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943
한자 趙秉旋
영어공식명칭 Jo Byeongseo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민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44년 3월 15일연표보기 - 조병선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9년 3월 1일 - 조병선 부여 홍산면 장터에서 단독 만세 시위 전개
몰년 시기/일시 1934년 11월 27일연표보기 - 조병선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22년연표보기 - 조병선 대통령 표창 수훈
출생지 내대리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 내대리 지도보기
활동지 홍산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지도보기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정의]

충청남도 부여 출신의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조병선(趙秉璇)[1844~1934]은 1844년 3월 15일 부여군 옥산면 내대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홍산면 장터에서 혈서로 작성한 현수막을 들고 단독으로 독립 만세 시위를 전개하였다.

부여 지역 3·1 운동은 다른 지역에 비하여 이른 시기에 발생하였다. 3월 2일 이미 천도교 조직을 통하여 「독립선언서」가 반입되었고, 3월 6일 임천면은산면에서 천도교도들이 주도하여 면사무소와 보통학교 앞에서 만세 시위를 벌였다. 3월 7일에는 부여 면민들이 백마강 나루터에 모여 읍내에서 시위를 하였고, 홍산에서는 산상 횃불 시위가 벌어져 헌병이 출동하였다.

조병선은 단독 시위 후 헌병분견소에 끌려가 1주일간 구금되었다가 공주지청으로 이관되었으나, 당시 도참여관(道參與官)과 부여군수를 역임한 지희열의 주선으로 1개월 만에 석방되었다. 조병선은 1934년 11월 27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조병선의 공적을 기려 2022년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부여군지』 (부여군지편찬위원회, 2003)
  • 공훈전자사료관(https://e-gonghun.mpva.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