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설화는 일정한 구조를 가진 꾸며낸 이야기이다. 이처럼 설화는 일정한 구조를 가진 꾸며낸 이야기라는 점에서 단순한 거짓말과는 구별된다. 꾸며진 사건 자체는 단조로운 일상을 벗어나 상상을 펼치는 즐거움을 주지만, 이야기 속의 숨은 뜻은 이야기에 참여하는 화자와 청자 모두를 일상으로 되돌아오게 한다. 이같은 역설적인 현상을...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증거물을 근거로 진실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이야기. 전설은 신화나 민담처럼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설화의 한 갈래이다. 신화가 신 또는 신성에 관한 이야기이고, 민담이 흥미를 추구하는 이야기라면, 전설은 증거물을 근거로 진실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이야기이다. 전설에는 실제 사건과 관련된 것도 있으나 믿기 힘든 기이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진실성...
-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성시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꾀 많은 사위를 얻으려는 장인 이야기. 1979년 8월 2일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성시리에서 최래옥이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정강현(남, 36)이다. 김씨라는 부자가 있었는데, 외동딸을 거짓말 잘하는 사람한테 시집보내기로 마음먹고 열심히 찾...
-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 사석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홍수 설화와 관련된 지명담. 1979년 7월 31일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 사석리에서 최래옥이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임인규(남, 19)이다. 옛날 고리봉 주변에 큰 홍수가 났는데 그때 대강면 일대는 물 속에 다 잠겼다. 그래서 고리봉과 광동리에 고리를...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짝사랑이 실패하자 구렁이로 환생하여 복수하는 이야기. 장소와 시대, 인물에 대한 정보가 명확히 나와 있지 않은 이야기로 과부를 짝사랑한 총각의 복수가 주된 이야기이다. 너무 집요한 사랑은 자신의 목숨뿐만 아니라 사랑하는 사람의 목숨까지도 앗아 갈 수 있다는 내용이다. 1979년 8월 2일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과립리에서 최래옥이 채록하...
-
전라북도 남원시 대산면 월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신이한 능력을 가진 정자나무 이야기. 1979년 8월 3일 전라북도 남원시 대산면 월계리에서 최래옥이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최경섭(남, 60)이다. 언제 심었는지는 모르지만 마을 입구에 서 있는 정자나무에 얽힌 이야기이다. 어느 해인지 겨울에 걸인들이...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대기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도깨비불과 귀신불을 체험한 이야기. 1979년 8월 3일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대기리에서 최래옥이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최씨 할머니(여, 81)이다. 옛날에 이야기의 제보자인 최씨 할머니가 일행과 함께 어디를 다녀오던 때의 일이다. 밤이 되어서 덕골...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대상리에 있던 귀정사의 이름에 얽힌 이야기. ‘전주한옥마을’ 홈페이지에 수록되어 있는데, 구연자는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대상리에 사는 소정석이다. 산동면 대상리에 백제 무령왕 15년에 세운 만행사라는 절이 있었다. 언제인지는 잘 모르나 이 만행사에 이름 높은 고승이 있어서, 설법을 듣기만 해도 앉은뱅이가 일어서는 등, 모든 근심걱정이...
-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아곡리에 있는 기암대[베틀바위]에 얽힌 이야기. ‘전주한옥마을’ 홈페이지의 백과사전에 있는 이야기로, 구연자는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아곡리에 사는 이인호이다. 기암대는 옥녀직금(玉女織錦)이라고도 하고 검도암(劍道岩)이라고도 부르는 바위로, 너비가 약 5m쯤 된다. 이 기암대 밑에는 석굴이 있는데, 30여 명 정도 들어가서 놀 수 있을...
-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에 있는 논 이름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79년 7월 31일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 사석리에서 최래옥이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임모상(남, 75세)이다. 대강면에 있는 대강초등학교 옆에 끌떡배미라는 논이 있는데, 한 사람이 눌러도 ‘끌떡끌떡’하고 열 사람...
