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아영면에서 제일 먼저 형성된 마을로 전해지는 아곡리는 위치가 신라와 백제의 국경 지대인 아막성(阿莫城)의 성역이라 하여 아실이라 했는데 한자로 옮기면서 아곡(阿谷)이 되었다. 통일신라 초기 달성서씨 일가가 터를 잡아 정착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그 후 서씨들이 타지방으로 이주하고 재령이씨, 함양오씨...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동천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자식을 죽인 어머니에게 효도한 부부 이야기. 1979년 2월 5일 남원시 운봉읍 동천리의 한 집에서 열세 살 이영실(여)이 할머니로부터 들은 이야기라며 온 가족 앞에서 구술한 내용을 최래옥이 채록하여, 1980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실었다. 옛날 고려장이라는 풍습이 있던 시절의 이야기이다. 한 부부가 노모...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불리는 아리랑 노래. 한국 민요 중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불리는 민요가 「아리랑」이다. 또한 우리 나라에는 각 지역별로 약 50여 종의 아리랑이 전승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정선아리랑」과 「밀양아리랑」, 「진도아리랑」 등이다. 남원 지역에서 불리는 「아리랑」은 특정한 지역색을 지니지 않는 민요이다. 그래서 흔히 「서울아리랑」이...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일대의 고려시대 행정구역. 고려 전기인 995년(성종 14)에 전국을 10도로 개편하였는데, 남원부는 10도 가운데 하나인 강남도에 편입되었다. 이후 1018년(고려 현종 9)에 강남도와 해양도를 합하여 전라도라는 명칭을 붙이고 2목 18군 32현을 두었다. 2목 2부 가운데에 남원부가 포함되었고, 남원부는 전라도의 4대 도시 가운데 하나로 부상하...
-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성리에 있는 삼국 시대의 석성. 남원시 아영면 성리마을에서 마을회관을 지나 우측으로 가면 흥부각이 나온다. 여기에 아막성까지 오르는 소로가 있다. 복성이재 남쪽산 해발 697m의 정상부에 있는 이 성은 함양군과 접경을 이루는 봉화산에서 남으로 뻗어내린 697m의 산을 감고 있다. 이 산줄기는 계속 남으로 이어져 황산에 이르고 있다. 이...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무신.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명보(明甫), 시호는 무민공(武愍公). 황희(黃喜)의 5세손이며, 황윤공(黃允恭)의 아들이다.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킨 황위(黃暐)는 황진의 손자이다. 1576년(선조 9) 27세 때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이 되었다. 이듬해 종계변무(宗系辨誣) 일로 사신 황림(黃琳)을 보좌하여 군관으로 명나라를 다녀왔다....
-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아곡리에 있었던 조선 전기 향촌 사회를 근거지로 하여 설립된 사립 초등 교육 기관. 운곡재(雲谷齋)는 아곡리 아실마을의 지역 유지들에 의해 공동 설립되었으며, 주로 『사자소학』과 사서삼경 및 『명심보감』 등의 유학과 한문을 가르쳤다. 운곡재는 조선 전기에 설립되어 현대까지 운영된 오랜 전통의 촌합형 서당이다. 아실마을 지역은...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일대의 고려시대 행정구역. 고려 전기인 995년(성종 14)에 전국을 10도로 개편하였는데, 남원부는 10도 가운데 하나인 강남도에 편입되었다. 이후 1018년(고려 현종 9)에 강남도와 해양도를 합하여 전라도라는 명칭을 붙이고 2목 18군 32현을 두었다. 2목 2부 가운데에 남원부가 포함되었고, 남원부는 전라도의 4대 도시 가운데 하나로 부상하...
-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청계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기독교 복음 전파를 통해 아영면의 주민들이 마음을 같이 하고 사랑으로 교제하며 사회로부터 칭송받는 삶을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1956년 10월 31일 갈계 서부교회 김성재 장로의 인도로 고인회관에서 예배를 보기 시작하였다. 1957년 9월 5일 김성재 장로의 마을에 있던 정미소를 교회당으...
-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청계리에 있는 지리산농업협동조합의 지점. 농업 생산력의 증진과 농민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4년 8월 15일 설립되어 운영되어 오다가, 2006년 3월 31일 지리산농업협동조합에 흡수, 합병되었다. 따라서 현재는 본점인 지리산농업협동조합의 아영지점으로 운영되고 있다. 예금, 적금, 대출, 공제, 신용 카드 등의 금융...
-
전라북도 남원시에 속하는 법정면. 아영면은 남원의 문헌 기록상 최초로 등장하는 지역이다. 아영은 삼국시대에 아막(阿莫), 아용(阿容), 아영(阿英)이라 하였고 지금도 옛 지명이 아막산성(阿莫山城) 등으로 남아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중 「백제본기」에서는 아막산성으로, 「신라본기」에서는 아막성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 그것이다. 아영면 두락리에는...
-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청계리에 있는 남원시청의 하부 행정 기관. 아영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10년 북상면의 13개 리와 북하면의 9개 리가 병합되어 아영면이 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갈계리에 면사무소가 설치되면서 아곡, 봉대, 갈계, 인풍, 청계, 월산, 성리, 구상, 일대, 의지...
-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청계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나라와 민족을 사랑하고 지식 정보화 사회에 앞장서는 능력 있는 애국인, 기본 예절과 기초 질서를 지키며 긍적적이고 진취적인 도덕인,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배양하고 소질과 특기를 길러 21세기를 이끌어갈 창의적인 자주인, 기초 학력과 탐구능력을 신장시켜 과학 기술 시대를 이끌어 갈 과학적 창조인, 생명존중 정신을 배양...
-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청계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더불어 사는 사람, 꿈을 가진 사람, 창의적인 사람, 조화로운 사람을 기른다. 1929년 6월 26일 4년제 아영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가 1939년 3월 31일 수업 연한을 6년제로 연장하였다. 1941년 12월 5일 아영면 갈계리에서 아영면 청계리 현 위치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1950년 5월 24일에는 봉대국민학...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일대의 고려시대 행정구역. 고려 전기인 995년(성종 14)에 전국을 10도로 개편하였는데, 남원부는 10도 가운데 하나인 강남도에 편입되었다. 이후 1018년(고려 현종 9)에 강남도와 해양도를 합하여 전라도라는 명칭을 붙이고 2목 18군 32현을 두었다. 2목 2부 가운데에 남원부가 포함되었고, 남원부는 전라도의 4대 도시 가운데 하나로 부상하...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면 동천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오일봉이라는 사람과 관련한 이야기. 「아전 살던 이인 오일봉」은 평범한 사람과는 다른 특별한 능력이 있던 오일봉이란 인물에 얽힌 신비한 이야기로, “산청 오일봉이가 제 말 제 타고 다닌다.”는 속담의 기원을 말해 주는 기원담이기도 한다. 1979년 2월 5일 남원시 운봉면 동천리의 한 집에서 당시 열세 살이던...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이곡리에서 운봉의 황산대첩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아지발도 이야기」는 이성계의 남원 황산대첩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운봉 일대에는 황산대첩과 관련한 지명이 많이 유래하고 있다. 「아지발도 이야기」는 이성계의 놀라운 활솜씨와 이성계가 영계(靈界)의 도움을 받는 비범한 인물이었음을 전하는 이야기로, 역사적 사실에 신비성을 가미한...
-
전라북도 남원시민들이 거주하고 있는 집단 주거 시설. 「주택건설촉진법」에서는 5층 이상의 공동주택을 아파트라 규정하여 4층 이하의 연립주택과 구분하고 있다. 남원은 1981년에 시로 승격되었으나 그 해의 주택 보급률은 60%에 지나지 않아 주택 보급률이 매우 저조한 형편이었다. 그러나 1985년도에 들어서면서부터 주택 보급률이 67%로 상승하였으며, 1989년...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여옥(汝玉), 호는 모와(慕窩). 문성공 회헌 안향(安珦)의 후손이며, 군자감정(軍資監正)을 지낸 안호덕의 아들이다. 안건은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의 상을 당하자 9년간 시묘를 살았다. 1636년(인조 14)에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이흥발(李興發)의 격문에 발하여 가산을 털어 군량과 병장기를 갖추고, 두 아들...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이회(而會), 호는 풍계(楓溪). 문성공 회헌(晦軒) 안향(安珦)의 후손이며, 풍와(楓窩) 안신손(安信孫)과는 오촌 간이다. 안경달은 문음(門蔭)으로 주부를 제수받았다. 1636년(인조 14)에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기암 정홍명과 운암 이흥발 등과 함께 의병을 모집하고 군량을 모아서, 과천에 이르러 수많은...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내동리에 있었던 서당. 1908년에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내동리에 사는 순흥안씨와 남원양씨 문중이 서로 합의하여 마을 앞 연당의 서재에서 학동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안골서당으로 불리기도 하였는데, 김사헌, 김사문 등이 초기 훈장으로 부임하여 많은 제자들을 배출하였으며, 해방 후 1949년까지 운영되었다. 현재 서재는 남아 있지 않고 터만 남아...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열녀. 본관은 언양(彦陽). 아버지는 부사(府使) 김건(金健)이다. 김씨는 좌랑(佐郞) 안극충(安克忠)의 아내이다. 어느 날 화적(火賊)들이 느닷없이 집안으로 들이닥쳐 남편에게 칼을 휘두르며 달려들었다. 이때 김씨는 두 팔로 남편을 가로막고 그 대신 칼에 찔려 죽었다. 덕분에 남편은 간신히 화를 면하고 살아남을 수 있었다. 자신을 희생하고...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사칙(士則), 호는 백강(栢岡). 아버지는 첨추(僉樞) 안숙(安橚)이다. 안극효는 1741년(영조 17)의 식년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관에 들어가 사헌부의 지평, 장령, 헌납 등 주로 언관직에서 근무하였다. 성품이 강직하여 권력의 높고 낮음과 상관없이 활발한 언론을 펼쳤다. 일찍이 영조와 8촌간인 여천군(驪...
-
조선 전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세진(世珍). 안향(安珦)의 8대손이며, 대사성 전주부윤을 지낸 증좌찬성 안지귀(安知歸)의 아들이다. 할아버지는 홍문관직제학·판군자감사(判軍資監事) 안구(安玖)이고, 어머니는 상주박씨(尙州朴氏)로 참판 박이창(朴以昌)의 딸이다. 안기는 한때 전라북도 전주와 남원에서 살았다. 그는 1472년(성종 3)에...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안대중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69살의 노령임에도 불구하고 큰아들 안사오(安嗣吳)와 함께 권율 장군의 막하에 들어가 왜군과 싸우다가 여원치(女院峙)에서 부자가 함께 전사하였다....
-
전라북도 남원시 덕과면 만도리에 있는 조선시대에 설립된 사립 초등 교육 기관. 진덕재(眞德齋)는 1890년(고종 27) 진주소씨(晉州蘇氏) 가문의 소욱택이 마을 유지들과 함께 주도하여 설립하였다. 당시 보절면 만도리 일대의 만동마을과 도촌마을의 학동들에게 주로 『사자소학』과 사서삼경 및 『명심보감』 등의 기초 학문과 유학을 가르쳤다. 진덕재는 일제강...
-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의 사찰. 현재 경내에는 대웅전, 지장전, 관음전, 약사여래불, 산신각, 주좌, 적멸보궁, 불경 고서 등의 건물 및 유물이 있다. 현재의 관음사는 원래 이 지역에 위치해 있던 보현사의 산내 암자로서, 고려 후기에 창건되어 안불암(安佛岩)이라 칭하였다고 한다. 누가 안불암을 창건했는지 알 수 없으나 일제 시대 전까지 불도의...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무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여원(汝源), 호는 청류재(聽流齋)이다. 문성공 안향(安珦)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안대중(安大重)이다. 안사제는 효성이 지극하고 강직하며 굳센 지조를 지니고 있었다. 1582년(선조 15)에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판관에 이르렀다. 1592년(선조 25)에 일어난 임진왜란으로 아버지와 형이 어차산(於差山)에...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중온(仲溫), 호는 고봉(羔峰)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사제당 안처순(安處順)이며 아버지는 매담 안창국(安昌國)이다. 안선은 학문을 즐기고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뜻이 크고 기개가 있었다.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같은 고을의 뜻있는 사람과 함께 군사와 군량을 모았다. 이괄의 난이 평정되었다는...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후원(厚源), 호는 풍와(楓窩). 문성공 안향(安珦)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충순위(忠順衛) 안벽(安璧)이다. 안신손은 뜻이 크고 기개가 있었으며 주부(注簿)를 역임했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 남원부에서 군사와 군량을 모으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병사(兵使: 병마절도사의 이칭) 이복남에게 달려갔...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자주(子州), 호는 미한정(迷閑亭). 문성공 안향(安珦)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안휘도이다. 안야는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호남과 영남의 요충지인 남원을 빼앗긴다면 장차 그 화를 예측할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동헌으로 들어가 남원부사를 만나 여러 가지 계책을 논의하였다. 동...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원서(元瑞), 호는 청계(淸溪). 증조할아버지는 기묘명현 사재당(思齋堂) 안처순(安處順)이며 아버지는 사과(司果) 안선국(安善國)이다. 남원의 금릉리에서 태어났다. 안영은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남원의 본가에 있었는데 당시 모친은 서울의 집에 있었다. 난을 만나서 서로 찾지를 못하...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순흥(順興). 문성공 안향(安珦)의 후손이며 홍문관교리 안구의 7세손이다. 안용은 행실이 돈독하고 부모에게 효도하며 형제에게는 우애하였다. 무과에 급제하여 도총부경력(都摠府經歷)을 지냈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옥과현감 이흥발 및 여러 고을의 선비들과 함께 창의하여 의병과 군량을 모아 청주로 달려갔으나...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효자. 본관은 광주(廣州). 아호(雅號)는 국포(菊圃). 청백리 사간공(思簡公) 안성(安省)의 8세손이다. 안우는 효자 집안의 후손으로 그 또한 부모에 대한 효심이 깊었다. 19살 때 부친이 돌아가자 상례(喪禮)에 따라 정성을 다해 장사를 치렀다. 그 뒤 모친이 병환으로 누워 있으면서 별미(別味)를 원하자 지성으로 이를 구해다 주었다. 모...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면숙(勉叔), 호는 백계(白溪). 아버지는 주부(主簿) 안삼석(安三錫)이다. 안재도는 학문적으로 뛰어났으나 벼슬길에 나가지는 않았다. 그는 인현왕후(仁顯王后)가 폐위되자 방장산(方丈山) 밑 요호(蓼湖)에 은둔하여 일생을 마쳤다. 문헌공(文獻公) 박성원(朴聖源)이 그의 묘비명을 지어 백계처사(白溪處士)라...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문보(文寶), 호는 죽암(竹巖). 사재당(思齋堂) 안처순의 아들이다. 안전은 문장(文章)과 행실(行實)이 뛰어났으나 과거 공부를 달가워하지 않았다. 오히려 자신의 덕성을 숨기면서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군보(君寶), 호는 모암(慕庵). 문성공 안향(安珦)의 14대손으로 할아버지는 진사 안황(安璜)이고 아버지는 처사 안경덕(安敬德)이다. 안진은 어려서부터 할아버지 안황(安璜)에게 유학을 수업하여 아우 안건(安楗)과 함께 『가례(家禮)』·『소학(小學)』·『심경(心經)』·『성리(性理)』 등의 책을 공부하였다....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순지(順之), 호는 기재(幾齋), 사재당(思齋堂). 그의 증조는 안구(安玖)이며, 조부는 전주부윤(全州府尹) 안지귀(安知歸)이고, 아버지는 전적(典籍) 안기(安璣)이다. 어머니는 조양임씨(兆陽林氏) 능성현령(綾城縣令) 옥산(玉山)의 딸이다. 안처순은 1513년(중종 8)에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며, 이듬해 별...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성로(星老), 호는 귀은(歸隱). 사간공 안성의 7세손이며 청백리로 칭송받던 대사간 안팽명의 5세손이고 을사명현 안경우의 현손이며 현감 안극충의 손자이다. 1636년(인조 14)에 병자호란이 일어나 서울이 함락되고 인조가 피난해 있던 남한산성마저 포위당하자 충의로운 선비들이 각처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안철수도 비분함...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계함(季涵). 문성공 안향(安珦)의 13대손이다. 고조부는 장수현감을 지낸 안처경(安處經)이며 증조부는 장사랑 안창(安瑒)이며 조부는 안광업(安光業)이다. 생부는 진사 안황(安璜), 양부는 진사 안혼(安琿)이다. 생외조는 진사 조대성(趙大成), 양외조는 직장 문창후(文昌後)이며 처부는 사과 유언(柳堰)이다. 아들 안...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동한 열녀. 고조부는 홍문관교리 이적(李迪)이며 아버지는 이영진(李榮震), 어머니는 남원양씨(南原梁氏)이다. 남편은 순흥안씨 안국로의 아들인 안희도(安希道)이다. 이씨 부인은 규방의 규수로서 예의범절과 몸가짐이 정숙하였으며 19세에 결혼하여 부모 섬기기를 게을리하지 않았고 남편에게는 공경으로서 아내의 도리를 다하였다. 남편이 세상을 떠나자...
