841년 『영남여지』의 3,795호, 1871년 『영남읍지』 및 1878년에 편찬한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읍지』의 3,809호보다 훨씬 적은 수이다. 다른 읍지와 달리 지도는 검은색 먹만을 사용하였다.

[의의와 평가]

『경상북도영덕군읍지』는 갑오개혁[1894~1896] 이후 경상북도 영덕군의 사회적·경제적 변화상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그러나 일부 내용을 제외하면 1871년 편찬된 「영덕읍지」의 수록 항목과 내용이 거의 동일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