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6T01017 |
---|---|
한자 | 최이순 할머니의 집과 飮食살이 이야기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 서도리 노봉마을 |
집필자 | 서정섭 |
살림집 구성과 변화
결혼하고 나서 시집은 아랫몰에 있었고 할머니는 중뜸에서 따로 살았다. 결혼해서 처음에는 남의 아래채에서 셋방살이부터 시작해서 나중에 33살 먹을 때 집을 장만하게 되었다. 결혼한 지 13년 지나서 집을 장만한 것이고 그런 후에 지금부터 6년 전인 69살 먹었을 때 그 집을 밀어버리고 양옥집을 새로 지었다고 한다. 결혼 직후부터 분가해서 살았기 때문에 시부모님으로부터 살림을 물려받은 과정은 따로 없는 셈이다.
시장보기 / 일상음식
할머니가 거주하는 곳은 시골 농촌이므로 음식의 재료를 따로 구입하지 않고 자급자족하고 있다. 주된 식단은 김치가 중심이 되고 계절에 맞는 채소를 반찬과 국거리로 이용하고 있다.
세시음식 / 명절음식
설날 음식은 떡가래를 만들어 떡국을 먹는 것이 주된 것이었다. 떡국감을 장만하는 것은 옛날에는 흰떡을 만들 때 방앗간에서 빼는 것이 아니라 도구통에 찧은 후 반죽을 해서 쪘다. 그런 다음 확독에서 친 후 안반에다 놓고 흰떡을 길게 만들었다. 그 가래떡을 썰어서 설날 떡국을 끓여 먹었다. 시루떡은 찹쌀을 빻은 후 시루에 쪄서 만들었다. 시루에서 칼로 썰어 접시에 놓은 후 상에 올렸다.
집에서 떡방아를 안 찧고 언제부터 방앗간에서 흰 떡을 만들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히 기억할 수 없지만 오래 되었다고 한다. 할머니가 살고 있는 노봉마을에는 방앗간이 없고 마을에서 좀 떨어진 서도역전에 있는 방앗간을 이용했다. 그렇지 않으면 차를 타고 남원에 가서 빼오기도 하고 또 바로 옆의 임실 오수에 가서 빼오기도 했단다.
노봉마을은 설날 준비하는 음식 중 특별히 엿을 많이 만들어 먹는다고 한다. 지금도 설날은 엿을 만들어 먹기도 하고 자녀들과 친척들에게 나눠 주기도 한단다. 엿을 만드는 것은 엿질금(엿기름)을 큰 독아지에 담갔다 쪄서 안치면 삭는다. 그러면 불을 때서 졸이는 과정을 거친다. 다 졸여든 엿을 갱엿이라고 한다. 이 갱엿을 사람들이 이집 저집 서로 품앗이를 해서 방에 앉아서 쎄긴다. 쎄긴다는 말은 엿기름이 단단하게 굳어진 것(갱엿)을 조금씩 잘라내서 긴 엿가락으로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
과자를 만드는 것도 예전에는 집에서 했지만 지금은 남원 나가서 만들어 온다.
할머니 말씀이 “추석에는 차사(茶祀)를 잡수시니까 새로 난 과실을 놓고 떡 좀 장만해서 지내요.”라고 말한다. 제물은 삼실과에 소고기, 돼지고기, 조기 등을 갖추어 선영을 봐야 한다고, 차사 잡순다고 말한다. 차사 잡순다는 것은 차례를 모신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