-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송치리에 속하는 행정리. 웅치리의 유래는 마을 앞의 동남쪽에 있는 산이 곰의 형상인데, 곰이 누워 새끼곰에게 젖을 먹이는 모습과 같다고 유래한 데서 ‘곰치, 곰재’로 부르다 한문으로 표기하여 웅치리라 부르게 되었다. 특히 웅치리를 지나 전라남도 구례군으로 가는 밤재가 나타나는데, 그 밤재 앞쪽에 있다 해서 보통 앞밤재마을로도 불린다....
-
빨치산은 한국전쟁 전후로 좌익 계열과 인민군 패잔병들에 의해 지리산에서 조직된 유격대를 일컫는다. 지리산에서 벌어진 동족상잔은 민족사의 최대 비극이다. 이념이 다르다고 해서 자행된 살육과 약탈에서 보면, 빨치산이든 국군·경찰이든 모두 피해자였다. 또한 누대로 지리산 자락에 삶의 터전을 잡았던 무고한 주민들이 입은 인적·물적 피해도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지금은 평화와 용서 그리고...
-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약사 또는 한약사가 의약을 조제하거나 판매하는 곳. 흔히 약국이라는 명칭은 한약을 지어 파는 곳이나 약방을 뜻하는 것으로 사용되기도 하나, 「약사법」제16조에 의하면 약사가 아니면 약국을 개설할 수 없다고 나와 있다. 약사가 아닌 의약품 취급 업자의 영업소는 약방·약점·약포(藥鋪) 등으로 불리며 약국이란 명칭은 사용할 수 없다. 약국과 약국 아닌...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실상사 약수암에서 조성된 조선 후기의 목각탱(木刻幀). 목각탱은 나무에 불상 등을 조각하여 불화 형식으로 만들어 불상 뒤에 거는 것으로, 조각이면서 탱화의 기능을 함께 갖고 있다. 실상사 약수암 목각탱은 1782년에 제작되었는데, 아미타불과 8대보살, 두 제자만을 표현한 것으로, 현존하는 목각탱 가운데 가장 간략한 구성을 보여준다. 가로 1...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에 속하는 법정리. 양가리는 목가리와 양강리를 행정리로 포함하고 있다. 남원시에서 북동쪽으로 6㎞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군도 15호선이 마을 앞을 통과하고 있는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다. 자연 마을로는 갱거리, 나뭇거리, 양강, 구룡새터 등이 있다. 본래 남원군 백파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목가리와 기양리 일부를 병...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양경(揚卿), 호는 추곡재(楸谷齋). 참찬(參贊) 김충익(金冲益)의 후손이며, 참판(參判)에 증직(贈職)된 김신추(金愼樞)의 아들이다. 김익웅은 어버이를 효로 섬겼고 담력이 있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어머니의 상중인데도 의병을 일으켜 나라와 임금을 위해 충성을 다했다....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이자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자점(子漸), 호는 제호(霽湖)·점역재(點易齋)·요정(寥汀)·태암(泰巖). 아버지는 충장공 양대박(梁大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아버지 양대박이 창의하자, 아우 양형우(梁亨遇)와 함께 아버지를 보필하였다. 양경우는 아버지의 명에 따라 고경명(高敬命)에게 갔는데, 고경명은 양경우...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효자. 양계상은 일찍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8살 때 아버지의 병환이 위독하자 어린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손가락의 피를 내어 아버지에게 주었고, 이어 허벅지의 살도 베어 주었다고 한다. 뒤에 어머니가 중병을 앓았을 때 어머니의 소원인 잉어를 구하기 위해 엄동설한에 냇가에 나가자, 때 아닌 잉어 한 마리가 얼음 위에 나와 있어 이를 구하여 어머니...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사진(士眞), 호는 청계(靑溪)·송암(松巖)·죽암(竹巖)·하곡(荷谷). 아버지는 목사 양의(梁艤)이다. 양대박은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배웠다. 1572년(선조 5)에는 학관(學官)에서 제술관(製述官)으로 기용되고 이어 종부시주부(宗簿寺主簿)에 올랐다. 1592년(선조 25) 4월 임진왜란이...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상동리에 있는 임진왜란 때의 충신 양대박 부자를 추모하기 위한 비와 비각. 양대박(梁大樸)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을 모아서 고경명과 함께 금산에서 왜적과 싸웠고, 그의 아들과 진산을 지키다 진중에서 병을 얻어 1592년에 사망하였다. 그의 아들 양경우(梁慶遇)는 군량미를 모아 명나라 군대에 제공하였다. 1796...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상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려각(旌閭閣) 및 비문. 양대박은 임진왜란(1592) 때 남원에서 1,000여 명의 의병을 모아 운암 전투에서 왜병을 격파하였고, 그의 아들 양경우는 군량미를 모아 명나라 군대에 제공하였다. 이 비는 1796년에 세워졌으며, 양대박 부자의 충절의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양대박의 비와 정려문은 조선 중...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상동리에 있는 임진왜란 때의 충신 양대박 부자를 추모하기 위한 비와 비각. 양대박(梁大樸)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을 모아서 고경명과 함께 금산에서 왜적과 싸웠고, 그의 아들과 진산을 지키다 진중에서 병을 얻어 1592년에 사망하였다. 그의 아들 양경우(梁慶遇)는 군량미를 모아 명나라 군대에 제공하였다. 1796...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상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려각(旌閭閣) 및 비문. 양대박은 임진왜란(1592) 때 남원에서 1,000여 명의 의병을 모아 운암 전투에서 왜병을 격파하였고, 그의 아들 양경우는 군량미를 모아 명나라 군대에 제공하였다. 이 비는 1796년에 세워졌으며, 양대박 부자의 충절의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양대박의 비와 정려문은 조선 중...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경언(景彦). 아버지는 참봉 양희보(梁希寶)이다. 양대수는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족인(族人) 양경우와 함께 고경명(高敬命)의 막하로 달려갔다. 그러나 고경명은 늙은 어머니가 있다는 것을 알고 어머니를 봉양하라고 집으로 보내니, 양대수는 눈물을 흘리며 그 뜻을 시로 짓고 물러나와 노모를...
-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 방동리에 있는 조선 말기 향촌 사회를 근거지로 하여 설립된 사립 초등 교육 기관. 양동서당은 1903년(고종 40) 남원진씨(南原晉氏) 가문 내의 시설로서, 당시 진기완에 의해 설립되었다. 주로 『사자소학』과 사서삼경 및 『명심보감』 등의 유학을 가르친 지역 사회 초등 교육의 요람이었다. 양동서당은 오랜 전통의 촌합형 서당이다...
-
전라북도 남원시 어현동에 있는 도로. 양림길은 옛 지명 양림(楊林)에 개설된 도로로, 어현동 37-12번지에서 어현동 37-70번지 사이에 있는 작은 도로이다. 양림길은 양림마을의 지명을 따다 붙인 이름이다. 양림은 함파우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양림에서 함파로 넘어가는 고개가 있는데, 양림고개 또는 함파고개라고 한다. 함파는 범을 잡으려고 함정을...
-
전라북도 남원시 어현동에 있는 관광단지. 1984년 남원관광지로 지정 승인을 받았으므로 남원시민들이 흔히 남원관광단지 혹은 양림단지라고 부르는 남원시 어현동 지역은 관광단지가 아니라 관광지이다. 광주 대구 고속 도로의 개통을 계기로 경주보문단지와 제주중문단지에 견줄 만하며, 남원시의 전통을 되살리고 남원 지역의 관광 사업 발전을 위해 한국관광공사에서 조성한 관...
-
광한루원 앞 요천 건너 어현동 산허리에 있는 남원관광지는 경주 보문단지, 제주 중문단지처럼 남원시가 관광 도시의 면모를 갖추도록 조성한 관광 기반 시설이다. 남원 시민들이 흔히 남원관광단지 혹은 양림단지라고 부르는 이곳은 정확히 말하면 관광단지가 아니라 관광지이다. 1984년 7월 28일 교통부로부터 관광지로 지정·승인을 받은 이곳은 남원시 어현동 37번지 일원에 위치하...
-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옹정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아내를 업신여긴 남편이 오히려 아내의 도움으로 임금이 된다는 이야기. 1979년 7월 31일에 남원시 금지면 옹정리에 사는 임규임(여, 62)이 구연한 것을 최래옥·강현모가 채록하여, 1980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실었다. 옛날에 가난한 양반집과 부자로 사는 종집이 있었는데, 양반집에는 아들이 있고 종의...
-
고려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원. 호는 호은(湖隱). 충숙왕 때 참지정사를 지낸 문인공(文仁公) 양일(梁溢)의 후손이다. 양사철은 고려시대 공민왕 때 과거에 급제하여 문하평리(門下評理) 삼중대광(三重大匡)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냈다고 한다. 그러나 『고려사』 등에서 그의 행적은 찾아볼 수 없다....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논일할 때 부르는 논농사 소리. 「양산도」는 원래 경상도 지역에서 많이 부르는 대표적인 민요지만 전라도에서는 동부 산간 지역을 중심으로 논매는 소리로 많이 불리고 있는 노동요이다. 한 사람이 앞소리를 메기고 나머지 사람들이 후렴을 받는 선후창 형식이다. 『한국구비문학대계』5-1의 28쪽에 「지심매기 노래」로 소개되어 있으나 실제로...
-
전라북도 남원시 덕과면 신양리 양선마을에 있는 가야계의 고분군. 유적은 천황산에서 남쪽으로 뻗어 내린 능선의 말단부에 위치한다. 유적은 사율리 상율마을에서 신양리 양선마을로 넘어 가는 고개 마루와 그 동쪽 사면에 분포하며, 이곳은 양선마을의 서북쪽 뒷산에 해당된다. 유적의 분포 범위는 남북 500여 m, 동서 300여 m를 이루고 있다. 1987년과 2004년 전북대학교...
-
조선 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순부(純夫), 호는 눌재(訥齋)·송파(松坡). 시조 병부공 양능양(梁能讓)의 13세손이며 아버지는 증우찬성(贈右贊成) 양구주(梁九疇)이다. 양성지[1415~1482]는 1441년(세종 23)에 생진문과(生進文科)에 합격하여 경창부승(慶昌府丞)과 성균전적(成均典績)을 역임하였다. 훈구파(勳舊派) 중진으로서...
-
고려 말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동한 열녀. 아버지는 고려시대 문과급제자 이이시(李以時)이고, 남편은 직제학 양수생(楊首生)이다. 이씨가 임신한 뒤에 곧바로 남편이 죽자 친정 부모는 개가를 권유하였다. 그러나 이씨는 “나라의 풍속이 모두 그러한데 어찌 저 혼자만 어길 수 있겠습니까? 다만 양씨(楊氏)의 핏덩이가 배 속에 있으니 아이를 낳을 때까지만 기다려 주십시오.”라고...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활동한 호남좌도 농악의 명인. 양순용은 양병철과 권일순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고 남원양씨 용성군파 15대손이다. 박학삼에게 가락과 굿의 체계를 배우고 전라북도 순창 동계의 김문식에게 ‘부포놀음’을 배웠다. 양순용은 1941년 임실군 필봉리에서 태어났고 13살 되던 해부터 박학삼 상쇠 밑에서 끝쇠를 치기 시작하여 14살에 필봉농악...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과립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자식을 죽인 부모를 용서한 양아들 부부의 효행담. 1979년 8월 2일에 남원시 이백면 과립리에 사는 오순덕(여, 57)이 구연한 것을 최래옥·이강철이 채록하여, 1980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실었다. 옛날에 아들 없이 딸만 둔 사람이 살았는데, 아들이 없어서 양아들을 들여 키운 후 아들딸 모두 혼사를 치...
-
조선시대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효녀. 아버지는 첨지(僉知) 진재창(陳再昌)이다. 양여형(楊汝亨)의 아내 진씨(陳氏)는 경사(經史)에 능통하였으며, 효성 또한 지극하여 부모를 봉양할 때에는 한번도 그 뜻을 거스르지 않았다. 결혼해서는 시댁에 의지하지 않았다. 본가에서 살면서 부모의 상을 당했던 그녀는 자신의 손가락을 자르고 죽만 먹는 등, 그의 오빠 진극서(陳克緖)와 진극...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효자. 본관은 남원. 초명은 양정(梁涏), 자(字)는 여관(汝寬). 부인은 전주최씨이다. 형제로 양집(梁濈)이 있다. 양필은 양집과 함께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한 형제였다. 두 사람은 아침에는 부모께 문안을 드리고 밤이면 편히 주무시도록 자리를 보아드렸다. 중병(重病)으로 어머니가 위태롭게 되자 대소변의 맛을 보아 병의 차도를 감지하였다....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백형(伯亨). 영의정 양운(梁運)의 후손이며 참봉 양대충(梁大冲)의 아들이다. 행의로 천거되어 찰방에 제수되었고, 이어서 문과에 급제하여 양덕현감을 지냈다.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경명을 따라서 금산으로 나아가 병사들의 앞에 서서 힘껏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임진왜란이 끝난 이후 금산전투의 공을...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초촌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향촌 사회를 근거지로 하여 설립된 사립 초등 교육 기관의 터. 양정재(養正齋)는 영천이씨(寧川李氏) 가문의 문중에서 설립하여 마을 유지들과 운영했으며, 주로 『사자소학』과 사서삼경 및 『명심보감』 등의 한문과 유학을 가르쳤다. 초동마을은 초가(草家)가 많아 마을 뒤편 뒷골로 불리는 재실에서 학동들을 훈...