-
전라북도 남원시 덕과면 용산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살아 생전에 덕을 쌓지 못하면 명당에 묻힐 수 없다는 이야기. 1979년 8월 3일 전라북도 남원시 덕과면 용산리에서 최래옥과 김호선이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한씨 할머니(여, 73)로, 열두살 때 친정아버지께 들은 이야기라고 한다. 성이 남씨이고 이...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시아버지에게 불효하는 남편을 고친 며느리 이야기 1979년 8월 8일 전라북도 남원군 남원읍 동충리에서 최래옥이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황종태(남, 67세)이다. 일찍 아내가 죽고 아들 하나를 키우던 홀아비가 아들을 혼인시킨 뒤 가산을 모두 아들에게 맡겼다. 어느...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노진의 사랑 이야기. 노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44세에 남원부사에 제수되었으나 처향이라는 이유로 사직하고 담양부사가 된다. 「노진 설화」는 노진의 사후에 간행된 『옥계집(玉溪集)』에 실려 있는데, 이 이야기는 이후 「춘향전」의 근원 설화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노진의 시문집인 『옥계집』과 『계서야담(溪西野談)...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행정리에서 도깨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땅이름 이야기. 남원시 운봉읍에서 편찬한 『신운성지(新雲城誌)』에 수록되어 있다. 운성(雲城)이란 운봉현의 옛 지명으로, 현재의 행정 구역으로는 운봉읍과 동면·아영면·산내면을 포함하는 지역이다. 『신운성지』는 이 4개 지역에 관한 자료를 집대성하고 있다. 남원시 운봉읍 행정리 마을 앞...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백일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삼천갑자 동방삭 이야기. 1979년 5월 2일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백일리에서 최래옥이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김용규(남, 68세)로, 총각 시절 동네 할아버지한테서 들었다고 한다. 동방삭이 서른 살을 먹었을 때 저승차사가 저승으로 데리고 갔다. 동방...
-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옹정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우애 깊은 두 친구 이야기. 1979년 7월 31일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옹정리에서 최래옥과 강현모가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임규임(여, 62세)이다. 옛날 어느 마을에 사이좋게 지내는 두 사람이 있었는데, 한 사람은 이름이 두꺼비이고 또 한 사람은...
-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내기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뜸물바위의 이름에 얽힌 유래담. 「뜸물바위」는 남원시 주천면 홈페이지의 ‘역사와 전설’란에 실려 있다. 주천면 내기리에는 뜸물바위라고 불리는 바위가 있는데, 예전에 이 바위 아래에서는 신기하게도 매일같이 뜸물이 쉬지 않고 흘러 나왔다. 이 바위에서 나오는 뜸물로 목욕을 하면 나환자의 병까지도 낫는다는...
-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 사석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도광김씨 시조 내력담. 1979년 7월 31일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 사석리에서 최래옥이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이경학(남, 80세)으로, 고향인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면 오지리 옥갓이란 곳에서 살던 15세쯤 들은 이야기라고 한다. 옛날에 성이 김해김씨인...
-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연동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방귀 잘 뀌는 며느리 이야기. 1979년 8월 1일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연동리에서 최래옥과 강현모가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박태희(여, 55세)이다. 옛날 어느 마을에 방구를 잘 뀌는 처녀가 살고 있었다. 처녀가 방구를 어찌나 잘 뀌던지 혼인하겠다고...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대기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음설로 양반을 골려 주는 이야기. 1979년 8월 1일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대기리에서 최래옥과 강현모가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박금복(남, 63세)으로, 서른 살 무렵에 한 스님으로부터 들은 얘기라고 한다. 명가(明哥)들이 백여 가구 모여 사는 동...
