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곡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0614
한자 李穀
영어공식명칭 Lee Gok
이칭/별칭 중보(仲父),가정(稼亭),문효공(文孝公),한산군(韓山君)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배상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298년연표보기 - 이곡 출생
활동 시기/일시 1320년 - 이곡 수재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332년 - 이곡 정동행성 향시 급제
몰년 시기/일시 1351년연표보기 - 이곡 사망
외가|처가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지도보기
묘소|단소 영모리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
성격 문신
성별
본관 한산
대표 관직 정당문학

[정의]

고려 후기 영덕 출신의 문신.

[개설]

이곡(李穀)[1298~1351]은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밀직부사(密直副使)·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냈으며, 문집으로 『가정집(稼亭集)』을 남겼다.

[가계]

이곡의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중보(仲父), 호는 가정(稼亭), 시호는 문효(文孝)이다. 시조 이윤경(李允卿)의 6대손이다. 할아버지 이창세(李昌世)는 호장(戶長)이었으며, 아버지는 향리 이자성(李自成)이다. 이자성은 3남 1녀를 두었는데, 큰아들은 이배(李培)로 사의서승(司儀署丞)을 역임하였고, 둘째는 이축(李畜)으로 일찍 죽었으며, 셋째가 이곡이다. 본향이 한산이었던 이곡은 영해의 대현(大賢)인 김택(金澤)의 딸 함창김씨(咸昌金氏)와 혼인하여, 영해에 머물면서 1남 4녀를 두었다. 네 딸은 박보생(朴寶生)·박상충(朴尙衷)·나계종(羅繼從)·정인량(鄭仁良)과 각각 혼인하였으며, 아들은 이색(李穡)이다.

[활동 사항]

이곡은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유학을 익혔으며 이제현과 정치적 학문적 활동을 같이 하였다. 1320년(충숙왕 7) 수재과(秀才科), 1332년(충숙왕 복위1) 정동행성(征東行省) 향시(鄕試), 그 다음 해 전시(殿試)에 급제하였다. 원나라에서는 한림국사원(翰林國史院) 검열관(檢閱官), 휘정원관구(徽政院管勾) 정동행중서성좌우사원외랑(征東行中書省左右司員外郞) 등의 벼슬을 역임하였다.

고려에서 예문검열·밀직사·정당문학 등을 지냈다. 이제현의 추천으로 『편년강목(編年綱目)』을 보수(補修)하였으며, 충렬·충선·충숙왕 삼조(三朝)의 실록을 찬수하였다. 또한, 여원 관계에서는 원의 공녀(貢女) 파견을 반대하였으며, 공민왕의 추대를 위해 노력하고 유교 정치사상을 바탕으로 당대의 사회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학문과 저술]

「죽부인전(竹夫人傳)」을 지었으며, 문집으로 『가정집(稼亭集)』이 전한다. 영덕과 관련된 시로는 「영해무가정차김간재시운(寧海無價亭次金簡齋時韻)」, 「차영해북양루시운(次寧海北凉樓詩韻)」, 「차영해부객사운(次寧海府客舍韻)」이 있으며, 기문으로는 「영해부신작소학기(寧海府新作小學記)」가 전한다.

[묘소]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에 묘와 신도비(神道碑)가 있다.

[상훈과 추모]

원나라의 제과에 급제하여 한산군(韓山君)에 봉작되었고, 이로 인하여 아버지 이자성이 비서감승(祕書監丞), 부인이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봉해졌다. 한산의 문헌서원(文獻書院), 영덕의 단산서원(丹山書院) 등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효(文孝)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