-
1933년에 간행된 조선 후기 인물인 이복겸의 유고 시문집. 이복겸(李福謙)[1744~1823]의 호는 양정재(養正齋)로, 남원군 이백면 초동마을 출신이다. 아들 이형규(李馨奎)와 이형대(李馨大), 손자 이백효(李伯孝) 등이 편집한 것을 1933년 6세손 이정우(李整雨)가 간행하였다. 연세대학교 도서관과 전남대학교 도서관,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 등에 소장되...
-
조선 중기 남원 출신의 문신. 양주익(梁周翊)[1722~1802]은 주로 영조와 정조 연간에 활약한 문신이다. 정치의 폐단을 개혁하는 데 관심이 많았으며, 시문에도 능하였다.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군한(君翰), 호는 무극(无極). 조부(祖父)는 양우하(梁宇夏)이고, 부친은 생원 양명진(梁命辰)이다. 모친은 전의이씨(全義李氏)이다. 1753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이어...
-
고려시대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동한 열녀. 남편은 생원 양중수(梁仲粹)이다. 이씨 부인은 왜적의 침입을 당하자 몸이 더럽혀질까 염려하여 끝까지 반항하다가 죽었다. 이 사실이 조정에 알려지자 정려(旌閭)가 내려졌다....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면 준향리 준향마을에 있는 삼국시대의 산성. 유적은 준향리 준향마을 서쪽 산봉우리에 위치한다. 유적은 ‘양지 산성’과 ‘음지 산성’으로 불리는 2개소의 산정식 석성을 가리킨다. 양지 산성은 백두대간의 산줄기 정상부에 해당하는 운봉면 준향리와 이백면 과립리의 경계에 위치하며, 입망치의 북쪽에 자리한다. 음지 산성은 운봉면 준향리와 이백면 양가...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화순(和順). 자는 여앙(汝仰), 호는 양지당(養祉堂). 문충공(文忠公) 최선문(崔善門)의 후손이며, 지평(持平) 매헌(梅軒) 최달승(崔達昇)의 손자이다. 최여운은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또한 힘이 세었다. 부모의 상을 당할 때마다 여막(廬幕)을 짓고 시묘살이를 하였다. 그의 족형(族兄) 수우당(守愚堂) 최영경(崔永慶)과 사촌...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진주, 자는 자장(子長), 호는 양진(養眞). 안렴사(按廉使) 하중용(河仲龍)의 후손이며, 도사(都事) 하극윤(河克潤)의 아들이다. 하만리는 학행이 뛰어나고 언 강에서 고기를 잡아 부모를 봉양할 만큼 효성이 지극하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폄재(砭齋) 최온(崔蘊), 당촌(塘村) 황위(黃暐) 등과 함께...
-
1911년에 간행된 조선 중기 학자 하만리의 유고 시문집. 하만리(河萬里)[1597~1599]의 자는 자장(子長), 호는 양진(養眞)이며, 관향(貫鄕)은 진주(晉州)이다. 남원 출신의 유학자로, 학행과 효행으로 명성을 떨쳤다. 8대손 하진천(河鎭天)과 9대손 하영진(河永晋) 등이 편집하여 1911년 2권 1책으로 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간숙(幹叔), 호는 농암(聾庵). 병부낭중 양능양(梁能讓)의 후손이다. 양진번은 남원 괴정에서 출생하여 김화(金樺)의 문하에서 배우고 정온(鄭蘊)의 문하에 출입하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운암 이흥발 등 여러 선비들과 함께 창의하여 과천에 이르러서 적병을 많이 죽였다. 얼마 후 화의...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춘향전」의 근원 설화가 탄생한 배경을 이야기하는 문헌 설화. 「양진사 설화」는 조선 후기의 문신 양주익이 쓴 『무극선생행록(無極先生行錄)』에 기록되어 있는 문헌 설화의 하나이다. 남원 지역에서 전해 오는 「박색터 설화」와 「지리산녀 설화」, 「노진 설화」와 함께 「춘향전」의 근원 설화로 알려진 「춘몽연(春夢緣)」이라는 이야...
-
조선시대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열녀. 양진원의 아내 윤씨는 남편의 상을 당하자 3개월 동안 그 시신을 부둥켜안고 지냈다. 또한 삼년상을 치르면서 날마다 통곡하는 그녀의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이에 길을 지나가는 사람들이 감동하여 함께 울었다고 한다. 윤씨의 열행 사실이 조정에 알려져 정려의 특전이 내려졌다. 그러나 정확한 명정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다....
-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진기리에 있었던 향촌 사회를 근거지로 하여 설립되었던 사립 초등 교육 기관. 1934년까지 운영되다 중단된 진목서재(진목서당)를 계승하여 설립되었다. 양진재에서는 주로 진목서재의 후계 사업과 함께 『사자소학』과 사서삼경 및 『명심보감』 등의 한문과 유학을 가르쳤다. 양진재(養眞齋)는 1827년(순조 27)에 마을 유지들이 공동으로 설립했...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서식하는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진달래과의 철쭉. 진달래과에 속하는 키작은나무(관목)이며 겨울에는 잎을 떨구는 낙엽성 식물이다. 전국의 산지에서 자라며 봄이 시작되면 화살촉처럼 붉고 뾰족한 꽃봉오리가 2~7송이가 달리며 10월에 결실한다. 정원을 아름답게 가꾸는 정원수와 조각재로 쓰이며 건위, 강장, 이뇨에 좋아 약용으로 쓰인다. 중국에서는 철...
-
고려 후기 조선 초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충신이자 효자. 고려 공민왕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있으면서 대방군(帶方君)에 봉(封)해졌다. 조선이 건국된 후 태조 이성계가 세 번이나 불렀으나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 평소 효행이 지극하였던 양천룡은 부친이 세상을 하직하자 묘 옆에 여막(廬幕)을 짓고 애통해하며 지극한 효심으로 시묘(侍墓)하였다. 연이어 모친의 상을 당하...
-
조선시대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효자. 양치민은 평민임에도 불구하고 『용성지(龍城誌)』권6 효자편에 기록되어 있음은 그의 효행이 탁월했음을 보여준다. 『용성지(龍城誌)』에 의하면, 그는 평소 온 정성을 다하여 부모에게 효행을 다하였으며, 부모의 상을 당하여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 흐르는 피를 드시게 하였다 한다....
-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1919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평촌리, 양촌리, 오산리, 치촌리, 세전리의 각 일부를 병합한 뒤 양촌과 평촌의 이름을 따서 양평리라고 하였다. 1630년경 진주강씨가 동성 마을을 이루다가 그뒤 문화유씨와 전주이씨·흥덕장씨 등이 양지촌에 정착하였다. 그 중 일부가 평촌에 정착하여 거주하다가 1920년 6월 경신년 대홍수로...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약한 의병.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양필(良弼), 호는 송계(松溪). 순창군 팔덕면 사정리 출신으로, 문양공 강희맹(姜希孟)의 7대손이며, 임진왜란 때 금산전투에서 순절한 강창국(姜昌國)의 아들이다. 강대한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고 용모가 준수하며 기개가 강개하였다. 임진왜란을 당하여 종묘사직이 위기에 처하자, 부친의 명에 따라 담양...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효자. 본관은 남원. 초명은 양정(梁涏), 자(字)는 여관(汝寬). 부인은 전주최씨이다. 형제로 양집(梁濈)이 있다. 양필은 양집과 함께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한 형제였다. 두 사람은 아침에는 부모께 문안을 드리고 밤이면 편히 주무시도록 자리를 보아드렸다. 중병(重病)으로 어머니가 위태롭게 되자 대소변의 맛을 보아 병의 차도를 감지하였다....
-
조선 말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문찬(文贊), 호는 칙헌(則軒).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오위장을 지낸 양맹석(梁孟錫)이며 어머니는 파평윤씨로 윤종길(尹宗吉)의 딸이다. 1882년(고종 19) 임오군란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즉시 장정 300여 명을 모아 이끌고 서울로 가려 하였다. 그러나 당시 남원부사 심의두(沈宜斗)가 저지하여 수행하지 못하였다...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자발(子發), 호는 동애(東崖). 용성군 양주운(梁朱雲)의 후손이며, 할아버지는 집의 양의(梁艤)이고, 아버지는 청계 양대박(梁大撲)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 아버지 양대박이 의병을 일으켜 출전하자, 19세의 나이에 불과하였으나 종군하여 운암전투에서 큰 공을 세웠다. 1603년(선조 36)에 진...
-
1948년에 발간된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덕열의 유고 시문집. 이덕열(李德悅)[1534~1599]의 자는 득지(得之), 호는 양호당(養浩堂)이며, 남원부 주포방(현 남원시 주생면 유매리)에서 살았다. 1567년 진사시를 거쳐 수찬(修撰)과 승지(承旨) 등을 역임했다. 김홍락(金鴻洛)의 서(序)와 증손 이웅징(李熊徵), 권명섭(權命燮), 10세손 이병수(李秉壽)...
-
1948년에 발간된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덕열의 유고 시문집. 이덕열(李德悅)[1534~1599]의 자는 득지(得之), 호는 양호당(養浩堂)이며, 남원부 주포방(현 남원시 주생면 유매리)에서 살았다. 1567년 진사시를 거쳐 수찬(修撰)과 승지(承旨) 등을 역임했다. 김홍락(金鴻洛)의 서(序)와 증손 이웅징(李熊徵), 권명섭(權命燮), 10세손 이병수(李秉壽)...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동한 의병.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길부(吉夫), 호는 모정(慕亭). 대제학 양이시(楊以時)의 후손이며 둔재 양사(楊泗)의 아들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유팽로·양대박 등과 함께 고경명을 찾아가서 창의하였다. 그들은 여러 고을에 격문을 돌리고 담양에서 만날 것을 약속하고 고경명을 의병대장으로 추대하였다. 양희적은...
-
전라북도 남원시 어현동에 있는 농공 단지. 1983년 제정된 ‘농어촌소득원개발촉진법’에 따라 농촌 지역인 남원에 공업을 유치하여 농촌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기하고, 나아가 도시와 농촌 간의 지역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개발된 농공 단지이다. 1991년 6월부터 1992년 7월 사이에 사업비 3,540백만 원을 들여 조성되었다. 단지의 면적은 116,874㎡이며 입주 업체는...
-
전라북도 남원시에 속하는 법정동. 어은골은 노암동에서 수지면으로 가는 삼거리 부근의 마을인데 어은동, 엉골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엉골은 옛날 벼슬을 하지 않은 선비들이 은둔했던 은사골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숨은 잉어의 혈 같은 골짜기 형상을 이루고 있다고 하여 어은골, 어은동이라고도 불렀다. 세현은 셋고개[細峴]라고도 하는데 노암동 목공예단지 맞은편...
-
전라북도 남원시 어현동에 있는 목공예품 생산 단지. 목공예란 목재를 이용하여 구조물·기물 등을 만드는 기예(技藝)를 말한다. 목공예 단지는 목공예품을 생산하는 업체들이 모인 생산지이다. 남원 지역은 전통적으로 목공예 관련 산업이 활발하였다. 남원 지역에 있는 목공예 단지는 어현목공예단지, 운봉목기단지, 조산목공예단지, 산내목공예단지, 인월목공예단지 등이 있으며, 옻칠공예...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매체를 통하여 어떤 사실을 밝혀 알리거나 어떤 문제에 대하여 여론을 형성하는 활동. 전라북도 지역에 최초로 등장한 신문은 주간지 『군산신보』이다. 1902년 『전북신보』보다 2년 앞서 일본인이 창간했다. 『군산신보』는 1908년 4월 15일 제호를 『군산일보』로 변경, 『전주신보』보다 1년 앞당겨 일간으로 전환했다. 그 후 1941년 일제의...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행정리에 있었던 조선 후기 향촌 사회를 근거지로 하여 설립된 사립 초등 교육 기관의 터. 엄계서당은 조선 후기에 남원도호부 운봉현의 엄계마을에서 나주임씨(羅州林氏) 가문의 임춘환과 진주유씨(晋州柳氏) 가문이 공동으로 설립했으며, 『사자소학』과 사서삼경 및 『명심보감』 등의 유학을 가르쳤다. 엄계서당은 조선 숙종 때 최초 설립하...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행정리에 있었던 조선 후기 향촌 사회를 근거지로 하여 설립된 사립 초등 교육 기관의 터. 엄계서당은 조선 후기에 남원도호부 운봉현의 엄계마을에서 나주임씨(羅州林氏) 가문의 임춘환과 진주유씨(晋州柳氏) 가문이 공동으로 설립했으며, 『사자소학』과 사서삼경 및 『명심보감』 등의 유학을 가르쳤다. 엄계서당은 조선 숙종 때 최초 설립하...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효자. 본관은 남원. 초명은 양정(梁涏), 자(字)는 여관(汝寬). 부인은 전주최씨이다. 형제로 양집(梁濈)이 있다. 양필은 양집과 함께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한 형제였다. 두 사람은 아침에는 부모께 문안을 드리고 밤이면 편히 주무시도록 자리를 보아드렸다. 중병(重病)으로 어머니가 위태롭게 되자 대소변의 맛을 보아 병의 차도를 감지하였다....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약한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여기(汝器), 호는 만취정(晩翠亭). 계림군 김균(金稛)의 7세손이고, 선략장군 김귀손(金龜孫)의 손자이며, 현령 김사걸(金士傑)의 아들이다. 김위는 1558년(명종 13)에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라 내외의 요직을 거쳐 예문관직제학(藝文館直提學), 형조참의(刑曹叅議)에 이르렀다. 1592년(선조...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삭녕(朔寧). 자는 여민(汝敏). 영의정 최항(崔恒)의 6세손이며, 한림 최언수(崔彦粹)의 손자이다. 좌승지(左承旨) 최적(崔敵)의 둘째아들이다. 최상인은 재주가 남다르게 탁월하였고, 성리학을 깊이 공부하였다. 지조와 기개가 돈독하고 충효를 인륜의 최우선에 두고 이를 실천하는 데 힘썼다. 1609년(광해군 1)에 생원시(生員...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유생.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여성(汝成), 호는 하간. 제학(提學) 김신민(金新民)의 후손이자 선무량 김영진의 증손이다. 김재백은 어려서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문하에 나아가 유학과 예론 등을 공부했으며, 1682년(숙종 8)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했다.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스승 송시열이 유배될 때 스승의 무죄를 상소하기도...
