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보리나 벼의 알곡을 털면서 부르는 노동요. 남원 지역에서는 타작할 때 부르는 노래로, 「타작 노래」 외에도 큰 통나무에 볏단이나 보릿단을 메어쳐서 이삭을 떨어내면서 부르는 「개상질 소리」와 긴 장대 끝에 구멍을 뚫어 그 꼭지에 서너 개의 회초리를 매달아 돌게 만든 도리깨로 타작하면서 부르는 「도리깨질 소리」가 불린다. 『남원지』에...
-
1973년에 발간된 주길순의 창작 소설집. 이 책은 남원농고를 졸업한 주길순이 1973년에 발표한 창작 소설집이다. 「탄원」으로 대표되는 주길순 소설은 신체적 혹은 정신적 불구자를 주요 인물로 내세워 독자에게 그 결성 개념을 메워 가도록 하는 문학적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하여 부조리에 대한 비판 의식을 통해 궁극에는 인간의 본질 문제를 사유하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주길순은...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재앙을 막고 복을 부르며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민간 신앙. 탑제는 마을의 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마을의 재앙과 액됨을 제거하고, 복을 부르던 민간신앙이다. 또한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조성되었던 서민 신앙이라고 할 수 있다. 민간신앙은 민속학의 영역에 포함된 부분이기는 하지만, 아주 다양한 형태로 불리고 있다. 특히 남원 지방에서는 조...
-
통일신라시대 남원태수를 역임한 귀족.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태(泰). 태종무열왕의 9세손이며, 왕위를 원성왕(元聖王)에게 빼앗긴 김주원(金周元)의 증손이다. 시중(侍中) 김장여(金璋如)의 아들이며, 김양(金陽)의 사촌형이다. 김흔은 822년(헌덕왕 14) 당나라의 국자감에 가서 수학하고, 1년 뒤 당나라 목종(穆宗)으로부터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시태상경(試太常...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동한 의병. 본관은 협계(峽溪). 자는 여인(汝仁), 호는 정기제(正己齊). 판서(判書) 태응진(太應辰)의 후손이며, 수문장(守門將) 태윤민(太潤民)의 아들이다. 태귀생은 활과 말을 잘 다루었으며 계략이 담대하였다. 1555년(명종 10)에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주부(注簿)에 이르렀다.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그는...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무신. 본관은 협계(峽溪). 자는 진옥(振玉), 호는 삼현정(三賢亭). 판서(判書) 태응진(太應辰)의 후손이며, 주부(注簿) 태귀생(太貴生)의 아들이다. 태상문은 기사에 능하고 지략이 뛰어났다. 1597년(선조 30)에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남원부사가 그에게 장사 1,000명을 거느리게 하였다. 그리하여 아버지·형제·숙질(叔姪) 등과 함께...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협계(峽溪). 자는 군실(君實), 호는 공북재(拱北齋). 판서(判書) 태응진(太應辰)의 후손이며, 참봉(參奉) 태응천의 아들이다. 태색은 효우가 돈독하고 문학이 뛰어나 칭송을 받았다.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키려고 했지만, 아버지의 병환이 위독하여 싸움터에 나가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조카 태귀...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협계(峽溪). 자는 영중(榮仲). 판서(判書) 태응진(太應辰)의 후손이며, 임진왜란에 순절한 참봉(參奉) 태구(太竬)의 아들이다. 태시경은 1597년(선조 30)에 정유재란이 일어났을 때 남원별감으로 재직하고 있었다. 오흥업과 함께 성을 지킬 계책을 의논하였는데, 그 사이에 적에게 성을 함락당하였다. 이때 태시경의 아버지 태...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이자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자점(子漸), 호는 제호(霽湖)·점역재(點易齋)·요정(寥汀)·태암(泰巖). 아버지는 충장공 양대박(梁大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아버지 양대박이 창의하자, 아우 양형우(梁亨遇)와 함께 아버지를 보필하였다. 양경우는 아버지의 명에 따라 고경명(高敬命)에게 갔는데, 고경명은 양경우...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협계(峽溪). 자는 선충(善忠), 호는 매계(梅溪). 판서(判書) 태응진(太應辰)의 후손이며, 좌랑(佐郞) 태은정(太殷鼎)의 아들이다. 태우는 일찍이 말타기와 활쏘기를 익혔다.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큰아버지인 주부(注簿) 태귀생(太貴生)을 따라서 아들 태시경(太時慶)과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 군량을 모...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협계(峽溪). 자는 형중(亨中), 호는 매천(梅川). 진무원종공신 태상문(太尙文)의 후손이며, 통덕랑(通德郎) 태처화(太處華)의 아들이다. 태윤주는 어려서부터 말을 잘 탔고 활을 잘 쏘았다. 1728년(영조 4)에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마을 장정 50여 명을 거느리고 운봉(남원의 옛 이름)으로 달려갔다. 진영...
