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399 |
---|---|
한자 | 瑞山鄭氏二孝一烈之閭 |
이칭/별칭 | 운림동 정려비석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길 87[운림동 660-1]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김희태 |
건립 시기/일시 | 1797년![]() |
---|---|
보수|복원 시기/일시 | 1937년 - 서산정씨이효일렬지려 보수 |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 1710년 - 정봉서 출생 |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 1727년 - 추성전씨 출생 |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 1750년 - 정덕방 출생 |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 1767년 - 정봉서 사망 |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 1778년 - 추성전씨 사망 |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 1819년 - 정덕방 사망 |
현 소재지 | 서산정씨이효일렬지려 -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길 87[운림동 660-1]![]() |
성격 | 정려비 |
양식 | 석비 |
관련 인물 | 정봉서|추성전씨|정덕방 |
재질 | 석재 |
소유자 | 서산정씨 종중 |
관리자 | 서산정씨 종중 |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에 있는 정봉서· 정덕방 부자와 추성전씨의 정려비.
서산정씨(瑞山鄭氏) 정봉서(鄭鳳瑞)와 정봉서의 아내 추성전씨(秋城田氏), 정봉서의 셋째아들 정덕방(鄭德邦)의 효행과 열행을 기려 세운 정려비(旌閭碑) 이다. 정봉서의 자는 현거(賢舉), 호는 만오(晚悟)이다. 정봉서는 여섯 살 때 모친상을 당해 예를 갖추었고, 부친상 때 삼년 시묘살이를 하였다. 추성전씨는 남편 정봉서의 임종 직전에 다섯 손가락을 잘라 수혈하여 사흘 간을 연명하도록하였다. 정덕방은 모친의 임종 때에 다섯 손가락을 잘라 수혈하여 사흘 간을 더 살게 한 효자이다. 1937년에 중건하였다. 운림동 정려비석(旌閭碑石)이라고도 부른다.
1797년(정조 21) 어사(御史) 이승익(李承益)이 천거하여 명정(命旌)되어 세웠다.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 광주학운초등학교 인근에 있다.
석조로 되어 있으며 담장도 화강암제 석재로 되어 있다.
효자통정대부서산정공봉서지려(孝子通政大夫瑞山鄭公鳳瑞之閭), 열녀숙부인추성전씨지려(烈女淑夫人秋城田氏之閭), 효자증통훈대부사복시정정공덕방지려(孝子贈通訓大夫司僕寺正鄭公德邦之閭)라 새겼다. 곁에 있는 비석은 정부인하동정씨선덕비(貞夫人河東鄭氏善德碑), 가선대부서산정공만재정부인하동정씨쌍효실적비(嘉善大夫瑞山鄭公萬在貞夫人河東鄭氏雙孝實蹟碑)이다.
석조로 된 보호각 안에 3기가 있고, 곁에 2기의 비석이 있다.
명정을 받은 부자 효자와 열녀의 정려로, 조선시대 효열 표창 제도사를 알 수 있고 후대의 추숭활동도 알 수 있어 향토사적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