-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 동양마을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군. 유적이 위치한 송동면 세전리는 남원시에서 서쪽으로 30° 정도 치우쳐 있으며, 남쪽으로 11㎞ 떨어져 있다. 전라남도 곡성군과 전라북도 남원군의 군계(郡界)가 되는 섬진강의 강안에 해당된다. 또한 곡성읍에서는 북쪽으로 약 4㎞ 떨어져 있다. 유적은 섬진강 중류의 평야 지대인 세전리 마을 일대에 위치한다...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화순(和順). 자는 여앙(汝仰), 호는 양지당(養祉堂). 문충공(文忠公) 최선문(崔善門)의 후손이며, 지평(持平) 매헌(梅軒) 최달승(崔達昇)의 손자이다. 최여운은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또한 힘이 세었다. 부모의 상을 당할 때마다 여막(廬幕)을 짓고 시묘살이를 하였다. 그의 족형(族兄) 수우당(守愚堂) 최영경(崔永慶)과 사촌...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여일(汝一)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부역으로 노역을 나갔다가 한산섬의 싸움에서 크게 공훈을 세우므로 조정에서 특명으로 부역을 면제해 주었다. 한산섬의 싸움에서 쌓은 공을 인정받아 선무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여옥(汝玉), 호는 모와(慕窩). 문성공 회헌 안향(安珦)의 후손이며, 군자감정(軍資監正)을 지낸 안호덕의 아들이다. 안건은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의 상을 당하자 9년간 시묘를 살았다. 1636년(인조 14)에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이흥발(李興發)의 격문에 발하여 가산을 털어 군량과 병장기를 갖추고, 두 아들...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무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여원(汝源), 호는 청류재(聽流齋)이다. 문성공 안향(安珦)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안대중(安大重)이다. 안사제는 효성이 지극하고 강직하며 굳센 지조를 지니고 있었다. 1582년(선조 15)에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판관에 이르렀다. 1592년(선조 25)에 일어난 임진왜란으로 아버지와 형이 어차산(於差山)에...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여원(汝願). 세종 때 재상 황희(黃喜)의 후손이며,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증직(贈職)된 황경구(黃慶龜)의 아들이다.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형 황함(黃諴)과 조카 황익계(黃翼繼), 동지 장우정(張于井)·최여대(崔輿垈) 및 의사 70여 명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남원성을 지켰다. 1735년...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양가리와 운봉읍 장교리 사이에 있는 고개. 기원전 삼한시대 마한의 별궁이 있었다는 전설, 그 궁터가 남아있는 계곡, 여원치 마애여래불에 얽힌 여인의 정절에 대한 이야기, 호국혼의 전설을 간직한 아흔아홉 구비의 고개, 정상의 주지봉 산신단에 소원을 빌면 한 가지는 들어 준다는 전설 등 많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고려 말 왜구의 침입이 극심하던 때...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양가리에 있는 마애불. 여원치는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에서 운봉읍으로 향하는 국도 상의 고개를 말하며, 국도가 개설되기 전에는 호남과 영남을 이어주는 주요 교통로였다. 암벽에 새겨진 여원치 마애불은 1997년 11월에 전라북도 유형 문화재 제162호로 지정, 관리 중에 있다. 여원치 마애불상은 오른쪽 머리와 얼굴 일부 및 오른...
-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신리는 2개의 행정리, 즉 대산리(大山里)·상신리(上新里)로 나뉘어 있다. 혼불의 고장인 사매면의 면소재지로부터 남동쪽 3㎞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보절면과 광치동의 경계이다. 대신리는 원매안(元梅岸)·여의(如意)터라고 부르기도 한다. 원매안은 당초 ‘구내방(丘內坊)’이었는데, 약 300년 전 공자(孔子)의...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자는 여익(汝益), 호는 패란당(佩蘭堂). 영의정 태허정(太虛亭) 최항(崔恒)의 후손이며, 좌승지(左承旨)에 증직(贈職)된 최적(崔敵)의 아들이다. 1567년(명종 22)에 태어난 최상겸은 어려서부터 학문에 힘썼으며 또한 체구가 우람하였다. 1590년(선조 23)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음직(蔭職)으로 관직에 나아갔...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동한 의병. 본관은 협계(峽溪). 자는 여인(汝仁), 호는 정기제(正己齊). 판서(判書) 태응진(太應辰)의 후손이며, 수문장(守門將) 태윤민(太潤民)의 아들이다. 태귀생은 활과 말을 잘 다루었으며 계략이 담대하였다. 1555년(명종 10)에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주부(注簿)에 이르렀다.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그는...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여일(汝一)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부역으로 노역을 나갔다가 한산섬의 싸움에서 크게 공훈을 세우므로 조정에서 특명으로 부역을 면제해 주었다. 한산섬의 싸움에서 쌓은 공을 인정받아 선무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과립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여의주를 얻은 구렁이가 용이 되어 은혜 갚은 이야기. “말이 씨가 된다”는 속담과 관련하여 민간에서 여러 유형으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중의 하나로 유래담에 속한다. 1979년 8월 2일에 남원시 이백면 과립리에 사는 박동진(남, 65)이 구연한 것을 최래옥이 채록하여, 1980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실었...
-
전라북도 남원시 동촌동에 있는 기독교의 한 교파. 1872년 찰스 테이즈 러셀이 펜실베이니아 피츠버그에 세운 국제성서연구회(International Bible Students Association)로 시작했다. ‘여호와의 증인’이라는 이름은 1931년 러셀의 후임자인 조셉 프랭클린 러더퍼드가 사용하기 시작했다. 천년왕국론을 믿는 기독교의 한 종파이다. 성경만이 인류의 유...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여회(汝晦). 수은(樹隱) 김충한(金沖漢)의 후예이며, 한림(翰林) 김미(金楣)의 고조손이다. 김성은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판관(判官)으로 있었는데, 도탄(桃灘) 변사정(邊士貞)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팔량치(八良峙)에서 적과 대치하여 싸워 많은 적을 베었다. 조정에서는 김성의 전...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자는 여후(汝厚), 호는 미능재(未能齋). 영의정 최항(崔恒)의 6세손이며, 어모장군(禦侮將軍) 최영(崔穎)의 아들이다. 최상중은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에게 사사했다. 1576년(선조 9)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해, 1589년(선조 22)에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한림(翰林)이 되었...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여휘. 임진왜란에 의병을 일으킨 진중희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진칠보이다. 진광두는 힘이 세고 병서에 통달하였다. 1728년(영조 4)에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서한중과 함께 동지 두 사람을 모아서 운봉의 팔량치에서 적을 막으니 적이 감히 이 재를 넘어오지 못하였다. 그 뒤 강만하 등과 함께 함양으로 들어가...
-
고려시대에 전라북도 남원 일대에 설치되었던 교통 및 통신 제도. 역은 삼국시대 이래로 역부와 역마를 이용하여 관물의 수송, 공문서의 전달, 오고 가는 관리들의 숙박에 활용되었다. 고려 성종대에 와서 더욱 구체화된 역참제는 전국 22도(道)에 525개소의 역(驛)으로 구성되었다. 각 역에는 말과 역장(驛長), 역정(驛丁)을 두었다. 이 시기에 전라도에는 전공주도(全公州道) 21개 역...
-
전라북도 남원시의 선사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역사. 남원의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의 유물·유적은 발견된 바 없다. 삼한 시대에는 마한의 영역에 속하였으며, 지리산을 경계로 진한과 변한의 국경 지역에 위치한 군사상의 요충지였다. 이와 관련해 마한이 달궁(達宮) 지방에 별궁을 두고 정장군(鄭將軍)과 황장군(黃將軍)을 파견해 진한·변한의 침략을 막았다는...
-
조선 전기의 왕족.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示+甫)[1396~1486]는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였고, 세종·문종·단종·세조·예종·성종 모두에게 극진한 존경과 대우를 받았다. 또한 효령대군은 불교를 숭상하고 선가(禪家)에 적을 두면서 많은 불사를 주관한 까닭에 유학자들로부터 비판도 많이 받았지만 불교의 보호와 진흥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본관은 전주. 초명은 이호(李祜)...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배우가 무대 위에서 동작과 대사를 통하여 표현하는 예술 형태인 연극과 스크린 상에 움직이는 영상을 이르는 영화를 아울러 이르는 말. 연극은 삶의 근원적이고 총체적인 경험에 기원을 두고 있어서 다른 어떤 문화적 산물 못지않게 역사적·지역적·민족적 소산인데 비해 영화는 제작 과정에 창조적 요소와 기계적·기술적 요소, 그리고 경제적 요소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서식하는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진달래과의 철쭉. 진달래과에 속하는 키작은나무(관목)이며 겨울에는 잎을 떨구는 낙엽성 식물이다. 전국의 산지에서 자라며 봄이 시작되면 화살촉처럼 붉고 뾰족한 꽃봉오리가 2~7송이가 달리며 10월에 결실한다. 정원을 아름답게 가꾸는 정원수와 조각재로 쓰이며 건위, 강장, 이뇨에 좋아 약용으로 쓰인다. 중국에서는 철...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장교리 연동마을에 있는 백제계 또는 가야계의 고분군. 유적은 운봉읍 소재지에서 남원으로 가는 도로를 따라 가다 연동마을에 700m 못 미친 지점의 야산에 위치한다. 연동마을 북쪽에는 동서 방향으로 뻗은 지류가 있으며, 여기서 남쪽으로 이어진 여러 갈래의 구릉이 있다. 유적은 지류의 정상부와 남쪽 경사면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며, 연동마을의 동쪽과 서쪽...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장교리 연동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마을 유래담. 마을 유래담이기도 하지만, 스님을 핍박한 홍씨 일가를 징치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어 응보담(應報譚)의 성격도 가지고 있다. 남원시 운봉읍 장교리 연동마을에서 이은주가 채록하여, 1998년 출간한 『남원의 마을유래』에 수록하였다. 조선시대 초기 홍정승 일행이 운봉의 장승백이를 지나고 있었다....
-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 유곡리와 경상남도 함양군 백전면 오천리의 경계에 있는 산. 남원에서는 아영면 봉대리에 있는 서당의 이름인 열락재(悅樂齋)에서 나온 열락재팔경이라는 말이 전해오며, 연치조양(鳶峙朝陽)이란 오언절구가 있다. 이 말은 연비산의 아름답게 솟아오르는 아침 햇살을 일컫는 뜻이다. 산의 모습이 솔개가 날아가는 형상을 닮았다 하여 솔개 연(鳶)을 써서...
-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연산리는 송동면 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원시와 세전리, 금지면과 수지면 사이 도로가 교차하는 교통의 요지이다. 본래 이곳에는 오산과 방죽안, 또는 연동이란 자연 마을이 있었는데, 두 마을을 합하여 연산이라고 불렀다. 1500년경인 연산조 때 김씨와 오씨, 변씨 등이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었다고 전한다. 도호...
-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 자래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본래 아영면 당동에서 옮겨온 가마가 있어 점촌(店村)이라 하여 도자기를 굽던 곳이었으나 마을의 터가 예로부터 연화도수(蓮花到水)의 명당이라 하여 이름을 연실(蓮室)로 바꾸었다. 일제강점기 장수에 거주하던 김해김씨가 들어와 살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일설에 의하면 예전에는 자래리와 같은 마을이었으나 큰 홍수가 나서 자래리...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양가리와 운봉읍 장교리 사이에 있는 고개. 기원전 삼한시대 마한의 별궁이 있었다는 전설, 그 궁터가 남아있는 계곡, 여원치 마애여래불에 얽힌 여인의 정절에 대한 이야기, 호국혼의 전설을 간직한 아흔아홉 구비의 고개, 정상의 주지봉 산신단에 소원을 빌면 한 가지는 들어 준다는 전설 등 많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고려 말 왜구의 침입이 극심하던 때...
-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 건지리에 있는 저수지. 연지저수지는 1952년 1월 1일에 준공되었으며, 사업 시행과 조사 측량 설계와 공사 감독은 남원시에서 맡았다. 연지저수지는 인월면 건지리 외건마을과 내건마을의 사이를 통과하는 37번 도로에 인접하여 있다. 수계는 낙동강이며 유로 연장 0.7㎞, 제체 형식은 토언제중심점토형이다. 총저수량 4.0천㎥, 유...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효기리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의 사찰. 이전부터 효기리 사람들이 현재의 연화사가 소재한 지역을 미륵골로 불러왔고 따라서 이곳에 오래된 사찰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통일신라 말에 도선국사가 창건했다고도 전해지고 있지만 확실한 문헌 기록은 남아있지 않으며 절터만 남아 있는 상태였다. 1927년 절터에서 석불입상, 좌불보살상 및 삼층석탑이 발견...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효기리에 있는 조선 시대 석불. 미륵암은 신라 하대에 도선 국사가 창건한 사찰이었다고 전해지지만 지금은 찾아 볼 수 없고, 미륵암이 있었다는 이곳에 1946년 불교와 고적의 보존에 뜻이 있는 마을 사람들이 연화사를 세웠다고 한다. 미륵암 석불 입상은 총 높이 2m 정도이며, 불상의 높이는 1.4m, 어깨 폭 40㎝, 광배 1....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의 최초의 국가가 수립되었다가 마한, 진한, 변한의 삼한으로 정립하면서부터 삼국이 형성되기 이전까지의 시기. 한반도 남부에 최초의 국가가 언제 수립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청동기가 시작된 것이 기원전 15세기 이전이므로 이때부터 국가가 형성되어 발전하다가 삼한으로 재편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신라(기원전 57), 고구려(기원전 3...
-
전라북도 남원시의 1세기 중반에서 서기 7세기 중반까지의 역사. 일반적으로 삼국시대는 삼국이 형성되면서부터 백제(660), 고구려(668)가 멸망할 때까지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 시기에 이들 나라 외에도 가야와 부여 등의 나라와 함께 소규모의 국가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삼국시대 중반까지 남원 지역에는 섬진강 유역의 마한과 남강 유역의 변한이 있었다. 섬진강 유역은 마한을...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남편을 위하여 지극한 정성을 다하며 절개를 지킨 아내를 일컫는 말. 유교에서 중요시하는 덕목 가운데에는 효(孝)와 열(烈)이 있는데, 효는 자식이 부모를 잘 섬기는 것이며 열은 아내가 남편을 잘 섬기는 것이다. 열녀는 어느 시대나 다 존재하였다. 역사적으로 유명한 열녀로는 삼국시대의 도미의 아내, 박제상의 아내, 평강공주 등이 있다. 고려 후기까지는...
-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봉대리에 있는 조선 후기 향촌 사회를 근거지로 하여 설립된 사립 초등 교육 기관. 열락재(悅樂齋)는 1170년(의종 24)에 봉대마을로 이주해 온 청도김씨(淸道金氏) 가문의 김선흡을 비롯한 경주이씨(慶州李氏) 이익승, 연안이씨(延安李氏) 이명철, 서산정씨(瑞山鄭氏) 정국채 등이 주도하여 1757년(영조 33)에 설립한 서당으로서 1945...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남편을 위하여 지극한 정성을 다하며 절개를 지킨 아내를 일컫는 말. 유교에서 중요시하는 덕목 가운데에는 효(孝)와 열(烈)이 있는데, 효는 자식이 부모를 잘 섬기는 것이며 열은 아내가 남편을 잘 섬기는 것이다. 열녀는 어느 시대나 다 존재하였다. 역사적으로 유명한 열녀로는 삼국시대의 도미의 아내, 박제상의 아내, 평강공주 등이 있다. 고려 후기까지는...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남계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남평마을이라는 향촌 사회를 근거지로 하여 설립된 사립 초등 교육 기관. 염수재(念修齋)는 일제강점기인 1910년에 순흥안씨(順興安氏) 가문의 마을 유지들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주로 『사자소학』과 사서삼경 및 『명심보감』 등의 유학을 가르쳤다. 염수재는 1910년부터 1976년까지 오랜 세월 운영된 서당...
-
전라북도 남원시 지역에 분포하는 산등성이와 봉우리 사이가 낮은 지형 형태. 남원의 지형은 중앙을 경계로 서쪽은 침식분지 형태의 남원~오수·보절 평야와 그 서쪽의 규암산지이다. 동쪽은 고원상 분지인 운봉~아영·인월 고원과 그 남동쪽의 지리산지로 구분이 된다. 이와 같은 분지상의 지형이나 고원상 분지에는 분지벽의 안부를 통하여 외부와 연결되는 주요 고개들이 있다....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동천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홀어머니를 재혼시킨 자식 이야기. 아들과 어머니의 이야기를 담은 가족담의 유형이면서, 어머니의 외로움을 달래주기 위해 아들이 어머니를 재혼시킨다는 면에서는 교훈담, 효행담에 속하기도 한다. 1979년 2월 5일에 남원시 운봉읍 동천리에 사는 최귀성(여, 43)이 구연한 것을 최래옥이 채록하여, 1980년에 출간한 『한국구...
