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금갑 닻배 노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0194
한자 金甲-
영어음역 Guemgap Datbae Norae
영어의미역 Geumgap Datbae So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금갑리
집필자 이윤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어로요|유희요
토리 육자배기토리
가창자/시연자 강만수
박자구조 굿거리장단
가창시기 조기잡이할 때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금갑리에서 불리던 노래.

[개설]

금갑닻배노래는 조기잡이 닻배에서 불리던 어로요를 말한다. 닻배는 닻을 많이 싣고 다녔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닻그물이라고도 하고 정선망(碇船網)이라고도 불렀다. 자망의 한 종류로 일자형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조기가 그물코에 꽂혀 잡힌다.

이 닻배에서 그물을 끌어올릴 때나 그물을 내릴 때, 혹은 닻배를 이동시킬 때 노래를 부르는데, 이것을 닻배노래라고 한다. 금갑닻배노래는 금갑지역에서 주로 불리던 노래를 말한다.

[가사]

금갑지역의 특징으로 꼽는 성적인 사설은 채록되지 않았지만,『진도민요집』제1집 (진도문화원, 1997)에 금갑지방의 뱃노래라는 이름으로 ‘지화자소리’가 채록되어 있다.

〈후렴〉

지화자 좋네

〈선창〉

이 물대(닻배의 선두에 있는 작은 돛대) 꼬작에 봉기를 질러

허리대(닻배의 중간에 있는 큰 돛대)꼬작에 장화를 풍겨라

갈바람 졌네

연평 바닥에 갈바람졌네

들 물에도 천량 썰물에도 천량

안암팎 내왕에 사천량 실고

지화자 좋네

쥔네 집앞에 들어를 강께

쥔네 마누라 술동우 이고

말판 머리서 궁치춤 춘다

지화자 좋네

[내용]

진도지역의 닻배 조기잡이는 조도지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진도 본토에서는 금갑지역에서 주로 닻배 조기잡이를 하였다.

후렴을 ‘지화자 좋네’로 받는 것으로 보아서 조도지역의 ‘지화자소리’ 혹은 ‘기화자소리’와 동일한 소리로 판단된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금갑닻배노래는 금갑 사람 강만수의 노래로 알려져 있는데, 1960년대 지춘상이 조사한 것이다. 참고로 조도지역에서 지화자소리는 주로 풍장굿을 칠 때 부르던 소리로 알려져 있다.

[현황]

현재 전승되는 닻배노래는 조도면을 중심으로 불리던 가락으로, 금갑지역에서 불리던 닻배노래는 성적으로 너무 적나라한 특성으로 인해 현재는 사설만 전할 뿐 맥이 끊겼다. 여기에 채록되어 있는 금갑지역의 닻배노래는 조도지역에서 불리는 닻배노래와 대동소이하다.

[의의와 평가]

성적인 사설이 특징으로 꼽히는 금갑닻배노래가 완전한 형태로 채록되지 않은 것은 아쉽지만, 진도군 일대의 여러 섬 가운데에서 유일하게 닻배에서 부르던 노래라는 데에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