-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문화류씨 시조의 내력담. 1979년 8월 1일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서 최래옥과 김호선이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이병규(남, 74세)이다. 신라 때 통인(通引), 곧 이방 일을 하는 사람이 70세가 넘어서야 아들 하나를 두어 애지중지 키우고 있...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춘향전」의 근원 설화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박색터 설화」는 남원에 있는 박석고개에 얽힌 이야기이다. 「지리산녀 설화」, 「노진 설화」와 함께 판소리계 소설인 「춘향전」의 근원 설화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박색터 설화」는 정노식(鄭魯湜)의 『조선창극사(朝鮮唱劇史)』와 차정언(車鼎言)의 『해동염사(海東艶史)』에 실려 있는데...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과립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구렁이로 변신하여 복수를 하는 사람 이야기. 1979년 최래옥이 채록하였으며, 『한국구비문학대계』(전라북도 남원군편) 5-1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에 어떤 여자가 산에 갔는데, 갑자기 소변이 마려워서 소변을 보았다. 그런데 산에 갔다 온 뒤로는 저녁만 되면 어떤 청년이 창문으로 넘어와서 여자를 괴롭혔다. 마침내 임신을 한...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반선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반선과 뱀사골의 지명유래담 지리산이 걸쳐 있는 경상남도 함양과 전라남도 구례, 전라북도 남원에는 이성계와 관련한 전설이 많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뱀사골의 유래」는 이성계의 개국을 반대하던 지리산 산신령이 이성계가 등극한 뒤 귀양을 가게 되면서 전개되는 신이담이면서 변신담에 속하는 이야기이다. 1979년 5월...
-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 사석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가난한 사람이 부자 된 이야기. 「병아리 하나로 부자 된 이야기」에는 특별한 공간이나 지명이 등장하지 않는다. 가난한 사람이 부자가 되는 과정을 전형적으로 보여 주는 이야기이다. 1979년 7월 31일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 사석리에서 최래옥이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과립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복 많은 아내 덕에 부자로 산 남편 이야기. 1979년 8월 2일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과립리에서 최래옥이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안윤보(남, 69세)이다. 옛날에 서울에 사는 정승이 있었는데, 정승네 집은 하루에 소금 서 말을 먹을 정도로 큰살...
-
전라북도 남원시 대산면 대곡리에 있는 봉황대라는 바위에 얽힌 이야기. 1979년 8월 3일 전라북도 남원시 대산면 대곡리에서 최래옥과 김준각·이태효가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양해도(남, 64세)이다. 대산면 대곡리에는 ‘봉황대(鳳凰臺)’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는 바위가 있다. 옛날에 이 마을...
-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옹정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북두칠성이 생겨난 이야기. 「북두칠성의 유래」는 계모의 흉계로 인해 죽은 아들들이 죽은 어머니의 인도를 받아 하늘의 별이 되었다는 별자리 기원담이다. 1979년 5월 2일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옹정리에서 최래옥과 강현모가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하였다. 제보...
-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불효하던 며느리가 효부가 된 이야기. 1979년 8월 1일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서 최래옥과 김호선이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김영두(남, 75세)이다. 옛날에 어떤 부부가 노모를 모시고 살고 있었다. 남편은 보따리장사로 여기저기 돌아다니느라 집...
-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지혜로써 사나운 아내의 성질을 누르고 행복하게 살았다는 남자 이야기. 1979년 8월 1일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서 최래옥과 강현모가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최판순(여, 67세)이다. 옛날 어떤 마을에 성질이 사납기로 소문이 나서 시집을 못...
-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성시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우애 깊은 삼형제 이야기. 1979년 8월 2일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성시리에서 최래옥이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정강현(남, 36세)이다. 옛날 어떤 마을에 삼형제가 살았는데, 어찌나 가난하던지 아무리 노력해도 형편이 나아지지 않았다. 삼형제는 할 수...
-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옹정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사람이 죽으면 굴뚝 구멍을 막는 이야기. 「상가집에서 고양이를 없애는 유래」는 사람이 죽으면 상가집에서 왜 굴뚝 구멍을 막는지 그 유래를 설명하는 금기담이다. 1979년 7월 31일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옹정리에서 최래옥과 강현모·김호선이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아내를 업신여겨 내쫓은 남편이 아내의 도움으로 부자가 되는 이야기. 「상놈 딸의 복덩어리」는 아내를 못마땅하게 여겨 내쫓은 남편이 나중에 아내의 도움을 받게 되는 이야기인데, 대개 ‘여인 발복 설화’ 형태를 띤다. 부부의 연을 맺은 사람은 상대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 하여 함부로 내쫓아서는 안 된다는 교훈을 담고...
