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600544
한자 印楚璿墓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능묘
지역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용동2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해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성 시기/일시 1997년연표보기 - 인초선 묘 조성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1606년 - 인초선 출생
현 소재지 인초선 묘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용동2리 지도보기
성격
양식 봉분
관련 인물 인초선
봉분 크기/묘역 면적 277㎝[묘비 전체 높이]|177㎝[비신 높이]|63㎝[비신 너비]|33㎝[비신 두께]

[정의]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용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무장 인초선의 묘.

[개설]

인초선 묘예산군 삽교읍 용동2리 중용마을에 있다. 예산군 삽교읍 용동리는 교동인씨(喬桐印氏)의 세거지이고, 덕산면 낙상리와 함께 예산의 대표적인 교동인씨 집성촌이다. 삽교읍은 조선시대 덕산현 지역이다. 『병자별시문무과방목(丙子別試文武科榜目)』에 인초선(印楚璿)[1606~?]의 무과 급제 사실이 기록되어 있는데, 인초선의 거주지가 덕산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인초선은 조선 인조 때 무관으로 자는 여제(汝濟)이며, 본관은 교동(喬桐)이고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인치명(印致明)의 아들이다. 1636년[인조 14] 31세의 나이로 무과별시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였다. 인초선인장군 혹은 만호장군(萬戶將軍)이라고도 불리었는데, 병자호란 때 청나라에 볼모로 붙들려 간 왕자들을 보필하였던 여덟 장군 중의 한 사람으로 어모장군수의부위(御侮將軍修義副尉)를 역임하였다. 인초선은 삽교의 넓은 들에 정착하여 수로를 내고 보를 막아 농경지로 발전시켰다고 전한다.

[위치]

인초선 묘예산군 삽교읍 용동2리 중용마을에 있다. 하용마을 입구로 향하는 도로의 북쪽 낮은 구릉에 있다.

[형태]

인초선 묘는 1997년 정비하였는데 처 곤양문씨(昆陽文氏)와 광주김씨(光州金氏) 세 사람의 합장묘 형태이다. 합장묘 형태이기 때문인지 일반적인 묘들과 달리 큰 봉분으로 조성되어 있다. 묘소 앞에는 1997년 세운 묘비가 서 있다. 인초선 묘 아래쪽에는 후손인 교동인씨 송헌공파 후손들의 묘원이 조성되어 있고, 관련 묘비들이 한곳에 모여 있다.

[금석문]

인초선 묘의 묘비 크기는 전체 277㎝이며 비신의 크기는 높이 177㎝, 너비 63㎝, 두께 33㎝이다. 앞면에 ‘무과만호교동인공휘초선지묘 배숙부인곤양문씨 배숙부인광주김씨 삼위합장(武科萬戶喬桐印公諱楚璿之墓配淑夫人昆陽文氏 配淑夫人光州金氏三位合葬)’이라고 쓰여 있다. 묘비는 10대, 11대, 12대 후손들에 의해 세워진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