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602438 |
---|---|
한자 | 默齋先生遺稿 |
영어음역 | Mukjae Seonsaeng Yugo |
영어의미역 | Posthumous Works of Master Mukjae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전라북도 남원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손앵화 |
성격 | 시문집 |
---|---|
관련인물 | 양처제(梁處濟)[1643~1716]|양재윤(梁在允) |
저자 | 양처제(梁處濟)[1643~1716] |
편자 | 양재윤(梁在允) |
간행자 | 양재윤(梁在允) |
편찬연도/일시 | 1959년 |
간행연도/일시 | 1959년![]() |
권수 | 2권 |
책수 | 2책 |
사용활자 | 석인본(石印本) |
가로 | 18.6㎝ |
세로 | 28.6㎝ |
표제 | 黙齋先生遺稿 |
소장처 | 전남대학교 도서관 |
소장처 주소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300[용봉로 77] |
1959년에 간행된 조선 후기의 학자 양처제의 유고 시문집.
양처제(梁處濟)[1643~1716]의 자는 계통(季通), 호는 묵재(黙齋)이다. 함양(咸陽)에서 출생하여 남원으로 이거한 후 주로 남원에서 활동하였다.
9세손 양재윤(梁在允)이 책머리에 기노장(奇老章)의 서문을, 끝에 자신의 발문과 「동간록(同刊錄)」을 수록하여 1959년에 간행하였다.
계명대학교 도서관과 성균관대학교 존경각,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본서의 저본은 1959년 석인본(石印本)으로 간행된 전남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이다.
2권 2책이며, 석판본이다. 표제는 묵재선생유고(黙齋先生遺稿)이다. 어미는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花紋魚尾), 광곽은 사주쌍변(四周雙邊)이다. 반곽 크기는 가로 15㎝, 세로 22.8㎝이다. 행수는 11행, 한 행의 자수는 28자, 주석은 쌍행이다.
책의 편차는 권1에 시(詩) 61수, 권2에 소(疏) 12편, 권3에 서(書) 117편, 권4에 잡저 13편·서(序) 18편·제발(題跋) 6편·고축문(告祝文) 3편·제문 16편·묘지명 3편, 권5에 유사 7편, 권6은 부록으로 화감군은시(和感君恩詩) 2편과 행장·묘갈명 각 1편 및 종유록(從遊錄)·문인록(門人錄) 등이 실려 있다. 권2의 소 중에 「응지청친도남북교소(應旨請親禱南北郊疏)」는 가뭄에 대한 왕의 구언(求言)에 응답하여 올린 것으로, 왕이 친히 도천(禱天)할 것을 권하는 내용이다. 「상선원계보기략소(上璿源系譜紀略疏)」는 왕실의 계보에 관한 여러 문제를 거론한 것으로, 「의진봉사(擬進封事)」·「악사등상소(樂師等上疏)」와 함께 숙종 말기의 궁중사를 연구하는 데 참고 자료가 된다. 「위선사문순공변무소(爲先師文純公卞誣疏)」와 「관학청사계종사재소(館學請沙溪從祀再疏)」에서는 저자의 융사(隆師)에 대한 심도와 당시 당쟁으로 인한 정치 상황 등을 알 수 있다. 이밖에 잡저에 들어 있는 「편당설(偏黨說)」·「도설(道說)」 등과 서(書)의 「상명재(上明齋)」·「여오판서관지(與吳判書貫之)」·「여서상국(與徐相國)」·「여김판서수보(與金判書壽甫)」 등은 당시의 당쟁사 연구에 도움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