-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동리 송동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 1979년 8월 1일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동리 송동마을에서 최래옥이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박태희(여, 55)로, 어릴 적 친정인 수지면 남창마을에서 들었다고 한다. 옛날 어느 마을에 마음씨가 착하지만 집안이 가난하여...
-
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 호곡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인색한 부자 이야기. 1979년 8월 1일 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 호곡리에서 최래옥과 김준각·이태효가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박환우(남, 78세)이다. 옛날 황해도에 어떤 사람이 부모를 잃고 집안도 가난하여 부잣집에서 머슴을 살았다. 하루는 주인어른이...
-
전라북도 남원시 덕과면 고정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형수의 지혜로 가난을 면하게 된 시동생 이야기. 1979년 8월 3일에 남원시 덕과면 고정리에 사는 정봉이(여, 73)가 구연한 것을 최래옥·김호선이 채록하여, 1980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실었다. 옛날에 아들 형제가 살았는데, 큰 아들은 잘살고 작은 아들은 가난하게 살았다. 어느 날 큰 아들이 나락 여...
-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입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시아버지를 팔려던 아내의 마음을 고친 남편 이야기. 1979년 7월 31일에 남원시 금지면 입도리에 사는 김금행(여, 67)이 구연한 것을 최래옥·김호선이 채록하여, 1980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실었다. 옛날 아들 내외가 아버지를 모시고 사는데, 아들은 아버지를 극진히 모시려고 하였으나 아내는 시아버지를...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식련리에 있는 승련사 뒷산 바위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고려 후기 공민왕 시절 식련리에는 금강사라는 절이 있었다. 그 절이 망하고 90년 뒤에 다시 지은 절이 승련사이다. 이 승련사 뒷산에 있는 두께를 잴 수 없는 바위에는 엄청난 충격으로 깨진 듯한 흔적이 매우 크고 난잡하게 나 있는데, 「식련마을 바위」는 여기에 얽힌 몇 가지 이야기이다. 19...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동천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자식을 죽인 어머니에게 효도한 부부 이야기. 1979년 2월 5일 남원시 운봉읍 동천리의 한 집에서 열세 살 이영실(여)이 할머니로부터 들은 이야기라며 온 가족 앞에서 구술한 내용을 최래옥이 채록하여, 1980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실었다. 옛날 고려장이라는 풍습이 있던 시절의 이야기이다. 한 부부가 노모...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면 동천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오일봉이라는 사람과 관련한 이야기. 「아전 살던 이인 오일봉」은 평범한 사람과는 다른 특별한 능력이 있던 오일봉이란 인물에 얽힌 신비한 이야기로, “산청 오일봉이가 제 말 제 타고 다닌다.”는 속담의 기원을 말해 주는 기원담이기도 한다. 1979년 2월 5일 남원시 운봉면 동천리의 한 집에서 당시 열세 살이던...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이곡리에서 운봉의 황산대첩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아지발도 이야기」는 이성계의 남원 황산대첩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운봉 일대에는 황산대첩과 관련한 지명이 많이 유래하고 있다. 「아지발도 이야기」는 이성계의 놀라운 활솜씨와 이성계가 영계(靈界)의 도움을 받는 비범한 인물이었음을 전하는 이야기로, 역사적 사실에 신비성을 가미한...
