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서행보」[모당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549
한자 答徐行甫[慕堂集]
영어공식명칭 Reply to Seo Haeng-bo
이칭/별칭 서행보에게 답하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250-11[황금동 79-4]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곽명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53년 - 손처눌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34년 - 손처눌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784년 - 『모당집』에 「답서행보」[모당집] 수록
배경 지역 청호서원 -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250-11[황금동 산79-4]지도보기
성격 서간류|서
작가 손처눌

[정의]

대구의 청호서원에 제향된 조선 후기 문인 손처눌서사원이 보낸 음식과 편지에 쓴 답장.

[개설]

「답서행보(答徐行甫)」[모당집]를 쓴 손처눌(孫處訥)[1553~1634]은 본관이 일직(一直)이며, 자는 기도(幾道)이고, 호는 모당(慕堂)이다. 아버지는 손수(孫遂)이고, 어머니는 한산이씨(韓山李氏) 이탄(李坦)의 딸이다. 정구(鄭逑)[1543~1620]의 문인이다. 장현광(張顯光), 서사원(徐思遠), 곽재겸(郭再謙), 유요신(柳堯臣) 등과 교유하였다. 학문과 효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대구 지역 인사들과 공산의진군(公山義陣軍)을 조직하여 왜적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서사원과 함께 대구 지역의 강학 활동에 힘써 대구 문풍(文風)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연경서원, 선사재 등에서 강학하였다.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청호서원(靑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1784년 간행된 『모당집(慕堂集)』이 있다.

서사원[1550~1615]은 본관이 달성(達城)이고, 자는 행보(行甫)이며, 호는 낙재(樂齋) 혹은 미락재(彌樂齋)이다. 경상북도 성주 팔거현(八莒縣)[현 대구광역시 북구 칠곡 일대]에서 출생하였다. 서사원의 본가는 대구 남산(南山)의 옛 역터이다. 서사원은 임진왜란기를 중심으로 영남에서 구국 활동을 전개하는 한편 열악한 환경에서 학문 연마와 강학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황(李滉)의 학맥을 계승한 정구를 찾아가 배웠고, 정구서사원을 사우(師友)로 대우하였다. 장현광, 곽재겸, 손처눌 등과 교유하였다. 서사원의 위패는 청주의 구계서원(龜溪書院)에 봉안되었고, 2008년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구암서원(龜巖書院)에 배향되었다. 저서로 『낙재집(樂齋集)』, 『낙재선생문집』이 있다.

[구성]

「답서행보」[모당집]서사원이 보내 준 의물(儀物) 음식에 대한 감사의 인사이다.

[내용]

「답서행보」[모당집]의 전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어제 회탕주를 과음하여 기운이 어지러워 매화 창 아래에서 막 졸고 있었는데, 갑자기 심부름꾼이 편지를 가지고 왔습니다. 그리고 성대한 잔치의 음식을 궁벽한 산간의 적막한 구석까지 보내어 주시니, 절하여 받음에 감사함이 그지없고 사례할 길이 없습니다. 예(禮)라는 것은 당연히 베풀어야 하는 곳에 베풀면 마음이 편안하고, 당연히 베풀면 안 되는 곳에 베풀면 마음 또한 편안하지 않습니다. 이처럼 성대한 예물을 어찌 변변치 못한 벗에게까지 미치셨습니까? 두렵고 두렵습니다. 나머지는 강학하는 날에 말씀드리겠습니다[昨日過飮灰湯酒, 氣甚憒亂, 方睡梅窻之下, 忽得專价垂書. 且以盛饗餘餕, 投寄窮山寂寞之濱, 拜受感戢, 無以爲謝. 凡禮施於所當施, 則心爲之安, 施於不當施, 則心亦不爲之安. 如此盛儀, 豈宜及於賤損之友哉? 悚仄悚仄. 餘在講日奉款].”

[특징]

「답서행보」[모당집]손처눌의 지극한 겸양의 덕을 확인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답서행보」[모당집]서사원과의 친밀한 교우 관계와 선비들이 예물(禮物) 음식을 나누는 풍속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손처눌서사원은 왜란 때 의병을 조직하여 함께 왜적을 물리쳤고, 전쟁 후에는 대구 지역에서 강학 활동을 하며 평생 지기(知己)로 교우 관계를 친밀히 유지하였다. 실제 손처눌『모당집』서사원『낙재집』에는 서로 주고받은 편지와 시가 다수 수록되어 있다. 본문에 등장하는 회탕주(灰湯酒)는 숯을 사용하여 걸러 낸 술의 한 종류로 추정된다. 「답서행보」[모당집]의 창작 시기는 불분명하나 편지의 분위기와 ‘강학하는 날[講日]’이라는 단어로 봤을 때, 왜란이 평정된 후 대구 지역에서 강학 활동을 펼쳤던 1600년 초 창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