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생정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668
한자 鳳笙亭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광주광역시 동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수경

[정의]

조선시대 광주읍성황화루 동쪽에 있던 정자.

[개설]

봉생정(鳳笙亭)절양루(折楊樓)[지금의 공북루(拱北樓)], 황화루(皇華樓)와 함께 조선 초기인 1415년 이전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1571년 유희춘(柳希春)[1513~1577]은 전라도 관찰사로 지방을 순행하며 광주 지역에도 몇 차례 들렀다. 7월 28일 유희춘의 일기에 따르면, 희경루에서 관찰사인 유희춘, 병사 임진(林晉), 좌수사 김오(金鋘), 우수사 한홍제(韓弘濟) 등 4사(使)가 회동하였는데, 미리 와 있던 우수사 한홍제는 봉생당(鳳笙堂)에 머물고 있었다. 이로 미루어, 공무를 위해 출장 온 관리가 잠시 머무는 장소로 봉생정을 사용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위치]

봉생정은 지금의 광주광역시 동구 충장로 2가에 있었다.

[변천]

봉생정은 『동국여지지(東國輿地志)』에는 나오지만,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지금 없어졌다.”라고 한 것으로 보아 숙종 대에서 영조 대 사이에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봉생정과 관련된 시문]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는 봉생정을 설명하며 영의정에 오른 정창손(鄭昌孫)[1402~1487]의 시를 소개하고 있다.

황화루형압고대(皇華樓迥壓高臺)[황화루가 아득히 고대(高臺)를 누르니]

대반군화독자개(臺畔群花獨自開)[고대 주위에는 꽃만이 제대로 피었구나]

봉거유유종불반(鳳去悠悠終不返)[봉황은 날아가 영원히 돌아오지 않는데]

공여쌍수송청래(空餘雙樹送靑來)[부질없이 남은 한 쌍의 나무가 푸르름을 보내오는구나]

봉생정은 광주목사를 역임한 신응시(辛應時)[1532~1585]가 지은 「광산(光山)」이라는 시에도 등장하고, 허균(許筠)[1569~1618]의 시 「광주서사(光州書事)」에도 등장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