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남편을 기다리다 죽은 소공대 열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701146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강원도 삼척시
집필자 이창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인물담
주요 등장 인물 이판서|부인
모티프 유형 열녀 모티프

[정의]

아내가 남편을 위해 자신의 정절을 지킨다는 내용의 설화.

[개설]

열녀설화는 유교적인 덕목을 실행한 것으로 효행설화와 유사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유교적인 도덕관념을 권장하기 위해 꾸며진 것으로 사실을 바탕으로 혹은 허구성을 띠고 만들어지기도 한다.

구전되어 오는 열녀설화는 주인공의 행동에 교훈적인 의미를 두기보다는 주인공이 살아가면서 생기는 고난이나 음모(정절을 위협하는 장애물)에 중심을 두고 있다. 『고려사』 열전에는 ‘열녀편(烈女篇)’이 따로 존재한다. 여기에는 더 많은 열녀설화가 수록되어 있는데, 대부분 외적의 침입으로 정절의 위협을 느끼게 된 부녀자들이 자결로 자신의 정절을 지키고 외적에 항거하였다는 내용을 담은 설화이다. 구전되는 열녀설화는 뚜렷한 구심점이 없고 유형에 따라서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열녀설화를 뒷받침해 줄 근거는 보통 지역 명소의 독특한 모양의 바위나 열녀비에서 기인한다.

[채록/수집 상황]

황희 정승 인물담과 함께 전승된다.

[내용]

“저기 이천리에 이판서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는데, 국정을 보는 사람이니까 국정을 보기 위해서 한양에 가 있었고 아내는 집에서 가정생활을 했어. 그런데 남편이 생각이 나고 남편이 보고 싶어서 밤으로 매일 밤으로 글로 댕겼단 말이야. 그 길이 소공이야. 옛날로 구길인데 글로 댕기다가 거기서 고마 세상을 떠났어요. 거기서 열녀비가 세워졌고, 거기서 소공이라 그러고 여기서 말하기로는 사투리로 소공도라 그래. 표준어로 말하면 소공대라 하는데 사투리로는 소공도라 한단 말이야. 거기 가면 비석이 있어. 바로 그 비석이 지금까지 내려오는 거라. 이 밤으로 앉아 가지고 그 부인이 남편이 생각이 나 가지고 바늘로 허벅다리를 찌르고 그랬대. 그래 부인이 밤마다 그 길로 다니면서 남편을 그리워하다 죽었대. 그래서 열녀비를 세웠고.”

[모티프 분석]

열녀설화로 ‘열녀비’의 물적 증거를 바탕으로 구연된다. 남편을 그리워하다가 혹은 정절을 지키다가 죽은 여성에게 마을 사람들이 열녀비를 세워주었다. 망부석 설화처럼 ‘소공대’가 와전되어 열녀비로 변이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