-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옹정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아내를 업신여긴 남편이 오히려 아내의 도움으로 임금이 된다는 이야기. 1979년 7월 31일에 남원시 금지면 옹정리에 사는 임규임(여, 62)이 구연한 것을 최래옥·강현모가 채록하여, 1980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실었다. 옛날에 가난한 양반집과 부자로 사는 종집이 있었는데, 양반집에는 아들이 있고 종의...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과립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자식을 죽인 부모를 용서한 양아들 부부의 효행담. 1979년 8월 2일에 남원시 이백면 과립리에 사는 오순덕(여, 57)이 구연한 것을 최래옥·이강철이 채록하여, 1980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실었다. 옛날에 아들 없이 딸만 둔 사람이 살았는데, 아들이 없어서 양아들을 들여 키운 후 아들딸 모두 혼사를 치...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춘향전」의 근원 설화가 탄생한 배경을 이야기하는 문헌 설화. 「양진사 설화」는 조선 후기의 문신 양주익이 쓴 『무극선생행록(無極先生行錄)』에 기록되어 있는 문헌 설화의 하나이다. 남원 지역에서 전해 오는 「박색터 설화」와 「지리산녀 설화」, 「노진 설화」와 함께 「춘향전」의 근원 설화로 알려진 「춘몽연(春夢緣)」이라는 이야...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과립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여의주를 얻은 구렁이가 용이 되어 은혜 갚은 이야기. “말이 씨가 된다”는 속담과 관련하여 민간에서 여러 유형으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중의 하나로 유래담에 속한다. 1979년 8월 2일에 남원시 이백면 과립리에 사는 박동진(남, 65)이 구연한 것을 최래옥이 채록하여, 1980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실었...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장교리 연동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마을 유래담. 마을 유래담이기도 하지만, 스님을 핍박한 홍씨 일가를 징치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어 응보담(應報譚)의 성격도 가지고 있다. 남원시 운봉읍 장교리 연동마을에서 이은주가 채록하여, 1998년 출간한 『남원의 마을유래』에 수록하였다. 조선시대 초기 홍정승 일행이 운봉의 장승백이를 지나고 있었다....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동천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홀어머니를 재혼시킨 자식 이야기. 아들과 어머니의 이야기를 담은 가족담의 유형이면서, 어머니의 외로움을 달래주기 위해 아들이 어머니를 재혼시킨다는 면에서는 교훈담, 효행담에 속하기도 한다. 1979년 2월 5일에 남원시 운봉읍 동천리에 사는 최귀성(여, 43)이 구연한 것을 최래옥이 채록하여, 1980년에 출간한 『한국구...
-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누에가 세상에 나오게 된 이야기. 「우렁각시 이야기」의 큰 줄기는 ‘누에’가 생겨난 유래담이지만, 우렁각시가 등장하고, 총각이 죽어서 누에가 된다는 점에서는 변신담에 속한다. 1979년 8월 1일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 사는 최판순(여, 67)이 구연한 것을 최래옥·강현모가 채록하여, 1980년에 출간한 『한국...
-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형제 이야기. ‘형 만한 동생 없다’고 민담에서 못된 동생이지만 우애, 화목을 위해 동생을 챙겨주고 살림을 나누어 주는 이야기는 많다. 동생을 위한 헌신은 형에 대한 복으로 나타나 현몽을 통해 형이 재물을 얻게 된다. 1979년 8월 1일에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 사는 최판순(여, 67)이 구연한 것을 최래옥·강현모가 채록...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이곡부락에서 전해 내려오는, 병든 아버지를 구한 효자 이야기. 병든 아버지를 위해 지리산으로 노루를 구하러 간 아들이 산신령을 만나 노루를 얻어 아버지의 병을 낫게 해드렸다는 이야기이다. 1979년 8월 2일에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이곡부락에 사는 오천연(남, 64)이 구연한 것을 최래옥·강현모가 채록하여, 1980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
-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성시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우연히 명당에 묘를 써서 부자 된 삼 형제 이야기 명당에 묘를 써서 복을 얻는 이야기이지만, 그것이 우연히 명당이 된 경우이다. 명당에 묘를 쓰며 발복을 기원하는 것은 우리 민족의 오랜 전통으로 볼 수 있는데, 풍수를 보는 노인의 의도는 삼형제의 집을 망하게 할 요량이었지만, 사실은 명당자리였던 것이다. 묏자리를 잡아주는...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동천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가난 때문에 헤어졌으나 끝까지 신의를 지킨 부부 이야기. 「원님이 된 남편과 중이 된 아내」는 남편이 과거를 보아 벼슬을 얻었다는 점에서 출신담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야기의 초점은 출세를 하였지만 아내를 잊지 못하여 부부의 신의를 지켰다는 것이 더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아내를 핍박한 숙모에 대...
