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고전문학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1260
한자 古典文學
영어공식명칭 Classical literatur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인숙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 지역과 연관되어 전근대 시기까지 창작되고 향유된 문학 활동.

[개설]

서울특별시 동작 지역의 고전문학은 삼국 시대 이후 고려 시대,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동작 지역의 자연, 지형, 풍습, 인물, 역사적 사건 등을 주요하게 다룬 작품 및 동작 지역에 연고를 둔 작가의 작품을 말한다.

서울특별시 동작 지역의 고전문학은 한강의 남북을 이으며 경기 남부 지역으로의 길목 역할을 했던 동작 지역 특유의 지리적 특성을 잘 보여준다.

주제적으로 크게 나누어 본다면 첫째, 노량나루·동작나루·흑석나루를 중심으로 이별의 감회를 노래하는 작품과, 둘째, 정조의 수원 능행길에 관련된 내용을 다룬 작품, 셋째, 사육신을 소재로 한 작품, 넷째, 현재 국립서울현충원 국립묘지 자리에 있는 사찰인 화장사를 배경으로 한 작품 등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대표 작가]

서울특별시 동작 지역과 관련된 지리적·역사적 소재를 작품으로 남긴 대표적인 고전문학 분야에서의 주요 작가로는 성삼문(成三問)[1418~1456], 이산해(李山海)[1539~1609], 정조(正祖)[1752~1800], 정약용(丁若鏞)[1762~1836], 김매순[1776~1840], 박제가(朴齊家)[1750~1805], 유만공(柳晩恭)[1793~1869], 이기(李沂)[1848~1909] 등이 있다.

[대표 작품]

서울특별시 동작 지역에 관련된 고전문학 작품에서 대표적인 한시 작품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성삼문「격고최인명(擊鼓催人命)」은 처형을 앞둔 비장한 심정을 담은 한시이다. 정조「효차용양봉저정(曉次龍驤鳳翥亭)」은 화성 능행길에 쉬어가는 노량나루 남쪽 정자인 용양봉저정을 배경으로 하였다. 정약용「과주교(過舟橋)」정조의 화성 행차시에 만들었던 배다리의 성대함을 묘사하였고, 「만도동작진작(晩渡銅雀津作)」「야과동작도(夜過銅雀渡)」는 각각 지방관 부임과 유배길에서의 동작나루를 배경으로 한 시이다. 박제가의 「효도동작강(曉渡銅雀江)」과 이기의 「노량박주사기준강정(鷺梁朴主事基俊江亭)」은 조선 후기 당시 동작나루터의 생생한 풍경을 보여준다. 이산해의 한시 「증화장사승홍준(贈花莊寺僧弘俊)」과 김매순의 한문 산문 「유화장사기(遊華藏寺記)」는 동작 지역의 유서 깊은 절인 화장사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