-
조선 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본관은 협계(陜溪), 본래 발해 왕 대조영의 후예라고 전해진다. 태응진은 벼슬이 병조판서(兵曹判書)에 이르렀다. 전라북도 남원시 덕과면 금암리에 묘가 있다....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과 산동면 경계에 있는 백두대간의 산. 높이는 846.5m이며 가재-수정봉-고남산-여원치로 통하는 백두대간의 맥상에 놓여 있다. 특히 운봉의 북서쪽을 지키는 산으로 운봉분지를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요천이 흘러내리는 산동과 남원 쪽을 모두 내려다 볼 수 있는 전망이 좋은 산이다. 위치상 옛날부터 전쟁의 요충지가 되었다. 고려 말인 1...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이곡리에서 운봉의 황산대첩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아지발도 이야기」는 이성계의 남원 황산대첩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운봉 일대에는 황산대첩과 관련한 지명이 많이 유래하고 있다. 「아지발도 이야기」는 이성계의 놀라운 활솜씨와 이성계가 영계(靈界)의 도움을 받는 비범한 인물이었음을 전하는 이야기로, 역사적 사실에 신비성을 가미한...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협계(陜溪). 판서(判書) 태응진(太應辰)의 후손이며, 수문장(守門將) 태윤민(太潤民)의 아들이다. 태천생은 어려서부터 궁마(弓馬)를 좋아했으며 재지(才智)가 뛰어났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 태귀생(太貴生)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도 의병을 일으켜 남원성을 지키다가...
-
조선시대 전라북도 남원의 효부. 유학(幼學) 태천우(太天祐)의 아내이다. 그녀는 천성이 착하고 정성이 한결같았으며 부도(婦道)를 닦아 시어머니를 봉양하고 남편을 섬기는 데 효도와 공경을 함께 하였다. 시어머니가 질병에 걸리자 잠시도 곁을 떠나지 않고 정성을 다해 돌보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어머니의 질병이 더욱 깊어지자 그녀는 똥을 맛보아 질병의 원인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여러...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협계(陜溪), 자는 기팔(起八). 판서(判書) 태응진(太應辰)의 후손이며, 현감(縣監) 태석(太碩)의 아들이다. 태팔회는 천성이 순후하고 용모가 단정하였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태복련(太福連)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군량도 모아 공주(公州)로 인조를 호가하는 데 많은 공을 세웠다. 난이 평정된...
