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337 |
---|---|
한자 | 芝坪洞-群 |
영어공식명칭 | Yongganggol Dolmen in Jipyeong-dong |
이칭/별칭 | 지평동 용강골 고인돌 가·나,광주 지평동 용강골 지석묘 가군·나군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평동 13|산 1-1|광주광역시 광산구 지평동 34-1|산 27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강진표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90년 - 지평동 용강골 고인돌군 가군 14기, 나군 7기 총 21기 고인돌 확인 조사 |
---|---|
소재지 | 지평동 용강골 고인돌군 - 가군: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평동 13|산 1-1![]() ![]() |
성격 | 분묘 |
양식 | 고인돌 |
크기(높이,지름) | 가군|1호: 190㎝[길이]|120㎝[너비]|70㎝[두께]|2호: 180㎝[길이]|130㎝[너비]|50㎝[두께]|3호: 130㎝[길이]|110㎝[너비]|35㎝[두께]|나군|1호: 300㎝[길이]|230㎝[너비]|190㎝[두께] |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평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지평동 용강골 고인돌 가군은 서봉마을 앞 황룡강 건너편 강변을 따라 14기가 있고, 나군은 서봉마을 앞 황룡강 건너편 ‘강변정’ 식당 입구에 3기가 분포한다.
지평동 용강골 고인돌군은 1990년 조사에서 처음 두 개 군집의 14기와 7기 총 21기 고인돌이 확인되었다. 1996년 조사에서 고인돌 명칭이 광주 지평동 용강골 지석묘 가·나로 바뀌었으며, 2004년 조사에서는 용강골 지석묘 가군·나군으로 변경되었다. 이 중 나군은 2004년에 도로를 넓히기 위해 굴삭기를 이용하여 이동하였다고 보고되었다. 2015년 조사 결과 용강돌 고인돌 가군 기수는 그대로지만, 나군은 3기로 줄었다.
지평동 용강골 고인돌 가군은 북서-남동 방향 1열로 60여m 범위 안에 분포하며, 일부 굄돌이 확인되는 고인돌이 있다. 나군은 특정한 형태가 보이지 않는다.
지평동 용강골 고인돌 가군은 일부 덮개돌이 깨진 것이 확인되며, 3등분으로 쪼개진 것도 있다.
지평동 용강골 고인돌군은 강변을 따라 분포하는 고인돌 문화를 보여 주며, 고인돌 주변으로 물을 이용한 경작 행위를 살펴볼 수 있는 유적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