-
전라북도 남원시 향교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남원 지역 주민들에게 기독교 복음을 전하고 약자와 소외된 사람들에게 봉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57년 초에 설립된 성일양로원의 기도회로부터 출발하였다. 같은 해 10월 3일 교회당을 세웠으며 제1대 목회자로 주경선 전도사가 취임하였다. 1958년 7월 16일 대한예수교장로회 전북노회로부터 성일기도...
-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영동리는 영촌리와 손동리를 행정리로 포함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손동리와 영촌리, 오산리, 장포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영촌과 손동의 이름을 따서 영동리라 하였다.영촌리는 정착조인 김수은이 이곳에 정착하기까지 수많은 고개를 넘어왔다고 해서 잿말, 재마을로 부르다 영촌(嶺村)으로 바뀌었다. 손동리는 본래...
-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영동리 영촌마을에 있는 수령 545년의 은행나무. 남원 지역에는 마을마다 은행나무가 경제수종이라 하여 많이 식재되어 있으며, 가로수로도 많이 식재되어 있다. 특히 대부분의 겉씨식물과는 달리 도심의 매연에 강하기 때문에 시가지 가로수 식재 수종으로 선호하고 있다. 높이 15m, 흉고둘레 4.3m, 수관폭 20m이다. 지상 2.5m 정도에서...
-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 인월리에 있는 고려 후기의 정자. 이 정자를 짓게 된 유래는 1380년(우왕 6)에 당시 3도 도원수 이성계가 황산(荒山)에서 왜구를 섬멸할 때, 어느 날 밤 너무 어두워 적을 탐지하기 어렵자 하늘을 우러러 달뜨기를 기원하였다고 한다. 그러자 밝은 달이 떠올라 적을 물리칠 수 있었는데, 이를 기리기 위하여 이 정자를 지었다고 전한다. 상량문에 의하...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협계(峽溪). 자는 영중(榮仲). 판서(判書) 태응진(太應辰)의 후손이며, 임진왜란에 순절한 참봉(參奉) 태구(太竬)의 아들이다. 태시경은 1597년(선조 30)에 정유재란이 일어났을 때 남원별감으로 재직하고 있었다. 오흥업과 함께 성을 지킬 계책을 의논하였는데, 그 사이에 적에게 성을 함락당하였다. 이때 태시경의 아버지 태...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시 출신의 의병.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영중(永仲), 호는 후촌(後村). 연촌(烟村) 최덕지(崔德之)의 후손이고, 암계(巖溪) 최연손(崔連孫)의 6세손이며, 문과에 급제하여 부윤(府尹)을 지낸 최엄조(崔淹祖)의 5세손이다. 참의(參議) 최태윤의 증손이며, 처사(處士) 최염의 아들이다. 최계인은 1636년(인조 14)에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동지...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영천리 영촌마을에 있는 가야계의 고분군. 유적은 영천 고분군 Ⅰ과 영천 고분군 Ⅱ로 구분된다. 영천 고분군 Ⅰ은 영촌마을의 북쪽에 위치하며, 영천 고분군 Ⅱ는 이곳에서 영촌 마을을 동서로 지나는 농로의 맞은편인 남쪽 300m 지점에 자리한다. 유적은 낮은 야산에 분포한다. 유적의 주변에는 전라선의 주생역이 있다. 1987년과 2004년 전북대학교...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에 속하는 법정리. 영천리는 영촌리와 유매리를 행정리로 포함하고 있다. 본래 남원군 주포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영촌리, 유천리, 상내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영촌과 유천의 이름을 따 영천리라 하였다. 유매리는 남양방씨가 유촌(楡村)·매안(梅岸) 마을을 이루고 정착해 살면서 유촌과 매안의 첫자를 따 유매(楡梅...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영천리 영촌마을에 있는 가야계의 고분군. 유적은 영천 고분군 Ⅰ과 영천 고분군 Ⅱ로 구분된다. 영천 고분군 Ⅰ은 영촌마을의 북쪽에 위치하며, 영천 고분군 Ⅱ는 이곳에서 영촌 마을을 동서로 지나는 농로의 맞은편인 남쪽 300m 지점에 자리한다. 유적은 낮은 야산에 분포한다. 유적의 주변에는 전라선의 주생역이 있다. 1987년과 2004년 전북대학교...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영천리 영촌마을에 있는 초기국가시대의 생활 유적. 유적은 영촌 마을 앞산 남사면에 위치한다. 야산의 남쪽에는 넓은 들이 펼쳐져 있고, 주생역이 바라다 보인다. 유적의 서쪽 인접 지역 10m 내외에는 영천 고분군이 분포한다. 2004년 전북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실시된 지표 조사에서 확인되었다. 조사 결과, 옹관편·토기편·주거지의 단면과 부속 시설 등...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무신. 본관은 함양. 자는 중술(仲述), 호는 영회정. 금남재 오응의 5세손이다. 무술이 뛰어나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에는 동관을 굳게 지켰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이 일어나 적군이 남원성을 포위했을 때, 그는 남원중군으로 숙성령의 싸움에서 많은 적병을 참획하였다....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예경(禮卿). 정국공신(靖國功臣) 좌찬성(左贊成) 밀원부원군(密原府院君) 박건(朴楗)의 7세손이고, 진사(進士) 박용현(朴庸賢)의 증손이다. 대동찰방(大同察訪) 박석봉(朴碩鳳)의 손자이며, 훈련부장(訓練部將) 박응사(朴應士)의 아들이다. 아들 박우춘(朴遇春)은 공조좌랑(工曹佐郞)이었고, 손자 박승원(朴昇元)은 생원(...
-
전라북도 남원시 지리산 일원에서 생육하고 있는 단풍나무과의 나무. 주 분포지는 지리산 뱀사골 일대의 산내면 부운, 와운, 반선, 덕동, 달궁마을과 운봉읍 공안리, 산덕리와 주천면 고기리, 내기리 일대이다. 고로쇠는 해발 500~1,000m 고지대에서 자생하는 단풍나무과의 활엽수이다. 5월에 연한 황록색 꽃이 피는데, 나무가 치밀하고 단단해서 잘 갈라지지 않는다. 고로쇠...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성재, 호는 송종. 판서에 증직된 오응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오탄이다.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반란이 일어나자 집안의 장정 수십 명을 거느리고 최여삼·태윤주 등과 함께 남원성을 지킬 것을 약속하였다. 그리고 아들에게 유서를 남기기를 “나는 죽을 각오를 하고 반란군을 진압할 것이니 뒷일을 부탁한다.”라고 하였다....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척문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자주적으로 학습하는 어린이,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어린이, 도덕적으로 행동하는 어린이를 기른다. 1955년 8월 10일 이백국민학교 서부분교장으로 설립인가를 받았다가 1957년 4월 25일 오동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59년 3월 20일 제1회 졸업식을 통해 47명을 배출하였다. 1984년 3월 2일 병설 유치원을 설...
-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 월평리에 있는 「춘향전」의 성춘향과 이몽룡이 이별의 정을 나눈 곳으로 알려진 2층 정자. 오리정은 전주와 남원 간의 국도변에 위치한 2층으로 된 목조 기와집으로 대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춘향과 이몽룡은 백년가약을 맺고 지내다가 남원부사였던 이몽룡의 부친이 한양으로 전직하게 되자, 성춘향이 이몽룡을 따라가지 못하고 어쩔 수 없이 이별하게...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종지, 호는 의헌. 이조참판 오극제의 5세손이며 봉사 오수명의 손자이자 첨정 오정무의 아들이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가산을 털어서 재종숙인 오정식을 따라 곧바로 의병소로 달려갔다. 그곳에서 사종제인 오상지·오상우와 사종손인 오찬도 등과 동맹하여 의병을 일으켜 청주에 이르렀으나, 강화가 이루어졌...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상산(商山). 자는 자응(子膺), 호는 오산(烏山). 병조판서를 증직받은 이성임(李聖任)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극진하고 글공부를 열심히 하여 학식 높은 선비로 알려졌다. 35세 때 부친의 초상을 당하여 3년 동안 죽을 마시면서 상을 마쳤다. 병자호란 때 창의하였으며, 74세 때 모친상을 당하여 예절대로 3년간 시묘하였다....
-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에 속하는 행정리. 마을 옆 산의 형국이 자라와 같아 자래뫼(자라뫼)라 불렀다. 그 후 오산(鰲山)으로 표기하다가 한문으로 ‘자라 오(鰲)’자를 쓰기에 번잡하므로 발음이 같은 오산(五山) 또는 오산(吾山)으로 고쳐 썼다고 한다. 그 뒤 지금은 오산(五山)으로 표기하고 있다. 1930년 무렵 한때는 원월산(元月山)으로 부른 적도 있었다. 1500년경...
-
1905년에 간행된 화순최씨(和順崔氏) 7인의 시문집. 『오성세고(烏城世稿)』는 남원군 대산면(大山面) 죽곡(竹谷)에 살았던 최상문(崔象汶), 최항(崔迒), 최봉의(崔鳳儀), 최현(崔玹), 최강(崔綱), 최식(崔湜), 최경(崔逕) 등 화순최씨 일가 7인의 시문을 합철한 책이다. 기우만(奇宇萬)의 서(序)와 후손 최익호(崔翼浩), 최중섭(崔重燮)의 발(跋)을 붙...
-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 호는 오소(吾巢)이다. 이윤수는 1838년(헌종 4)에 태어나 27세 되던 1864년(고종 2)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형조참의(刑曹參議)를 거쳐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를 하였고, 오위도총부도총관(五衛都摠府摠管)에 올랐다. 사후에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증직되었고, 시호는 충간공(忠簡公)이다....
-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에 속하는 법정리. 오신리는 하신리와 중신리·신촌리·오현리 등의 행정리를 포함하고 있다. 사매면의 면소재지이기도 하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남원군 매내면 지역의 하신리·중신리·신촌리·세동리·풍촌리의 일부와 적과면의 오현리 일부를 묶어서 남원군 사매면에 편입하였는데, 이때 오현과 신촌의 이름을 따서 오신리라고 하였다....
-
조선시대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동한 열녀. 남편 오여격(吳汝格)이 죽자 시체를 끌어안고 3일 동안 피눈물을 흘리면서 스스로 맹세하기를 “같은 날 자결하기로 한 것은 나의 본마음이지만 나에게 자녀가 없는데 누가 시체를 염(殮)할 것이며 장례를 치루겠습니까?”하였다. 그녀는 죽만 3년 동안 먹고 겨우 연명(延命)하면서 아침저녁으로 제(祭)를 정성으로 예를 갖추어 극진히 하였다. 복제(服...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보국(補國), 호는 청세정(淸洗亭). 문충공 오효순의 5세손이며 아버지는 찬성 오협종이다. 경기도 광주시에서 태어났다. 오연경은 성품이 우아하고 행실이 단정하였으며 어려서부터 부모에게 아침저녁으로 문안을 드렸다. 자라서는 학문에 힘써 경서와 사기를 두루 익히어 큰 뜻을 통달했다. 1600년(선조...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중현(仲顯), 호는 설강(雪岡). 고조부는 이조참판 오극제(吳克悌)이며, 할아버지는 참봉 오몽인(吳夢仁)이며, 아버지는 참봉 오기복(吳麒福)이다. 1597년(선조 30)에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형 오흥업과 함께 참여하였다. 왜적에 의해 남원성이 겹겹이 포위되어 위급해지자, 아버지 오기복의 허락을 받아 수십 명의 가동(...
-
조선시대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동한 열녀. 남편은 사인(士人) 오윤제(吳允濟)이다. 고씨는 시어머니를 섬김에 효도를 다하고 남편을 섬김에 공경을 다하였다. 일에 처해서는 유순(柔順)으로 정대(正大)하게 하였다. 남편이 죽었을 때에는 불을 때지 않았으며 뼈를 세워 아침저녁으로 제(祭)를 예를 갖추어 정성으로 하였다. 그녀는 항상 남편과 함께 죽지 못함을 한탄하였다. 죽을 때까지 흰 옷...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무신.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자술(子述). 금남재 오응(吳凝)의 5세손이며, 영의정 오찬조(吳纘祖)의 아우이다. 무술에 뛰어나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첨정에 이르렀다. 1597년(선조 30)에 일어난 정유재란 때 왜적이 남원성을 포위하자 형인 오찬조를 따라서 숙성령으로 나아가 적병의 동정을 살피고 적병 수십 명을 베었다. 승세를 몰아 적...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지역에서 활약한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문중(文仲), 호는 완원당(翫元堂). 현감 오하몽(吳下蒙)의 아들이다. 1574년(선조 7) 무과에 급제한 후 비변랑, 사헌부감찰, 형조정랑을 거쳐 1579년 군기시첨정으로 승진하였다. 1583년 이이(李珥)를 탄핵하는 상소를 올려 동인들의 미움을 사 흥덕현감으로 좌천되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이첨(爾瞻), 호는 나진(懶眞). 이조참판 오극제의 현손이며 참봉 오구정의 증손이자 복재 오수성의 아들이고 오정길의 아우이다. 오정식은 광해군 때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재종질 오망주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여산의 모의소로 달려갔다. 이...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약했던 의병. 본관은 삭녕(朔寧). 자는 자금(子琴), 호는 오주(鰲洲). 문정공 최항(崔恒)의 8세손이며, 대사헌(大司憲) 최상중(崔尙重)의 손자이다. 좌윤(佐尹) 최연(崔葕)의 아들이다. 최휘지는 1598년(선조 31)에 지금의 전라북도 임실군 둔남면 둔덕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재능이 뛰어났으며 학문에 뜻을 두어 1624년(인조 2)...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무신. 본관은 함양. 자는 중술(仲述), 호는 영회정. 금남재 오응의 5세손이다. 무술이 뛰어나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에는 동관을 굳게 지켰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이 일어나 적군이 남원성을 포위했을 때, 그는 남원중군으로 숙성령의 싸움에서 많은 적병을 참획하였다....
-
1899년에 간행된 죽산박씨(竹山朴氏) 5인의 전기(傳記)를 모은 책. 『오충전(五忠傳)』은 남원시 수지면 호곡리의 죽산박씨 문중에서 충(忠)으로 명성을 떨친 박문수(朴門壽)·박계성(朴繼成)·박신룡(朴信龍)·박성룡(朴成龍)·박명룡(朴命龍) 등 다섯 사람의 전기를 모은 책이다. 김병창(金炳昌)의 서(序)와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발(跋)을 붙여 1899년에...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영천리에 있는 방사량을 위시한 다섯 명의 현인을 기리기 위한 서원. 유천서원은 오현사(五賢詞)라고도 불린다. 지방 유림들이 존경을 담아 제사를 지냈던 다섯 인물을 기리기 위한 서원이다. 본래 방사량(房士良), 방귀온, 안전(安瑑), 방응현, 안창국 등 다섯 명의 위패를 모셨으나, 안씨 문중에서 안전, 안창국 두 명의 위패를 현재의 주생역...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백현(伯顯). 할아버지는 참봉 오몽인(吳夢仁)이고 아버지는 참봉 오기복(吳麒福)이다. 어머니는 금산김씨(錦山金氏)로 김성원(金聲遠)의 딸이다. 1597년(선조 30)의 정유재란 때 남원성이 적에게 포위되자 성 안에서 군량 보급을 맡으며 접반사 정기원 등과 힘을 합하여 성을 지켰다. 틈을 내어 집으로 돌아가서 늙은 아...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인. 본관은 흥성. 자(字)는 익재(益哉), 호(號)는 옥경헌(玉鏡軒). 아버지 장담(張膽)과 어머니 전주이씨(全州李氏) 사이에서 1617년 11월 23일 태어났다. 장복겸은 관직에 나가 명예를 얻고 치부를 하는 것에 관심이 없었고, 일생 동안 학문을 연마하고 자기가 견문(見聞)했던 일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시로 지어 노래하고 친한 벗과...
