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0347 |
---|---|
한자 | 河南驛 |
영어공식명칭 | Hanam Stati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손재로 111[산정동 452-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윤희철 |
준공 시기/일시 | 1966년 8월 1일![]()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67년 6월 4일 - 하남역 임시승강장 폐지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67년 6월 5일 - 하남역 무배치 간이역으로 영업 개시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76년 2월 24일 - 하남역 구 역사 준공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76년 3월 15일 - 하남역 보통역으로 승격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8년 7월 31일 - 하남역 신 역사 신축 준공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0년 5월 3일 - 하남역 하남일반산업단지 동화석유선 영업 및 화물 취급 개시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4년 7월 15일 - 하남역 여객 영업 종료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3년 11월 18일 - 하남역 철도 컨테이너 취급소 완공 |
현 소재지 | 하남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손재로 111[산정동 452-1]![]() |
성격 | 기차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정동에 있는 호남선의 기차역.
인근 하남일반산업단지 내에 있는 GS칼텍스 저유고로 수송하는 유류 화물을 주로 취급하고 있다. SRT 전용 차량기지가 인근에 들어서 있다.
하남역은 1966년 8월 1일 임시승강장으로 개역하였다. 1967년 6월 4일 임시승강장을 폐지하였고, 1967년 6월 5일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67년 9월 1일 을종 승차권대매소로 지정되었고, 1975년 4월 14일 구 역사를 착공하여 1976년 2월 24일 준공하였다. 1976년 3월 15일 보통역으로 승격하였고, 1988년 7월 31일 신 역사를 준공하였으며, 1989년 12월 25일 동화석유선을 준공하였다. 1990년 5월 3일 하남일반산업단지 동화석유선 영업 및 화물 취급을 개시하였다.
2003년 3월 7일 전기연동에서 전자연동방식으로 변경하였고, 2003년 10월 31일 전자연동에서 자동폐색방식으로 변경하였다. 2004년 4월 1일 고속철도 운행과 동시에 전자연동장치 및 CTC로 전환하였다가 2004년 7월 15일 여객 취급을 중지하였다. 2013년 11월 18일 하남역 철도 컨테이너 취급소를 완공하였다.
승강장 구조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었으나, 부본선과 본선을 모두 붙여 4선으로 역 구내를 통과하고 동쪽으로 화물유치선이 7개 있다. 인근 하남일반산업단지 내부에 있는 GS칼텍스 정유소로 들어가는 전용 지선이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한 화물수요가 한 해 5만 톤가량 된다. 하남일반산업단지 개설 당시에는 하남역으로 개통된 도로가 열악하였고, 유류 이외의 화물을 취급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광주송정역[철도]과 임곡역에 있던 컨테이너 야드를 전부 하남역으로 옮겨 현재는 컨테이너 화물도 취급한다.
하남이라는 역 이름은 개통 당시의 지명인 전라남도 광산군 하남면에서 유래하였으며, 경기도 하남시와는 무관하다. 여객수요는 거의 없어 2004년 7월 15일에 여객 영업을 중단하였다. 이후 하남역 주변에 하남2지구 및 수완지구, 운남지구 등이 개발되면서 주변에 역세권이 형성되었지만, KTX, 무궁화, 새마을 등 모든 열차를 취급하는 광주송정역이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기 때문에 여객 업무를 재개하지 않았다. 지금은 하남2지구를 개발하면서 역 앞으로 넓은 도로가 뚫렸고, 하남역 바로 옆에 하남2지구 버스 종점도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