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971 |
---|---|
한자 | 金德普 |
영어공식명칭 | Kim Deokbo |
이칭/별칭 | 풍암(楓巖),자룡(子龍)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샘길 40[충효동422]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박미선 |
출생 시기/일시 | 1571년 - 김덕보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592년 - 김덕보 임진왜란 때 의병장 부임 |
몰년 시기/일시 | 1627년 - 김덕보 사망 |
추모 시기/일시 | 1785년 - 김덕보 집의(執義)로 추증 |
추모 시기/일시 | 1785년 - 김덕보 의열사(義烈祠)에 배향 |
출생지 | 광주 석저촌(石底村) -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샘길 40[충효동422]로 추정 |
활동지 | 풍암정(楓岩亭) - 광주광역시 북구 풍암제길 117[금곡동 718] |
묘소 | 충장사(忠壯祠) - 광주광역시 북구 송강로 13[금곡동1023] |
묘소 | 의열사(義烈祠) -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동 또는 금호동 |
묘소 | 운리영당(雲裏影堂) -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동 |
묘소 | 운리사(雲裏祠)|벽진서원(碧津書院) - 광주광역시 서구 송풍로 42[풍암동 769-1] |
성격 | 의병 |
성별 | 남 |
[정의]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 활동한 전라도 광주 출신 의병장.
[가계]
김덕보(金德普)[1571~1627]의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자룡(子龍), 호는 풍암(楓巖)이다. 아버지는 김붕섭(金鵬燮)이며, 어머니는 남평박씨(南平朴氏)로 직장 박계종(朴繼宗)의 딸이다. 충장공(忠壯公) 김덕령(金德齡)[1567~1596]의 동생이다.
[활동 사항]
김덕보는 1571년(선조 4)에 전라도 광주 석저촌(石底村)[지금의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으로 추정]에서 태어났다. 송강(松江) 정철(鄭澈)과 제봉(霽峰) 고경명(高敬命)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92년(선조 25) 6월 김덕보의 형 김덕홍(金德弘)과 김덕령이 의병을 일으켜 고경명과 함께 전라도 전주까지 진군하였으나 김덕홍은 노모를 봉양해야 한다는 이유로 김덕령을 돌려보냈다. 제1차 금산성전투에서 김덕홍이 전사하고, 1593년(선조 26) 8월 노모도 세상을 떠나자 김덕령이 상중(喪中)임에도 불구하고 김덕보에게 집안을 맡긴 다음 의병을 일으켰다. 김덕보는 상(喪)이 끝난 이후 막하(幕下)로 나아가 군사 계획에 도움을 주었다. 김덕령이 무고로 인해 옥사하자 김덕보는 고향으로 돌아와 풍암(楓巖)이라고 호를 붙이고, 무등산에 풍암정[지금의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718]을 지어 학문에 전념하였다. 유일(遺逸)로 여러 차례 천거되어 별제(別提)를 제수받았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병중임에도 불구하고 가동(家僮)과 장사를 모집하여 교분을 맺고 있던 보성의 우산(牛山) 안방준(安邦俊)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으나, 건강이 나빠져 전쟁에 나서지는 못하였다. 안방준이 병사를 거느리고 김덕보를 방문하자 모집한 군졸과 식량, 기계를 맡기고 본래 기개와 절조가 있던 사촌 김덕유(金德宥)를 안방준의 막하에 나가도록 권한 후 사망하였다.
[묘소]
김덕보의 묘소는 충장사(忠壯祠)[지금의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다.
[상훈과 추모]
김덕보는 1728년(영조 4)에 형 김덕홍과 함께 의열사(義烈祠)[지금의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동 혹은 금호동]에 배향되었고 1785년(정조 9)에 전라도 유생 기석주 등의 상언에 의해 집의(執義)에 추증되었다. 의열사는 1868년(고종 5) 서원 훼철령으로 철폐되었고, 1927년 운리영당(雲裏影堂)[지금의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동]이 설립되었다. 1999년에는 도시개발 확장에 따라 운리사(雲裏祠)로 재건하였고, 2017년 벽진서원(碧津書院)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