-
1931년에 간행된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장복겸의 유고 시문집. 장복겸(張復謙)[1617~1703]의 자는 익재(益哉), 호는 옥경헌(玉鏡軒)이다. 학문에 두루 통달하고 시와 노래를 즐겼다고 한다. 1931년 7세손 장진욱(張鎭旭)이 선대 이래 종가에서 소장해 온 문헌과, 남원 지역 유림들이 간행한 문헌집에 수록된 시문을 모아 4권 2책으로 간행하였다. 본서의 저...
-
조선 중기 남원에서 활동한 문신. 옥계(玉溪) 노진(盧禛)[1518~1578]은 조선 중기 명종과 선조 연간에 주로 활약한 문신으로, 30여 년 동안 청현(淸顯)의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지례현감과 전주부윤 등 외직에 나가서는 백성에게 선정을 베풀어 청백리로 뽑히기도 하였다. 성리학과 예악에 밝았다. 노진은 1518년(중종 13) 함양군 북덕곡 개평촌에서 태...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문중(文仲). 옥계(玉溪) 노진(盧禛)의 손자이며, 용양위부사과(龍驤衛副司果) 노사심(盧士諗)의 아들이다. 노욱은 1627년(인조 5)에 생원시에 합격했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 남한산성으로 파신하였던 인조가 적들의 포위상태에서 내린 비통한 교서를 보고 분연히 일어났다. 동생인 찰방(察...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화수리에 있는 저수지. 옥계저수지는 식량 생산을 목적으로 한 농업용 저수지로 1997년 1월 1일 준공되었다. 사업 시행은 남원농지개량조합에서 맡았으며, 조사 측량 설계는 농업기반공사에서 맡았고 공사 감독은 농어촌진흥공사에서 맡았다. 2003년 옥계저수지 바닥에 있는 모래와 암석을 파내는 준설 작업을 시행하였다. 옥계저수지는...
-
1632년에 간행된 조선 중기의 문신인 노진의 유고 시문집 노진(盧禛)[1518~1578]은 경상남도 함양에서 태어났다. 44세에 남원부사에 제수되었으나 처향이라는 이유로 사직하고 담양 부사가 된다. 『옥계집(玉溪集)』에는 노진이 젊은 시절 남원에서 아내와 만난 이야기가 「노진 설화」라는 이름으로 실려 있는데, 이 이야기는 이후 「춘향전」의 근원 설화의 하나로서 주목받고...
-
신라 시대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약한 거문고의 명인. 옥보고는 신라 시대 이찬 벼슬을 하던 옥공영의 아들로, 지리산 운상원에서 50년간 거문고를 배워 신조 30여 곡을 작곡하여 속명득(續命得)에게 전하였다. 운상원은 일종의 음악 센터의 역할을 한 곳으로 보이는데,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으나 아마도 운봉 부근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속명득은 옥보고로부터 배운 음악을 귀금...
-
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 호곡리에 있었던 조선 후기 호곡마을이라는 향촌 사회를 근거지로 하여 설립된 사립 초등 교육 기관. 옥산재(玉山齋)는 1790년(정조 14)에 호곡리에서 죽산박씨(竹山朴氏) 가문의 박규형과 마을 유지들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주로 『사자소학』과 사서삼경 및 『명심보감』 등의 유학을 가르쳤다. 옥산재(玉山齋)는 오랜 전통의 촌합형...
-
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 호곡리에 있었던 조선 후기 호곡마을이라는 향촌 사회를 근거지로 하여 설립된 사립 초등 교육 기관. 옥산재(玉山齋)는 1790년(정조 14)에 호곡리에서 죽산박씨(竹山朴氏) 가문의 박규형과 마을 유지들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주로 『사자소학』과 사서삼경 및 『명심보감』 등의 유학을 가르쳤다. 옥산재(玉山齋)는 오랜 전통의 촌합형...
-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 옥택리에 있는 산. 옥수봉(玉首峰)이라 한 것은 구슬을 꿰어 이어놓은 것 같은 산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라 한다. 해발 300~400m의 야산 봉우리로 비홍치와 문덕봉을 연결하는 주 능선이다. 대부분 소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으며, 야생 토끼나 노루가 많이 살고 있다. 이 산줄기를 따라 비홍치 쪽으로 가다보면 ‘비홍산성’ 유적을 볼 수 있...
-
조선 전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양. 자는 옥여(玉汝), 호는 금서. 증조부는 방사량(房士良)이고, 할아버지는 방구성(房九成)이며, 아버지는 방계문이다. 1495년(연산군 1)에 생원시에 합격하고, 1519년(중종 14) 효행으로 천거되어 현량과시에 병과로 합격하였다. 정언·수찬 등을 지냈고, 이조참의에 이르렀다....
-
전라북도 남원시 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귀한 터라는 의미의 옥전마을과 밤나무가 많아 밤정이라는 한자 이름의 율정마을이 행정구역 통합 때 합해졌다. 이때 옥전과 율정에서 각 한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으로 되었다. 옥전마을은 400년 전에 밀양박씨가 정착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으며, 율정마을은 1440년경 양씨, 이씨, 서씨 등이 교룡산성의 성터와 인근 소재 절터의...
-
전라북도 남원시 대산면 옥율리의 산지에서 발원하여 주생면 정송리의 요천 합류점에 이르는 하천. 옥율천은 남원시 대산면 북부 노적봉산지[해발고도 565.1m]의 골짜기 물을 합치면서 시작된다. 상류의 골짜기 물을 모아 물길을 이룬 다음 남류하면서 동부와 서부 산지에서 흘러내리는 가골천·배나무골천·상정천·앞들천 등 여러 지류의 물을 모은 다음 주생면 정송리에서 요...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불리는 판소리 「춘향가」에서 옥에 갇힌 춘향이가 변장한 이도령과 상봉하는 대목. 「옥중상봉」은 민요가 아닌 판소리의 한 대목이다. 「춘향가」의 ‘눈대목’이라 할 정도로 극적 상황과 음악성이 뛰어나 매우 유명한 곡이다. 『한국구비문학대계』5-1에 수록되어 있다. 가창자는 금지면 옹정리에 사는 장윤주(남, 69세)인데, 어렸을 적 마...
-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에 속하는 법정리. 옥전리와 택촌리에서 각 한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옥전은 성주이씨(星州李氏) 문열공 이조년의 9세손인 이홍인이 1580년(성종 11) 경상북도 성주로부터 이주하여 이곳에 정착하였다. 택촌은 고려 개국공신인 평산신씨 신숭겸의 20대 후손인 신맹일이 1680년(숙종 6)에 임실군 삼계면 학정리에서 처음...
-
전라북도 남원시 향교동에 있는 금융 기관 성격의 협동 조직. 지역·직업·종교 등 상호 유대를 가진 개인이나 단체 간의 협동 조직을 기반으로 자금의 조성과 이용 등 금융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3년 1월 62명의 조합원으로 창립총회를 개최하였으며 같은 해 3월 9일 법인 설립 인가를 취득하였다. 그러나 규모가 영세하고 조합원의 참여도도 낮아 1979년부터...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장항리에 속하는 행정리. 온수동(溫水洞), 원수동(元水洞), 또는 원천이라 했다. 본래 만병이 치료된다는 약수가 나와 온수동이라 하였는데, 병을 치료하기 위해 나환자들이 많이 모여들자, 주민들은 이들을 막기 위해 우물을 메우고 원수동이라 바꿔 불렀다. 그 후 일목 장군 주서 박봉양의 제안으로 원천리라 부르게 되었다. 현재도 흔히 온수리,...
-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에 속하는 법정리. 원씨 일가가 많이 모여 사는 속칭 큰골목 부근에는 아무리 가물어도 맑고 시원한 물이 솟는 샘이 있다. 대부분 샘의 형태가 항아리 모양이지만 이 샘의 형태는 유달리 항아리 속에 또 항아리가 있는 것처럼 생겨 독우물 또는 독우멀이라 하였다. 지명을 한자로 바꾸면서 ‘항아리 옹(甕)’과 ‘우물 정(井)’을 써서 옹정(甕井)으...
-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옹정리에 있는 철도역. 1959년 7월 11일 역원 무배치 간이역으로 시작했고, 1967년 9월 12일 을종대매소로 지정되었지만 다시 무배치 간이역으로 격하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전라선에 속하며 금지역의 관리에 따르고 있고, 2007년 현재 여객열차는 정차하지 않는다. 역 주변에는 국도 17호선이 있어 남원이나 곡성으로 이동하기 쉽다. 평야 지...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에 속하는 행정리. 해발 800m의 고산준령에 위치하여 구름도 누워 간다는 뜻으로 와운(臥雲)이라 하였으며 일명 눈골 또는 누운골이라고도 한다. 1595년경 영광정씨와 김녕김씨가 임진왜란을 피해 깊은 계곡을 찾아가다 공기가 맑고 산세가 좋아 이곳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본래 운봉군 산내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반산리, 미동, 와운...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부운리 와운마을에서 음력 1월 3일에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올리는 제사. 와운마을에서는 마을 사람들의 건강과 오곡 풍년, 육축 번식 등을 목적으로 당산제를 지내고 있다. 특히 마을 사람들이 할머니 당산으로 모시고 있는 당산나무가 뱀사골 상류 명선봉에서 뻗어 나온 산자락에 자리하여 신앙심을 북돋우는 역할을 하고 있다. 와운마을...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지역에서 활약한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문중(文仲), 호는 완원당(翫元堂). 현감 오하몽(吳下蒙)의 아들이다. 1574년(선조 7) 무과에 급제한 후 비변랑, 사헌부감찰, 형조정랑을 거쳐 1579년 군기시첨정으로 승진하였다. 1583년 이이(李珥)를 탄핵하는 상소를 올려 동인들의 미움을 사 흥덕현감으로 좌천되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 사석리 사석마을과 석촌마을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군. 유적은 대부분 순자강의 하안 단구 상에 위치한다. 사석마을 고인돌은 사석마을 모정에 위치한다. 석촌마을 고인돌은 석촌마을 북쪽 끝지점에 위치하며, 730번 지방도의 서쪽 건너편 밭에 자리한다. 1987년 전북대학교 박물관에서 실시한 지표 조사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조사 결과, 사석마을(A·B...
-
전라북도 남원시에 속하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고려 말 이성계(李成桂) 장군이 운봉 황산에서 왜구를 격파하고 돌아가는 길에 남원성(南原城)에 들렀다가 잠시 마을 앞 축천(丑川) 강변에서 쉬어 간 일이 있었다. 훗날 이성계 장군이 조선왕조를 창건하여 왕위에 오르니, 사람들은 이 마을 이름을 왕묘(王廟)와 강정(江亭)에서 이름을 따 왕정(王亭)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1650년...
-
전라북도 남원시 왕정동에 있는 조선 중기 가마터. 왕정동 도요지의 가마터의 범위는 남북으로 50m 정도이고, 주변에 가마와 관련된 시설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왕정동 도요지는 만복사지 바로 뒤편에 위치하며, 해발 190m 정도의 기린봉에서 흘러내린 남쪽 능선의 단부에 해당한다. 즉 만복사지 서쪽으로 난 길을 따라 150m 정도 올라가면 사거리가 나...
-
전라북도 남원시 강정몰길에 있는 남원시청의 하부 행정 기관. 왕정동 지역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1년 7월 1일 행정 구역 개편으로 왕정동사무소가 설립되면서 초대 양철환 동장이 취임하였다. 2007년 9월 1일 행정자치부의 주민생활서비스 혁신 정책에 따라 왕정동 주민센터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2015...
-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 건지리에 속하는 행정리. 외건리는 내건리·지산리와 함께 법정리인 건지리에 속해 있다. 외건리는 서리산에서 흘러내린 산줄기가 마을을 감싸는 언덕이 있어, 이 언덕 사이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앞쪽으로는 확 트인 농경지가 있다. 원래 이 마을은 물이 귀하다 하여 ‘마를 건(乾)’자를 써서 건지산(乾芝山)이라 하였는데, 외건은 바깥건지라 하...
-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 건지리에 속하는 행정리. 외건리는 내건리·지산리와 함께 법정리인 건지리에 속해 있다. 외건리는 서리산에서 흘러내린 산줄기가 마을을 감싸는 언덕이 있어, 이 언덕 사이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앞쪽으로는 확 트인 농경지가 있다. 원래 이 마을은 물이 귀하다 하여 ‘마를 건(乾)’자를 써서 건지산(乾芝山)이라 하였는데, 외건은 바깥건지라 하...
-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에 속하는 행정리. 외지리에 대한 지명에는 몇 가지 유래가 전한다. 마을의 뒷산이 모산(母山)인데, 풍수지리설에 의한 명산으로 북쪽에 어린아이가 어머니를 받들어 모신다는 유아봉모(乳兒奉母)의 형국이라고 한다. 어머니를 모시는 여러 아이 중의 아기 자리가 이 마을에 해당된다고 하여 마을 이름을 ‘밖에 있는 아기’라는 뜻으로 밧진애기라 하였다...
-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에 속하는 행정리. 외황리은 면소재지에서 북쪽으로 2㎞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방도와 하천을 끼고 있는 작은 마을이다.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마을 앞산에 거미가 먹이를 잡기 위해 거미줄을 치고 있는 모양이라 하여 ‘지주설망’이라 부르는 유명한 명당이 있다고 하는데, 여기에 연유하여 처음에는 ‘느린데’라고 부르던 것이 와전되어 ‘...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목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향촌 사회에서 설립된 사립 중등 교육 기관. 1692년(숙종 18)에 창건된 서원으로서 남원도호부 산동방을 근거지로 하여 학문을 펼쳤다. 요계서원은 조선시대 남원도호부 동쪽으로 8㎞ 떨어진 산동방에 위치한 서원이었다. 특히 부안김씨 출신인 충경공 김익복의 아들인 재간당(在澗堂) 김화를 주벽(主壁)으로 하여, 천묵...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목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향촌 사회에서 설립된 사립 중등 교육 기관. 1692년(숙종 18)에 창건된 서원으로서 남원도호부 산동방을 근거지로 하여 학문을 펼쳤다. 요계서원은 조선시대 남원도호부 동쪽으로 8㎞ 떨어진 산동방에 위치한 서원이었다. 특히 부안김씨 출신인 충경공 김익복의 아들인 재간당(在澗堂) 김화를 주벽(主壁)으로 하여, 천묵...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대기리에 있었던 일제강점기 향촌 사회를 근거지로 하여 설립된 사립 초등 교육 기관의 터. 요양재는 부안김씨 가문의 김환정(金煥正)에 의해 1920년에 설립되어, 1980년까지 60년간 운영되었으며, 『사자소학』과 사서삼경 및 『명심보감』 등의 유학을 가르쳤다. 산동면 대기리는 1460년대부터 능성구씨(綾城具氏) 일가와 부안김씨...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이자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자점(子漸), 호는 제호(霽湖)·점역재(點易齋)·요정(寥汀)·태암(泰巖). 아버지는 충장공 양대박(梁大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아버지 양대박이 창의하자, 아우 양형우(梁亨遇)와 함께 아버지를 보필하였다. 양경우는 아버지의 명에 따라 고경명(高敬命)에게 갔는데, 고경명은 양경우...
