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 승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601526
한자 南原實相寺片雲和尙僧塔
영어음역 Silsangsa Pyeonun Hwasang Budo
영어의미역 Stupa in Memory of Priest Pyeonun in Silsangsa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산 3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
집필자 김현중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7년 3월 31일연표보기 -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 승탑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4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 승탑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성격 석부도
건립시기/연도 910년연표보기
재질 화강암
높이 높이 182㎝|탑신 폭 57.5㎝
소재지 주소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산 3 지도보기
소유자 대한불교 조계종 실상사
문화재 지정 번호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정의]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실상사에 있는 신라 시대 편운화상의 석부도(石浮屠).

[개설]

부도(浮屠)는 스님의 사리나 유골을 넣은 종 모양의 석탑으로, 신라 하대부터 만들어졌다. 부도의 주인인 편운화상은 행적을 잘 알 수는 없으나, 수철화상과 더불어 지리산 실상사의 개창조(開創祖)인 홍척국사의 상수 제자였다. 2017년 3월 31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4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건립경위]

편운화상은 중국 당나라에서 수학하고 귀국한 홍척국사지리산에서 만나 그의 첫 번째 제자가 되었다. 홍척국사는 후에 설악산에서 수철화상을 만나 제자로 삼고 자신의 법맥(法脈)을 잇는 제2조사로 삼는다. 수철화상실상사를 크게 확장하고 경문왕, 혜성왕, 헌강왕, 진성여왕 등 신라 왕실과 지속적인 교분을 갖는다. 현재 실상사극락전 주변에는 홍척국사수철화상의 부도탑과 탑비가 보존되어 있다.

한편 편운화상의 부도는 두 스님의 부도에 비해 규모와 크기가 왜소하고, 경내로부터 300여m 떨어진 산자락에 세워져 있다. 홍척국사수철화상은 입적(入寂) 후 국가에서 시호와 탑호를 하사하고 국가적 사업으로 탑과 비를 건립하였다.

성주(星州)에 안봉사(安峰寺)를 창건한 편운화상은 입적 직후 910년 실상사에서 그의 문도들이 스님을 기려 부도를 세운 것 같다. 당시 남원 지역은 서기 900년에 완산주(전주)에서 후백제를 세운 견훤의 영역이었다. 편운화상부도에 “정개 10년 경오년에 세우다”라는 명문으로 미루어보면, 이때 실상산문은 후백제의 건국을 기정사실로 인정하고 이에 적극 협조했던 것으로 보인다.

[형태]

보물 제38호로 지정된 홍척국사의 증각대사응료탑과 보물 제33호로 지정된 수철화상의 ‘수철화상능가보월탑’은 완전한 형식을 갖춘 전형적인 신라 시대의 부도임에 비해,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 승탑은 크기도 왜소하고 형식도 단순하다.

탑은 크게 네 개의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 높이는 182㎝이다. 대석(臺石)은 높이 80㎝로 윗부분은 원형으로 다듬어져 있고, 지름이 48㎝이며, 아랫부분은 엎어놓은 대접 형태로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제일 아랫부분은 지름 124㎝의 원형으로 무늬가 없다.

탑신은 시루 형태로 가운데 부분에 4㎝ 정도의 띠를 새겨 둘렀으며 탑호와 건립 연대가 음각되어 있다. 탑신 위에는 삿갓 모양의 지붕돌[옥개석]이 씌워져 있다. 지붕돌의 지름은 100㎝이며 높이는 33㎝이다. 지붕돌 위에는 높이 32㎝, 삿갓 부분의 지름 33㎝인 송이버섯 모양의 보주가 올려져 있다.

[금석문]

탑신의 정면에 “실상사 창건조인 홍척화상의 제자로 안봉사를 창건한 편운화상의 부도, 정개 10년 경오년에 세운다(創祖洪陟弟子 安峰創祖 片雲和尙浮屠 正開十年庚午歲建)”는 명문이 있다. 여기서 ‘정개(正開)’는 후백제 왕 견훤의 연호로 정개 10년은 신라 효공왕 14년, 서기 910년에 해당한다.

[현황]

실상사에서 약수암으로 올라가는 길 왼편에 조선 후기의 암자인 조계암(曹溪庵) 터가 있는데, 여기에 다른 3기의 부도와 함께 서 있다. 지대석은 잘려나가서 하대석 밖으로 보이지 않으며, 대석 윗부분은 전체적으로 깨져 있다.

시루 모양의 탑신은 윗부분이 둘레 1m 가량 깨져나갔다. 지붕돌은 50㎝ 가량씩 두 군데가 상당 부분 깨져 있고 한 군데는 20㎝ 가량 파손되었다. 송이 모양의 보주는 삿갓 부분과 기둥 부분 모두 일부 떨어져 나갔다.

[의의와 평가]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 승탑은 실상사 경내에 위치한 수철화상능가보월탑 및 증각대사응료탑은 물론 신라 하대에 조성된 전형적인 부도와 매우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부도의 주인과 건립 연대를 알 수 있는 명문이 있고, 견훤의 후백제 영역에서 만들어진 부도라는 점 등에서 역사적 의의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아직까지 본격적인 학술 조사가 시행되지 않고 방치되어 있어 그 보존 상태가 매우 불량하다. 연구 조사 후 문화재로 지정하는 등 보호 대책이 요청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