-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 사석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자식을 엄하게 가르쳐 훌륭하게 키워 낸 어머니 이야기. 전라북도 남원시에는 유자광(柳子光)과 관련한 이야기들이 많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유당 어머니의 엄한 교육」에서 유당은 유자광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일종의 교훈담으로, 자식 교육에서 어머니의 역할이 얼마나 큰지를 강조하는 이야기이다. 1979년 7월...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에서 유자광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전라북도 남원시에는 유자광과 관련한 이야기들이 많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유자광은 서얼 출신으로 태어났지만 머리가 명석하여 후에 높은 벼슬자리에 올랐으며, 무오사화를 일으켜 권력을 장악하였다. 1979년 8월 2일 남원시 산동면 평산리에 사는 이복순(여, 54)과 산동면 식련리에 사는 황판계(...
-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신파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목숨을 살려 준 은인을 죽음에서 구한 꿩 이야기. 「은혜 갚은 꿩 이야기」는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설화로, 「치악산 전설」의 변이형으로 볼 수 있다. 1979년 8월 2일 남원시 보절면 신파리에서 소주태(남, 47)가 구연한 것을 최래옥·김준각·이태효가 채록하여, 1980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대기리에서 정혼(定婚)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부모가 자식들에 대해 정혼을 하면 자식들은 그것을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부부의 연을 맺는 것은 전통적으로 자연스러운 것이었다. 그런데 정혼을 하고 부부의 연을 맺기까지 여러 위기를 맞게 된다. 이런 위기를 신의로써 극복하는 것을 미덕으로 여겼다. 이 이야기는 여러 위기를 극복하고 결국 부부가...
-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 사석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임금의 시험을 극복한 최진사 이야기. 「인자 100자와 무수옹」은 ‘경주 최 부자 이야기’의 한 유형으로 볼 수 있다. 경주 최 부자와 관련한 이야기는 여러 지역에서 전해 오는데, 한 해 수확량의 반을 가난한 민중을 위해 풀었다는 최 부자에 대한 민중의 호의적인 태도가 최 부자에 얽힌 많은 이야기를 만들어 내었...
-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 사석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인지위덕(忍之爲德)으로 처제를 살린 남자 이야기. 「인지위덕 점으로 처제를 살린 이야기」는, 무슨 일이든 성급하게 결정하면 잘못을 저지를 수 있으니 전후 사정을 알아보고 행동을 하는 것이 중요함을 깨우치는 교훈담이다. 1979년 7월 31일 남원시 대강면 사석리에 사는 이모상(남, 75)이 구연한 것을 최래옥이...
-
전라북도 남원시 대산면 월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도둑맞은 물건을 찾아 준 어린 원님 이야기. 어린 아이의 지혜로 원님이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이야기이다. 이런 유형의 이야기는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1979년 8월 3일 남원시 대산면 월계리에 사는 최경섭(남, 60)이 구술하고 최래옥·김준각·이태효가 채록하여, 1980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
-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입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양부 제삿날에 친부 혼령이 찾아와 제사상 받은 이야기. 아들이 없는 양반집에서 양자를 들이는 일은 흔히 있는 일이었다. 대(代)를 잇는 것이 중요한 의미를 갖던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한 것이지만, 그러면서도 친부와 친자의 혈연관계는 인간이 어찌할 수 없다는 민중의 일반 의식이 반영된 이야기라고 볼 수 있다. 1979년 7월...