-
전라북도 남원시 신동면 태평리에 있는 대한예수교 장로회 남원노회에 소속된 교회. 어려운 형편 속에서도 교인들이 힘을 다해 믿음을 지키고 복음을 전파하며, 이웃을 섬기기 위해 애쓰고 있다.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선교사들이 남원 산동 지역에 복음을 전한 것은 1904년경으로 추정되며, 이 지역 신도들이 1905년경에 산동교회를 설립한 것으로 보인다. 그 이후 산동교...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이곡리의 본래 이름은 배실이다. 마을의 모양이 배를 잡아 맨 것 같다 하여 처음에는 배실이라 불러오다 땅 모양이 배를 잡아 맨 것보다는 배꽃이 사방에 날려 있는 형태라 하여 배나무의 배실로 고쳤다고 한다. 하지만 마을의 지형이 배꽃이 떨어진 이화낙지형국(梨花落地形局)이기 때문에 처음부터 배실로 불려진 것으로...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태평리 성산에 있는 가야의 고분군. 유적은 산동면 태평리 배실들의 동편 야산인 성산의 서쪽 사면 말단부에 위치한다. 태평리 마을에서 남쪽으로 1㎞ 떨어진 지점이다. 유적에서 서쪽으로 300m 떨어진 지점에는 군도 19번 도로가 있다. 1987년과 2004년 전북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실시된 지표 조사에서 확인되었다. 1차 조사에서는 가야의 돌덧널무덤...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태평리 신풍마을에 있는 수령 445년의 느티나무. 높이 15m, 흉고둘레 4.9m, 근원둘레 5m, 수관폭 17m이다. 지상 1m 정도에서 세 가지로 갈라져서 수형이 고루 퍼졌으며 생육상태가 건강하고 아름답다. 나무뿌리가 지상으로 나와 모양이 신비스럽고, 나무의 나이는 445년 정도로 추정된다. 1560년(조선 명종)경 김해김씨가 자리 잡고 살아오...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태평리에 있는 삼국시대의 석성. 남원시에서 북쪽으로 12㎞ 정도 떨어진 산동면 태평리 해발 269m의 성산 정상부에 있으며, 요천강 서쪽 언덕까지 돌출되어 있는 해발 269m의 성산 정상부에 위치한다. 남원-장수 사이와 운봉-오수 사이를 잇는 지점으로 삼국시대 백제 국경의 요새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지리적 위치는 북위 35° 28´ 57...
-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에 속하는 법정리. 해발 110m 미만의 비옥한 평야 지대로 마을 뒤로는 고리봉이 우뚝 솟아 있으며, 마을 앞에 금지역과 금지초등학교가 있으며 넓은 금지평야가 펼쳐져 있다. 마을 이름은 택내리와 내기리가 합하여 여기서 각 한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으로 되었다. 택촌마을은 고려말 청송심씨(靑松沈氏)가 거주하였고, 내기마을은 지금으로부터 약 4...
-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택내리 내기마을에 있는 삼국시대에서 고려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유적은 택내리에서 내기마을로 가는 길 옆에 있는 구릉의 상단부와 도로변에 위치한다. 이 유적의 북쪽으로 약 500m 떨어진 지점에는 돌방무덤이 확인된 내기 고분군이 위치한다. 1999년과 2004년 전북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실시된 지표 조사에서 확인되었다. 이 유적이 위치한 구릉은...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화순(和順). 호는 택암(澤巖), 고려 충신 최영유(崔永濡)의 9세손이다. 최여근은 어려서부터 학문을 즐겨 그의 사촌 형인 양지당(養祉堂) 최여운(崔汝雲)과 함께 남명(南溟) 조식(曺植)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어버이 상을 당하여서는 여막(廬幕)을 짓고 시묘살이를 하였다. 1597년(선조 30)에 정유재란이 일어나 적병의 일...
-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택촌리 택촌마을에 있는 가야의 고분군. 유적은 택촌마을 서쪽 구릉의 능선 위에 위치한다. 택촌마을은 속칭 ‘돌머리’라고도 하여 이 지역에 고분이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소로에 의하여 택촌 고분군 Ⅰ과 택촌 고분군 Ⅱ로 구분된다. 두 고분군 사이의 거리는 10m 내외이다. 고분군의 서쪽은 산악 지대이다. 동쪽으로는 방촌천을 중심으로 넓은...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정월 초에 한 해 농사의 풍작과 흉작을 가늠하는 관습. 설날부터 정월 12일까지는 12간지에 해당하는 동물을 기준으로 ‘털날’과 ‘털 없는 날’로 구분한다. 털날은 12간지의 동물에게 털이 있는 날로서 소, 호랑이 등 대부분의 동물이 해당된다. 반면 털 없는 날은 용과 뱀만 해당한다. 설날이 털날이면 그해에는 풍년이 든다고 생각하고 설날이 털 없는 날...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불리는 판소리 다섯 마당 가운데 한 마당. 「수궁가」는 지역에 따라 「토끼타령」, 「별주부타령」, 「토별가」 등으로 불리는 판소리이다. 남원이 배출한 걸출한 소리꾼이었던 조선 후기 순조 때의 명창 송흥록을 비롯하여 그의 동생인 송광록과, 철종 때의 명창인 송광록의 아들 송우룡, 고종 때의 명창인 송우룡의 아들 송만갑으로 이어지는 동편제 「수...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불리는 판소리 다섯 마당 가운데 한 마당. 「수궁가」는 지역에 따라 「토끼타령」, 「별주부타령」, 「토별가」 등으로 불리는 판소리이다. 남원이 배출한 걸출한 소리꾼이었던 조선 후기 순조 때의 명창 송흥록을 비롯하여 그의 동생인 송광록과, 철종 때의 명창인 송광록의 아들 송우룡, 고종 때의 명창인 송우룡의 아들 송만갑으로 이어지는 동편제 「수...
