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0391
한자 伽倻山山城
영어공식명칭 Gayasansanseong Fortress, Seongju
이칭/별칭 용기성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산56-2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정은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0년 - 가야산 산성 대구대학교 박물관에서 지표 조사 실시
문화재 지정 일시 2003년 5월 22일연표보기 - 가야산 산성 경상북도 기념물 지정
현 소재지 가야산 산성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산56-2 지도보기
원소재지 가야산 산성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산56-2
성격 산성
양식 포곡식
크기(높이,길이,둘레) 7.2㎞[전체 둘레]
면적 2,1㎡
소유자 경상북도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북도 기념물

[정의]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가야산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건립 경위]

조선 시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의 문헌 자료에 가야산 산성(伽倻山山城)의 축성 기록이 남아 있으나, 처음 축조한 연대나 건립 경위 등은 명확하지 않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석축 둘레가 1만 5935척[4.83㎞], 높이가 5척[1.52m]이고 성내에 샘이 10개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임진왜란(壬辰倭亂) 시 체찰사(體察使) 이원익이 조정의 명으로 승장(僧將) 신열을 시켜 개축하였고, 전쟁 중에는 인근 백성들의 피난처로 이용하였다고 전한다. 가야산 산성용기성(龍起城)이라고도 한다.

[위치]

가야산 산성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산56-2번지에 있다.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와 경상남도 합천군 일대에 있는 가야산(伽倻山) 정상인 칠불봉[해발 1,433m]의 동남쪽에 자리한다. 용기골의 좌우, 상아덤과 재골산(才骨山)의 능선을 따라 축성되었다.

[형태]

가야산 정상인 칠불봉 동남쪽에 계곡을 끼고 축성되어 있는 포곡식 산성이다. 면적은 2,1㎡이며, 전체 둘레가 대략 7.2㎞ 정도인 석축 산성이다.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에서 용기사지(用起寺址)로 올라가는 계곡을 따라 1㎞ 정도 되는 지점에 석축이 남아 있는데, 계곡을 가로질러 합천군과 경계를 이루는 정상의 서쪽 능선을 따라 잔존한다. 일부 남아 있는 성벽은 직경 50㎝ 내외의 산돌[반상 화강암과 편마암 계통]을 이용하여 축성하였고, 일부는 자연 암반을 이용하여 성벽을 조성하였다.

[현황]

가야산 산성은 대부분은 무너져 일부 구간에만 성벽이 남아 있다. 현존하고 있는 성벽은 대략 20m 정도로 평균 높이가 1.5m이다. 2000년 대구대학교 박물관에서 실시한 지표 조사 당시 성의 둘레는 7,156㎞, 내부 면적은 2.1㎢로 보고되었다. 동서남북의 성문과 암문(暗門), 치성(雉城), 망루(望樓), 장대(將臺), 7개의 천과 1개의 우물이 있던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성안에는 용기사지와 백운암(白雲庵) 터, 일요암(日曜庵) 터 등의 절터가 남아 있다. 2003년 5월 22일에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가야산 산성은 대가야의 이궁(離宮)으로 추정되는 삼국 시대의 석축 산성이다. 조선 숙종 때 독용산성(禿用山城)이 수축됨에 따라 퇴락하였으나, 산성의 구조와 당시 관방 유적으로서의 기능을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유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