-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연동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눈 먼 홀어머니를 정성껏 모신 며느리 이야기. 어떠한 환경에서도 부모를 잘 봉양하는 것은 자식의 마땅한 도리이다. 따라서 부모를 잘 봉양한 자식의 이야기는 효행담으로 널리 자리잡고 있다. 「장님 어머니와 지렁이국」은 먹을 것이 없어 지렁이로 홀어머니를 모셨는데, 이것이 계기가 되어 눈 먼 홀어머니가 눈을 뜨게 되었다는 이...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면 동천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자신이 죽을 날을 예견했다는 황부자 이야기. 「저승에 빚 받으러 간 황부자」는 자신이 죽을 날을 예견한다는 점에서는 신이담에 속하지만, 초인성이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일반담의 가족담으로 분류할 수 있다. 1979년 5월 25일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면 동천리에서 최래옥이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전라북도 남원시 덕과면 율천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제삿밥 받으러 온 저승차사를 보고 첩을 얻어 준 부인 이야기. 제삿밥을 얻어먹기 위해 일부러 이승을 찾아온 저승차사를 보고 자식이 없는 부인이 남편에게 자발적으로 첩을 얻어 주어 자식을 얻었다는 내용의 민담으로, ‘대 잇기’, ‘죽어서 제삿밥 얻어먹기’가 민중 속에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1979년 8월 2일...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과립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제갈량보다 똑똑했다는 제갈량 부인의 이야기. 초인적인 능력을 가진 사람, 또는 머리가 비상한 최고의 지혜로운 사람으로 알려져 있는 제갈량보다 제갈량의 부인이 더 똑똑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이야기이다. 제갈량은 부인의 똑똑함을 시기하지 않고 오히려 부인을 선생으로 모셨다는 내용을 통해 자기보다 신분이 낮거나 보잘것 없는 사람...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대기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못생긴 막내사위가 어사가 된 이야기. 보잘것 없다고 무시를 당하던 막내사위가 오히려 지혜로운 사람, 똑똑한 사람이었으며, 후에 과거에 급제하여 어사가 되었다는 민담이다. 1979년 8월 2일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대기리에서 최래옥과 강현모가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
-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옹정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주인을 골탕 먹인 꾀 많은 머슴 이야기 양반을 속여서 재물이나 원하는 것을 얻는 꾀쟁이 하인의 이야기이다. 속고 속이기 유형에 속하는 민담으로, 소화(笑話)이면서 사기담에 속한다. 1979년 7월 31일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옹정리에서 최래옥과 김호선이 채록하여, 1980년 한국정신문화원에서 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
-
전라북도 남원시 덕과면 신정리에서 이성계의 득국(得國)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남원 지역에는 이성계와 관련한 이야기들이 많은데, 왜구를 물리친 용맹스러움뿐만 아니라, 나라를 세우고 왕이 되는 과정에서 원만하지 못했던 지리산 산신령과의 관계와 우투리(아기장수)와의 관계 등이 전설의 형태로 전해 온다. 이런 이야기들은 곧 이성계가 민중의 적극적인 호응을...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죽음을 걸고서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았다는 절행담. 『고려사(高麗史)』와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남원조(南原條)」에 수록되어 있다. 지리산녀는 구례현 여자로 지리산 밑에 살고 있었다. 가정 형편이 어려웠지만, 부도(婦道)를 잘 닦아 세상에 이름이 알려지게 되었다. 이를 듣게 된 백제왕이 그녀를 취하고자 하였지만, 지리...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지리산녀 설화」에 나오는 여자 주인공. 지리산녀는 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남원시 인근 지역에서 전해 오는 「지리산녀 설화」에 등장하는 여인이다. 지리산녀와 관련하여 문헌상으로 가장 오래된 이야기는 구례 지역에서 내려오는 「지리산녀가」이다. 이외에도 지리산 백무동 한신계곡 가내소폭포에도 지리산녀와 관련한 이야기가 전하고 있다....
-
전라북도 남원시 덕과면 사율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형제가 서로 도와 정승 딸과 혼인을 한 이야기. 불구의 몸을 가진 형제가 서로 돕고 욕심을 부리지 않아 얻게 된 금덩어리로 중국의 조공에 시달리는 나라를 구하고, 이를 계기로 정승의 딸과 혼인을 하게 되었으며, 그 소식에 너무나 기쁜 나머지 봉사였던 눈이 떠지고, 앉은뱅이였던 다리가 펴지는 기적이 일어났다는 이야기이다....