-
전라북도 남원시 지리산 주변에서 기르는 토종 꺼먹돼지. 우리나라에서 기르는 재래돼지의 일종으로 고구려시대에 중국 북부지역에서 사육되던 돼지들 중 몸집이 작은 재래종에서 유래된 것으로 본다. 남원지방의 산내, 아영지방의 토착종을 흑돼지 또는 똥돼지라한다.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며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능력이 좋고. 고기의 질이 우수하고 맛이 좋아 주로 식용으로 사육된다....
-
고려 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승려. 속성은 윤씨. 자는 치원이고, 호는 통소(通炤). 지칭은 어려서 승려가 되어 흥원사 승통(僧統) 교웅(敎雄)에게 불법을 사사하고 그를 섬겼다. 27세에 승과에 급제하고, 1170년(의종 24)에 삼중대사(三重大師)가 되었다. 1179년(명종 9)에 수좌(首座)에 올랐고, 1187년(명종 17)에 승통이 되었다. 그는 국가에서 개최하...
-
통일신라와 발해가 병존한 7세기 후반부터 10세기 전반의 전라북도 남원 지역의 역사. 남북국시대는 고구려와 백제가 멸망한 뒤 신라와 발해가 대립하던 시기부터,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한 서기 936년까지를 의미한다. 신라가 백제를 병합(936)하면서 남원 지역은 신라의 영역으로 편제되었다. 신라에서는 백제 지역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조치의 하나로 685년(신문왕 5)에 남...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존중(存中), 호는 퇴사암(退思菴). 감사를 지낸 이감(李堪)의 손자이다. 중봉(重峰) 조헌(趙憲)의 문하에서 수학한 뒤 음직으로 관계에 들어가 참봉을 역임하였다. 만년에는 고향으로 돌아가서 스스로 퇴사암(退思菴)이라고 호를 짓고 학문을 연마하며 세월을 보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청주에서 조헌...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에 있는 조선 후기에 건립된 정자. 퇴수정은 1870년 가선대부 공조참판을 지낸 박치기(朴致箕)가 여생을 즐기기 위하여 지은 정자이다. 정자 뒤로는 병풍처럼 가파른 산이 둘러져 있고 정자 앞으로는 큰 시냇물이 흐르며 주변에는 웅장한 나무들이 그늘이 되어주는 아름다운 곳이다. 벼슬에서 물러나 심신을 단련하고 풍류를 즐기기 위해 지은...
-
1960년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있었던 투표함 소각사건. ‘투표함 소각사건’은 1960년 7월 29일에 실시된 제5대 국회의원 총선거가 끝나고 개표가 진행되던 7월 30일에 일어났다. 남원 갑구 선거구에서 일어난 개표 부정 사건에 항의하던 시위대가 군청에 진입하여 보관 중이던 투표함을 소각하였다. 이 사건으로 남원 갑구 선거위원 조갑수(趙甲洙)가 부정선거 개표 혐의로 경찰에 구속되고...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나는 특별한 산물.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 옛날 남원 지역의 특산물로 봉밀(蜂蜜)·호두·오미자·감·닥·생강·향심(香蕈)·송심(松蕈)·석류·석심(石蕈)·치자·죽전(竹箭)·해송자(海松子)·백화사(白花蛇)·복령(茯笭)·지황(地黃)·영양각(羚羊角)·은구어(銀口魚)·게[蟹] 등 19종을 기록하고 있다. 봉밀은 꿀로, 지금은 양봉(養蜂)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