-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토기나 도자기를 굽는 가마가 있던 터. 도요지(陶窯址)는 토기나 도자기를 구워 내던 가마 유적으로, 우리말로는 가마터라고 한다. 광의적 정의로 가마터란 각종 토기, 도기, 자기, 벽돌, 기와 등을 고온에서 소성하던 구조물을 말한다. 또 목탄을 만들기 위한 시설물도 목탄가마, 또는 탄요(炭窯)라 하여 같은 범주에 넣는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가마터...
-
전라북도 남원시 동충동과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대성리 사이를 흐르는 하천. 요천의 물줄기는 전라북도 장수군과 경상남도 함양군 사이에 솟은 장안산[1,236.9m]에서 시작되어, 장수군과 남원시의 여러 지류의 물을 더하면서 흘러내린다. 요천의 유로는 하천의 유지, 관리를 담당하는 행정기관에 따라 그 명칭을 달리 한다. 남원시 관내를 흐르는 요천은 남...
-
전라북도 남원시 향교동에 속하는 자연마을. 일설에 의하면 아득한 옛날 한 마리 용이 나타나 마을 앞에 흐르던 냇물을 마셔 버리자 이후부터 냇물이 말라 마을에 물이 적어져 마을 이름을 용갈(龍渴)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1880년경 고종 때 남원윤씨가 처음 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으며 이씨가 들어와 살면서 마을이 크게 번성하였다. 용정동은 구룡마을, 용갈마을, 신생마을...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본관은 흥성(興城). 자는 유신(幼新), 호는 용계(龍溪). 고려 태사 충헌공 장길(張吉)의 후손이며, 할아버지는 장숙(張叔), 아버지는 공조판서 장승세(張升世)이다. 어머니는 연안김씨(延安金氏)로, 장사랑 김승업(金承業)의 딸이다. 장환은 어려서부터 학문에 힘쓰고 충효를 인륜의 으뜸으로 알았다. 그는 1612년(광해군 4) 30세...
-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궁리는 내용궁과 외용궁의 2개 행정리로 구분되며, 해발 300m의 산간 지대에 위치한 중산간 농촌 마을이다. 신라 진성여왕 때 이 마을 동쪽에 있는 해발 1,050m의 높은 산 영제봉에 부흥사라는 큰 절이 세워졌다. 고승과 선사들이 드나들며 휴양한 곳으로, 지상의 용궁이라 칭하여 용궁리가 되었다고 한다. 8...
-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용궁리에 있는 수령 345년의 느티나무. 높이 25m, 흉고둘레 4.2m, 근원둘레 4.8m, 수관폭 28m이다. 지상 1m 정도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고루 갈라져 있으며 생육이 왕성하다. 나무의 나이는 345년 정도로 추정된다. 주천면 장안 삼거리에서 1㎞ 남쪽으로 올라가면 좌측에는 바깥용궁, 우측에는 안용궁이 있다. 바깥용궁에 보호수가...
-
전라북도 남원시 하정동에 있는 사설 재래 시장. 시장 부지는 남원을 대표하는 미나리 재배지로 유명하였으나 당시 남원공설시장이 광한루원 확장으로 인하여 없어지게 됨에 따라 1970년 토지소유자가 건립하였다. 처음에는 토지소유자가 시장 개설 허가를 취득하여 상인들에게 임대하여 운영하였고, 그 뒤 개인들에게 분양하여 깨끗하게 정비된 상설 시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1989년 1...
-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이름은 마을에 용소가 있었으므로 용담이라 하였다. 신라 말에 김해김씨 몇 가구가 모여 살다가 영천이씨가 합세하여 집성촌을 이루면서 오늘날의 마을이 형성되었다. 본래 남원군 하원천면 용담리 지역으로 용담이라 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용담리라 하여 주천면에 편입되었다. 1995년 남원시와 남원군이 통합되어 남원시...
-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용담리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의 사찰.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백제 성왕 때 창건되었다는 설과 통일신라 말 도선국사에 의해 창건되었다는 설이 있다. 도선국사 창건설에 의하면 용담천에 못된 이무기가 살면서 부근의 사람들을 해치곤 했는데, 도선국사가 이곳에 절을 지어 용담사라 한 다음부터 이무기의 행패가 완전히 없어졌다고 한다. 전설을 뒷받...
-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용담리 용담사지에 있는 고려 시대의 칠층석탑. 용담사지에는 고려 시대의 남원 용담사지 석조 여래 입상[보물 제42호], 석등과 함께 칠층석탑이 1기 남아 있다. 1층의 낮은 기단 위에 각각 한 돌로 이루어진 탑신(塔身)과 지붕돌[옥개석(屋蓋石)]을 모두 7층으로 쌓아올렸는데, 탑신의 높이가 2층 이상에서부터 급격하게 줄어들어 좁고 길쭉한...
-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용담리에 있는 고려시대 절터. 용담사는 고려 이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찰이다. 용담사의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지만, 백제 성왕(聖王) 때 창건하였다는 설과 통일신라 말에 도선 국사가 창건하였다는 설이 있다. 용담사는 현재 석불 주위에는 주춧돌이 발견되지 않아 그 형태를 추측할 수 없으나 불상의 둘레에 금당지가 있...
-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용담리에 있는 고려시대 용담사지의 석불. 용담사는 백제 성왕 때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는 사찰로, 전설에 의하면 용담천 깊은 물에 이무기가 살면서 온갖 행패를 부렸다고 한다. 이를 막기 위해 신라 말 도선 국사가 절을 창건하고 용담사라 이름을 짓자, 그 뒤로는 이무기의 행패가 없어졌다고 한다. 전설을 뒷받침하듯 절의 뒤쪽으로 용담천이 있다....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섣달 그믐이나 정초에 악귀를 쫓아 재앙을 막고 풍년과 흉년을 예측하기 위하여 행하던 놀이. 용마희란 이름은 남원의 옛 이름이 용성(龍城)인데서 유래하였다. 남원시에서는 살고 있는 지역에 따라 주민을 남과 북으로 나누고 각각 용을 만들었다. 두 편은 각각 용마를 오색으로 칠한 뒤 외바퀴 수레에 실어 거리로 나온다. 거리에서는 여러 가지 놀이로...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섣달 그믐이나 정월 초에 악귀를 쫓아 재앙을 막고 풍·흉년을 점치기 위해 행하던 격렬한 집단쟁투놀이. 남원은 용과 관련된 많은 지명과 놀이가 있었다. 그 중 하나가 용마놀이다. 용마놀이는 예로부터 남원지방에 전래된 고유한 민속놀이로 용마희(龍馬戱)라 한다. 이 놀이는 1950년대에 들어 『용성지(龍城誌)』의 기록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운동회에...
-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 오신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목표는 ‘자주적이고, 도덕적이며,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한다’이고, 교훈은 ‘믿음·사랑·기쁨’이다. 1949년 10월 4일 사매중학원을 개원하고 1950년 4월 19일 초대 이사장 류광현의 취임과 더불어 재단법인 춘강학원의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50년 4월 28일 용북중학교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6월 1일 초대...
-
전라북도 남원시 덕과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용산리는 추산리와 배산리를 행정리로 포함하고 있다. 원래는 옥토끼가 달을 바라보고 일 년 운을 축원하며, 재미있게 소원성취를 축원하다가 헤어진 곳이라는 이야기가 전해 온 데서 분토동이라고 불렸다. 그뒤 물길을 막기 위해 인공으로 산을 만들었다고 하여 분토동을 분토(盆土)로 쓰기도 하였지만, 지명을 한자로 바꾸...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용산리는 운봉읍의 동쪽인 지리산 바래봉 아래에 위치해 있다. 아득한 옛날 덕두산 중턱에 있던 용마름산이 떠내려가듯 움직였는데, 한 도사가 칼로 산줄기를 자르고는 그곳에 석축을 쌓아 산이 움직이지 못하게 하였다. 이것은 산을 자른 것이지만 실지로는 용의 허리를 자른 것이 되어 용이 멈춰 산을 이룬지라 산이름을...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용산리에서 발원하여 북천리 남천 합류점에 이르는 하천. 용산천은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동부에 솟은 바래봉[1,186m]~덕두산[1,149.9m] 사이의 산지에서 흘러내린 물을 합친다. 상류 계곡의 물을 모아 용산제(소류지)에 담은 다음 하류로 흘러내린다. 이후 당월교[다리]를 지나 남천에 더해진다. 남천의 물은 임천·남강·낙동강을 경유...
-
고려시대 남원에 설치된 지방행정구역 명칭. 고려는 삼국을 완전하게 통일한 5년 후인 서기 940년(태조 23), 전국의 행정 구획을 재정비하면서 신라 때 남원 지역에 설치되었던 남원소경을 없애고 대신 남원부를 설치하여 2개 군(임실, 순창)과 7개 현(장계, 적성, 거령, 구고, 장수, 운봉, 구례)을 관할하게 하였다. 남원부는 이후 조선 전기인 1413년(태종 13)...
-
고려와 조선시대 전라북도 남원의 별호(別號). ‘용성’이 남원의 별호라고 처음 지칭한 것은 『고려사(高麗史)』 지리지에서이다. 그러나 고려시대에는 남원을 가리키는 말로 용성이라는 말이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다. 『고려사』에 나오는 용성의 사용례를 찾아보면 대부분 수주(水州)[수원]의 속현이나 안변도호부에 속한 등주(登州)의 속현을 가리키고 있기 때문이다. 남원을 가리키는...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고승. 본관은 수원(水原). 법명은 진종(震鍾), 속명은 상규(相奎), 법호는 용성(龍城). 아버지는 백남현(白南賢)이며 어머니는 손씨이다. 백용성은 16세에 해인사로 출가하여 전국의 사찰을 돌며 심신을 수련하였다. 3·1운동 때 민족 대표 33인 중 한 사람으로 한용운과 함께 불교 대표로 참가하여 독립선언서에 서명하였다...
-
전라북도 남원시 도통동 용성초등학교 앞에 있는 사거리. 용성이란 고려와 조선시대에 불려진 남원의 이름으로 객사 용성관이 있었던 곳에 용성초등학교가 위치하고 있다. 용성초등학교 사거리라 하였다가 용성사거리가 되었다. 용성초등학교 정문 앞의 네거리로, 동쪽으로는 법원 네거리쪽의 길, 서쪽으로는 서문쪽, 이마트쪽의 길, 남쪽으로는 제일은행 네거리쪽의 길,...
-
전라북도 남원시 동충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객사 터. 용성관은 조선시대 관원들의 숙소로 사용된 건축물이다. 그 규모가 웅장하여 남원에서는 광한루, 관왕묘와 더불어 고대 건물의 삼걸(三傑)로 불렀다. 이후 불에 타서 여러 차례 보수 과정을 거쳤다. 용성관을 처음 건립한 시기는 통일신라시대인 691년(신문왕 11)인데, 용성관을 휼민관이라고도 하였다....
-
전라북도 남원시 동충동 용성관(龍城館)에 있는 석조물. 용성관 석물은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 문화재 자료 제104호로 지정되었다. 용성관은 통일 신라 때인 691년(신문왕 11)에 건립되어 조선 시대에는 관원들의 숙소인 객사로 사용되었으며, 그 규모가 웅대하였다. 한때는 조선 태조의 전패(殿牌: 전(殿)자를 새긴 나무패로 왕의 상징)를 모셔 ‘휼민관(恤...
-
전라북도 남원시 동충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객사 터. 용성관은 조선시대 관원들의 숙소로 사용된 건축물이다. 그 규모가 웅장하여 남원에서는 광한루, 관왕묘와 더불어 고대 건물의 삼걸(三傑)로 불렀다. 이후 불에 타서 여러 차례 보수 과정을 거쳤다. 용성관을 처음 건립한 시기는 통일신라시대인 691년(신문왕 11)인데, 용성관을 휼민관이라고도 하였다....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상동리에 있는 고려 충신 양능양 등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 용장서원은 고려 목종 때 김치양 일파의 난으로 은거한 절의의 충신 양능양(梁能讓)을 주벽(主壁)으로 하여 고려 때 삼별초의 난을 평정한 양주운(梁朱雲)과 고려 후기에 대사성을 지낸 김구용(金九容), 임진왜란 때의 공신 양대박(梁大樸)을 봉안하고 있다. 매년 음력 3월 17일...
-
1966년에 간행된 조선 후기 학자인 양해기(梁海驥)와 그의 손자 양병옥의 회갑 축시를 모은 시집. 권두에 양홍근(梁洪謹)·양종호(梁鍾浩)의 서와 양병옥(梁炳玉)의 자서(自序), 권미에 한현석(韓賢錫)·양병길(梁炳吉)의 후기를 붙여서 1966년 불분권(不分卷) 1책으로 남원에서 간행되었다. 전북대학교 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본서의 저본은 연활자로 간행된...
-
1982년에 용성시사의 시회(詩會)에서 쓰인 시를 모아 편찬한 시집. 『용성시사시집』은 남원의 이만기(李萬器)가 만든 ‘용성시사(龍城詩社)’를 중심으로 활동한 향토 시인 및 문인들의 작품을 모아 출간된 편찬 시집이다. 용성시사회원들은 매년 봄과 가을에 광한루나 오운정에 모여 노소를 막론하고 풍류를 즐겼다. 1972년에 쓴 김종가(金種嘉)의 「용성시사첩서(龍城詩社帖序)」와...
-
1982년에 용성시사의 시회(詩會)에서 쓰인 시를 모아 편찬한 시집. 『용성시사시집』은 남원의 이만기(李萬器)가 만든 ‘용성시사(龍城詩社)’를 중심으로 활동한 향토 시인 및 문인들의 작품을 모아 출간된 편찬 시집이다. 용성시사회원들은 매년 봄과 가을에 광한루나 오운정에 모여 노소를 막론하고 풍류를 즐겼다. 1972년에 쓴 김종가(金種嘉)의 「용성시사첩서(龍城詩社帖序)」와...
-
전라북도 남원시 도통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지(智)·덕(德)·체(體)·예(藝)를 갖추어 미래 사회를 주도하는 세계인’을 기른다는 교육 목표 아래 창의적이고 도덕적이며 건강하고 심미적인 사람을 길러내는 데 교육목표를 두고 있다. 또한 통합적 사고 능력 함양을 위한 독서의 생활화와 영어 체험 활동을 통한 의사 소통 능력 배양에 노력하고 있다. 1951년 9월 1일 남원용...
-
전라북도 남원시 도통동 용성초등학교 앞에 있는 사거리. 용성이란 고려와 조선시대에 불려진 남원의 이름으로 객사 용성관이 있었던 곳에 용성초등학교가 위치하고 있다. 용성초등학교 사거리라 하였다가 용성사거리가 되었다. 용성초등학교 정문 앞의 네거리로, 동쪽으로는 법원 네거리쪽의 길, 서쪽으로는 서문쪽, 이마트쪽의 길, 남쪽으로는 제일은행 네거리쪽의 길,...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부안(扶安), 자는 진경(眞卿), 호는 담암(澹庵), 또는 용암(舂岩). 문정공 김구(金坵)의 후손이고, 충경공 김익복(金益福)의 손자이며, 재간당(在澗堂) 김화(金澕)의 아들이다. 김지순은 어려서부터 학문에 힘써서 일찍이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다. 인조 때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켰으며, 행의(行誼)로 천거되어...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용여(用汝). 수은(樹隱) 김충한(金沖漢)의 후손이다. 김약려는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났을 때는 병으로 자리에 누워 있었다. 따라서 사촌 동생 김용려(金用礪)와 함께 행동하지 못하였다. 김약려는 눈물을 흘리며 “은(殷)이 망하니 백이(伯夷)는 수양산에 숨...