-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옹정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쥐가 가짜 신랑으로 변한 이야기. 「진짜 신랑 가짜 신랑」은 기본적으로 아무리 하찮은 것이라도 함부로 버려서는 안 된다는 것을 깨우치는 교훈담이나, 쥐가 가짜 신랑으로 변한 이야기를 다룬다는 점에서는 변신담으로 볼 수 있다. 1979년 7월 31일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옹정리에서 최래옥과 김호선이 채록하여,...
-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옹정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착하게 살아서 부자가 된 부부 이야기. 「착한 아내가 찾아낸 금덩어리」는 우연히 황금 덩어리를 얻게 되었다는 점에서는 우행담이나, 죽을 목숨을 살려 주고 손님을 정성스레 대접하여 보은을 받게 되었다는 점에서는 응보담(應報譚)이다. 또한 착한 아내와 착한 남편이 나중에 복을 받게 된다는 점에서는 교훈담의 일종으로...
-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성시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총각이 남근으로 호랑이를 물리친 이야기. 성(性)과 관련되었거나 성행위와 관련한 음담패설이 설화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생각보다 크다. 그러나 이러한 음담패설은 주로 동성간에 특별한 장소에서 구술된다는 제약성을 가지고 있으며, 내용적 특성으로 인해 설화의 유형집이나 연구에서 많이 제외되어 왔다. 1979년 8월 2일 남원시...
-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계모한테 핍박받던 콩조시가 나랏님과 혼인하여 잘 살았다는 이야기. 「콩조시(콩쥐) 팥조시(팥쥐) 이야기」는 우리에게 잘 알려진 「콩쥐팥쥐」 이야기의 원형이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전래되는 민담으로, 전래동화로 개작되어 아이들에게도 많이 읽힌다. 1979년 8월 1일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서 최래옥과 강현모가 채록...
-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의 남천내에 있는 바위에 얽힌 이야기. 고려 후기인 1380년(우왕 6)에 왜구가 남부 지방으로 쳐들어왔는데, 그 괴수 이름이 아지발도(阿只拔都)였다. 아지발도는 18세 정도였으나, 키가 7척이 넘었고 힘이 장사였으며, 철갑으로 무장하여 화살을 맞아도 살을 뚫지 못하였다. 아지발도의 괴력은 아군에게 공포의 대상이었다. 아지발도가 장차 개경...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면 동천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호랑이에게 잡아먹히게 된 오누이가 하늘에 올라가 해와 달이 되었다는 전설 「해와 달이 된 오누이」는 일월 신화가 민담의 형태로 변이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해님 달님」·「하늘에 올라간 오누이」·「해님과 달님이 된 오누이」·「일월 전설」 등의 동화로 개작되어 읽히고 있다. 1979년 2월 5일 전라북도 남원시...
-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신기리에 있는 호기리 석장승에 얽힌 이야기. ‘호기리 석장승’은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16호로 지정되어 있는 장승이다. 미륵석불이라고도 하는데, 이 석장승의 유래가 실명과 함께 전해 내려오고 있어 주변 사람들은 역사적 사실처럼 믿고 있다. 해마다 칠월 칠석이면 남원시 노암동에 살았던 김양근의 일족이 호기리 석장승에 제사를 모셨다고 전해 온다. 석장승...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대촌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호랑이에게 자식을 내어준 효부 이야기 우리나라에서는 예부터 효가 인륜의 가장 근본이 되는 덕목이었다. 이 때문에 효와 관련한 이야기들은 지역을 불문하고 다양한 형태로 전해 내려오고 있다. 부모를 위해 자식의 희생까지도 감내하는 효자와 효부 이야기는, 어떤 상황에서도 부모를 잘 봉양해야 한다는 깨달음을 얻게 한다는 점에서 교...
-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신파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도깨비 중매로 혼인한 홀아비 이야기. 도깨비와 관련한 민담은 우리 라 전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많이 전해진다. 남원 지역에서도 도깨비와 경쟁하는 인간, 도깨비를 속여 이익을 본 사람, 도깨비와 싸워 이겨서 행운을 쟁취한 사람 등의 이야기가 여러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고 있다. 1979년 8월 2일 남원시 보절면 신파리에서 최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