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유물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165
한자 光州紫雲寺木造阿彌陀如來坐像腹藏遺物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동구 지호로 106번길 8-8[지산동 95-3]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최원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6년 12월 29일연표보기 -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보물 제1507호 지정
현 소장처 자운사 - 광주광역시 동구 지호로 106번길 8-8[지산동 95-3]지도보기
성격 유물(일반)|복장품|불교 공예|불교 전적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제1507호[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복장유물]

[정의]

광주광역시 동구 지산동 자운사에 있는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을 개금할 때 수습된 복장유물.

[개설]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유물(光州紫雲寺木造阿彌陀如來坐像腹藏遺物)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光州紫雲寺木造阿彌陀如來坐像)을 2000년 중수개금(重修改金) 당시 복장에서 수습된 전적류 10건, 직물류 57점, 금속 및 기타 14점의 유물이다. 2006년 12월 29일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光州紫雲寺木造阿彌陀如來坐像)과 함께 보물[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복장유물]로 지정되었다.

[형태]

전적류 중에서 기문 및 중수 원문은 1388년(고려 우왕 14)에 작성된 중수기문(重修記文) 1점과 1611년(광해군 3)에 쓰인 중수원문(重修願文) 2점, 시주된 물품 목록을 기록한 시주물목(施主物目) 1점 등 4점이다. 이와 같은 중수발원문(重修發願文)은 복장의 조성 시기와 중수 연대를 추측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경전에 실린 근본 원리를 짧게 요약한 다라니(陀羅尼)는 여의보인대수구다라니범자군다라상(如意寶印大隨求陀羅尼梵字軍陀羅相) 1점, 십이천만다라(十二天曼茶羅) 1점이 있으며, 경전은 『소자본 묘법연화경(小字本妙法蓮華經)』 1종 1책, 『주금강반야바라밀경(註金剛般若波羅密經)』 1종 1책, 『을해자복각본 묘법연화경(乙亥字覆刻本妙法蓮華經)』 1종 6책이 있다.

중수기문과 중수원문에는 '홍무(洪武) 21년'이라는 연대가 기록되어 있어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유물의 조성 시기 및 중수 연대를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여의보인대수구다라니범자군다라상은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되는 자료로 상단의 다라니 명칭 아래에 다라니 경문이 원형을 이루고 있는데, 중앙에 비로자나불(毗盧遮那佛)을 두고 그 주위를 범자(梵字)로 19개의 원을 그리고 있으며, 테두리에는 여러 형상의 군다라상(軍陀羅相)이 새겨져 있다. 다라니에 '대정(大定) 24년[1184년(고려 명종 14)]'이라는 중국 금나라 세종의 연호가 있어 다라니의 제작 시기를 짐작하게 한다.

경전 중에 『소자본 묘법연화경』은 원본이 대만과 일본 등에 소장된 송판 27자본 법화경 소자본의 복각 계통으로, 국내에서는 처음 발견된 유일본으로 불교 판본학(板本學)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이 외에 목제류와 직물류 유물이 24점이 포함되어 있다. 목제류는 불경을 넣어 두는 경갑(經匣), 동제 방울 후령(喉鈴), 복장물을 넣어 두는 후령통(喉鈴筒)이 있다. 직물류는 각종 비단과 명주 조각 20점이 있다.

[의의와 평가]

섬유류의 유물이 존속하기 어려운 우리나라의 기후와 환경 조건 등을 고려할 때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유물 중에 직물류는 역사적·민속적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1611년(광해군 3)에 내장된 후령통, 팔엽연화(八葉蓮花), 오보병(五寶甁) 등은 불교학과 불교미술 도상(圖像) 연구에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