-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섣달 그믐이나 정월 초에 악귀를 쫓아 재앙을 막고 풍·흉년을 점치기 위해 행하던 격렬한 집단쟁투놀이. 남원은 용과 관련된 많은 지명과 놀이가 있었다. 그 중 하나가 용마놀이다. 용마놀이는 예로부터 남원지방에 전래된 고유한 민속놀이로 용마희(龍馬戱)라 한다. 이 놀이는 1950년대에 들어 『용성지(龍城誌)』의 기록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운동회에...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상동리에 있는 고려 충신 양능양 등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 용장서원은 고려 목종 때 김치양 일파의 난으로 은거한 절의의 충신 양능양(梁能讓)을 주벽(主壁)으로 하여 고려 때 삼별초의 난을 평정한 양주운(梁朱雲)과 고려 후기에 대사성을 지낸 김구용(金九容), 임진왜란 때의 공신 양대박(梁大樸)을 봉안하고 있다. 매년 음력 3월 17일...
-
전라북도 남원시에 속하는 법정동. 용정동의 유래는 마을 안에 용정(龍井)이라는 샘이 있는데, 이 샘에 용이 살았다고 하여 이름이 지어졌다. 용정은 여름철에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여 수질이 좋기로 유명하였다. 용정동은 1897년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전라북도 남원군 서봉면 옹정리로 재편되었으며, 일제강점기인 1914년의 행정구역 통폐합 때 남원군 통...
-
전라북도 남원시 용정동 구룡마을에 있는 수령 365년의 느티나무. 높이 18m, 흉고둘레 4.1m, 근원둘레 5.3m, 수관폭 20m이다. 지상 1.5m 정도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고루 퍼져서 수형이 잘 발달되었고 매우 아름다운 나무이다. 나무의 나이는 365년 정도로 추정된다. 조선 초기 남원양씨가 처음 입주 하였으나 다른 곳으로 이사가고, 1597년경 남원윤씨가 정유재...
-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 성산리에 속하는 행정리. 1950년경 마을 앞에 있는 묘가 갈룡음수(渴龍飮水) 격이고, 또 무덤 앞에 구슬형의 산이 있어 ‘용 용(龍)’자와 ‘구슬 주(珠)’자를 따와 용주라고 하였다. 1883년(고종 20) 달성서씨가 이주하여 마을을 이루다가, 그 후 김해김씨, 청송심씨가 이주해 와 마을의 규모가 커지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원래 운봉의 동쪽 지역...
-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도룡리 용평마을에 건설 중인 저수지. 용평마을은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추어마을로 지정하여 미꾸라지 양식 및 친환경 농업 등을 추진하고 있는 마을이다. 용평저수지는 총저수량 1,223천㎥, 유효 저수량 1,042천㎥, 단위 저수량 695㎜, 유역 면적 400㏊, 만수 면적 7.92㏊, 수혜 면적 150㏊, 제당 높이 45.8m,...
-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호경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향촌 사회에 설립된 사립 중등 교육 기관. 용호서원(龍湖書院)은 일제강점기인 1927년 원동 향약계를 주축으로 하여 남원 유림 김종사 및 여러 유림 선비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1974년 서원의 시설 보수가 이루어졌으며 설립 당시 처음에는 주자영을 봉안하여 배향하였다. 용호서원은 서원 시설로 경양사등의...
-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호경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향촌 사회에 설립된 사립 중등 교육 기관. 용호서원(龍湖書院)은 일제강점기인 1927년 원동 향약계를 주축으로 하여 남원 유림 김종사 및 여러 유림 선비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1974년 서원의 시설 보수가 이루어졌으며 설립 당시 처음에는 주자영을 봉안하여 배향하였다. 용호서원은 서원 시설로 경양사등의...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字)는 용회(用晦), 호는 회산(檜山). 아버지는 사산감역관(四山監役官) 정세명(丁世明)이며, 어머니는 사의(司議) 김수형(金壽亨)의 딸이다. 1516년(중종 11)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1528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전적(承文院典籍)이 되었다. 성균관전적·호조좌랑을 거쳐 1537년 성...
-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조선 후기 판소리 명창. 송우룡은 송광록의 아들로 아명은 우렁이다. 19세기 후반에 활동했던 후기 8명창 중의 한 사람이다. 송씨 가문의 정통 동편제 판소리를 계승하여 이름을 떨쳤다. 송우룡은 활동 중간에 성대가 상하여 제자 양성에 주력했다. 송우룡의 문하에서 아들인 송만갑과 전도성, 유성준, 이선유 등이 배출되어, 일제강점기...
-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누에가 세상에 나오게 된 이야기. 「우렁각시 이야기」의 큰 줄기는 ‘누에’가 생겨난 유래담이지만, 우렁각시가 등장하고, 총각이 죽어서 누에가 된다는 점에서는 변신담에 속한다. 1979년 8월 1일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 사는 최판순(여, 67)이 구연한 것을 최래옥·강현모가 채록하여, 1980년에 출간한 『한국...
-
1989년에 간행된 박종수의 두 번째 시집. 박종수[1945~2005]는 전라북도 장수군에서 출생하였다. 1978년 『시문학』에 「신춘향가」와 「탈춤」이 천료되어 문단에 나왔다. 남원여자고등학교에 재직하면서 주거지를 남원으로 옮긴 이후 지방 문단과 중앙 문단을 잇는 가교 역할을 자청하며 왕성하게 활동하였다. 저서로 시집 『우리들의 뿌리』와 『우리들의 줄기』가 있다....
-
조선 전기·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 자는 우복(于復). 중추부지사 유규(柳規)의 서자이다. 건춘문(建春門)을 지키는 갑사(甲士) 출신으로, 1467년(세조 13) 이시애의 난에 자진 출전하여, 난이 끝나자 병조정랑이 되었다. 이후 온양별시문과(溫陽別試文科)에 응시하여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1468년 왕위에 오른 예종에게 남이의 언행과 시를 빌미삼아 그...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득상(得祥), 호는 우송(友松). 문정공(文貞公) 김자지(金自知)의 9세손이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김승경(金承慶)의 손자이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조정에서 내려온 5현(五賢)의 격문을 보고 아우 김진웅(金震雄)·김진용(金震龍)·김진표(金震彪)에게 말하기를 “지금은 바로 몸을 버리고 임금의 은...
-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형제 이야기. ‘형 만한 동생 없다’고 민담에서 못된 동생이지만 우애, 화목을 위해 동생을 챙겨주고 살림을 나누어 주는 이야기는 많다. 동생을 위한 헌신은 형에 대한 복으로 나타나 현몽을 통해 형이 재물을 얻게 된다. 1979년 8월 1일에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 사는 최판순(여, 67)이 구연한 것을 최래옥·강현모가 채록...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무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계원(季元), 호는 우재(愚齋). 고려의 호부상서 사조의 후손이다. 용성군 진석의 17세손이며, 아버지는 통정대부(通政大夫) 진수영이다. 진종립은 말을 잘 타고 활을 잘 쏘는 등 무예에 뛰어났으며 담력과 지략이 뛰어나 무과에 급제하였다. 1636년(인조 14)에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장사 수십 명을 이끌고...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 문희공 우탁(禹倬)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우안민(禹安敏)이다. 말달리기와 활쏘기를 잘하고 담력이 있어서 1577년(선조 10)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수문장으로 있던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선조가 있는 곳으로 가던 중 도중에서 적을 만나 싸워 많은 적을 죽였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에 선무...
-
조선 말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의병.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문찬(文贊), 호는 칙헌(則軒).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오위장을 지낸 양맹석(梁孟錫)이며 어머니는 파평윤씨로 윤종길(尹宗吉)의 딸이다. 1882년(고종 19) 임오군란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즉시 장정 300여 명을 모아 이끌고 서울로 가려 하였다. 그러나 당시 남원부사 심의두(沈宜斗)가 저지하여 수행하지 못하였다...
-
전라북도 남원시의 우편, 체신 및 금융 업무를 맡아 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의 공공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소속하에 직할우체국과 각 우정청장 및 직할우체국 소속하에 현업관서인 우체국을 두는데, 우체국장은 서기관·행정사무관의 직위인 5급 공무원 이상으로 보하나 규모가 작은 우체국은 행정주사를 장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우체국은 일반우체국과 별정우체국으로 구분하는데...
-
전라북도 남원시 덕과면 신정리에서 이성계의 득국(得國)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남원 지역에는 이성계와 관련한 이야기들이 많은데, 왜구를 물리친 용맹스러움뿐만 아니라, 나라를 세우고 왕이 되는 과정에서 원만하지 못했던 지리산 산신령과의 관계와 우투리(아기장수)와의 관계 등이 전설의 형태로 전해 온다. 이런 이야기들은 곧 이성계가 민중의 적극적인 호응을...
-
조선 전기 삭녕최씨의 전라북도 남원 입향조(入鄕祖). 본관은 삭녕(朔寧), 호는 운경(雲卿). 할아버지는 영의정 영성부원군 최항(崔恒)이며, 아버지는 예조참의를 지낸 최영린(崔永潾)이고, 어머니는 고령박씨이다. 부인은 진주하씨(晋州河氏) 사직(司直) 하응(河應)의 딸이다. 최수웅은 일찍이 음사(蔭仕)로 충의위정략장군(忠義衛定略將軍)에 올랐다. 그러나 세상이 어지러워진 데...
-
조선 중기 전라북도 남원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석여(錫汝), 호는 운계(雲溪), 무민공(武敏公) 황진(黃進)의 증손이며, 당촌(塘村) 황위(黃暐)의 아들이다. 황신구는 어려서부터 기억력이 탁월했고, 소년이 되자 이미 옛 선인들의 학문을 이해하였다. 벼슬에 뜻이 없어 은거하여 후진을 교육하였는데 많은 선비가 모였고, 고관대작들이 그의 높은 절의를 존경...
-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아곡리에 있었던 조선 전기 향촌 사회를 근거지로 하여 설립된 사립 초등 교육 기관. 운곡재(雲谷齋)는 아곡리 아실마을의 지역 유지들에 의해 공동 설립되었으며, 주로 『사자소학』과 사서삼경 및 『명심보감』 등의 유학과 한문을 가르쳤다. 운곡재는 조선 전기에 설립되어 현대까지 운영된 오랜 전통의 촌합형 서당이다. 아실마을 지역은...
-
전라북도 남원시 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교룡산에서 이 마을을 내려다 보면 구름이 동쪽의 교룡산과 서쪽의 풍악산을 연결하여 마치 구름 속에 다리를 놓은 것처럼 보인다. 천상의 오작교에 비유하여 구름다리라 했는데, 지명을 한자로 바꾸면서 운교가 된다. 고려 초기에 한양조씨가 처음 정착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으며, 그 뒤 면천북씨와 경주이씨가 정착하여 마을이 더 크...
-
전라북도 남원시 대산면 운교리에 있는 수령 350년의 느티나무. 높이 11m, 흉고둘레 5.6m, 근원둘레 6.3m, 수관폭 21m이다. 지상 1m 정도에서 두 가지로 갈라졌으며 2m 부분에서 여러 가지로 고루 퍼져서 수형이 잘 발달되어 매우 아름답다. 나무의 나이는 350년 정도로 추정된다. 1700년대 후반 남원 교룡산 기슭 대산면 운교마을에 황씨 성을 가진 농부가...
-
조선 중기 남원 출신 오세웅의 시문집. 오세웅(吳世熊)[1633~1685]은 전라북도 남원군 아영면 봉대리 출신으로 두암 오상덕의 후손이다. 자는 군복(君卜), 호는 운담(雲潭)으로 본관은 함양(咸陽)이다.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1607~1689]의 문인으로 성리학에도 조예가 깊었다. 서문은 건옹(健翁) 김양순(金陽淳)[1776~1840]이 지었고, 노사(蘆沙)...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일대의 신라 때 행정구역. 『삼국사기』 「지리지」에서 비롯된 남원에 신라의 모산현이 설치되어 있었다는 기록은 『고려사』 「지리지」, 그리고 조선 후기인 1864년 김정호가 쓴 『대동지지』까지도 동일하게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사실과는 다른 기록이다. 삼국시대 초기부터 남원시와 남원군의 일부 지역이 신라의 땅이었다는 기록은 사실이 아...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이곡부락에서 전해 내려오는, 병든 아버지를 구한 효자 이야기. 병든 아버지를 위해 지리산으로 노루를 구하러 간 아들이 산신령을 만나 노루를 얻어 아버지의 병을 낫게 해드렸다는 이야기이다. 1979년 8월 2일에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이곡부락에 사는 오천연(남, 64)이 구연한 것을 최래옥·강현모가 채록하여, 1980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에서 정월 대보름에 지역에 따라 동·서로 편을 나누고 줄을 당겨 승부를 겨루는 민속놀이. 줄놀이는 줄다리기의 방언이다. 고쌈 또는 줄쌈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줄다리기를 하기 전에 벌어지는 전초전인 고쌈과 줄을 가지고 싸운다는 뜻에서 이렇게 부른다. 줄다리기는 전국적으로 행해지던 놀이지만 운봉의 줄놀이는 그 규모가 매우 큰 것이 특징이다. 줄놀이를 하...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일대의 신라 때 행정구역. 『삼국사기』 「지리지」에서 비롯된 남원에 신라의 모산현이 설치되어 있었다는 기록은 『고려사』 「지리지」, 그리고 조선 후기인 1864년 김정호가 쓴 『대동지지』까지도 동일하게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사실과는 다른 기록이다. 삼국시대 초기부터 남원시와 남원군의 일부 지역이 신라의 땅이었다는 기록은 사실이 아...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과 주천면 지역에 있는 해발 고도 500m 내외의 높고 비교적 연속된 평탄 지형. 산록고원은 산기슭에 발달되어 있는 대지(臺地)를 말한다. 침식 분지는 침식 작용에 의해서 넓은 면적이 삭박(削剝)되어 요지(凹地)를 이루고, 그 주위가 산지로 둘러싸여 있는 지형이다. 일반적인 분수계는 산지의 능선으로 이루어지지만 단일 분지 내에서 분지저의 평야지대에도...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서천리에 있는 도서관. 날로 높아지는 지역민의 지적 수준 및 취미와 관심 사항의 다양화에 맞추어 평생 교육과 문화 향유의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9년 7월 공공도서관 설립 인가를 받았고, 1989년 8월 공공도서관 건축에 착공했다. 1989년 10월 공공도서관 조례를 공포하였고, 1990년 6월 공공도서관 준공을 하였다. 1990...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서천리에 있는 공설 재래 시장. 조선시대부터 운봉 주변의 농촌 지역 중심이 되어 온 운봉읍 소재지 마을 공지에 5일마다 인근 지역에 있는 상인들이 들어와 시장을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그 뒤 장옥을 건축하여 일부 점포를 갖추고 공산품, 의류, 농·축산물 등 생필품 위주로 장터를 이루었다. 1965년 3월 3일에 건립되었고, 대지면적 2,852㎡이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