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138 |
---|---|
한자 | 光州學生獨立運動記念塔光州自然科學高等學校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유적/탑과 부도 |
지역 | 광주광역시 북구 능안로 30[오치동 5]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강별 |
건립 시기/일시 | 1959년 6월 10일![]() |
---|---|
건립 시기/일시 | 2011년 11월 3일 - 광주학생독립운동 기념탑[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 건립 |
이전 시기/일시 | 1976년 9월 30일 - 광주학생독립운동 기념탑[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 이전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2년 11월 - 광주학생독립운동 기념탑[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 국가보훈처 현충시설 지정 |
현 소재지 | 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능안로 30[오치동 5]![]() |
성격 | 기념탑 |
크기(높이) | 8.73m[높이] |
관리자 | 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 |
1929년 광주학생운동에 참가하여 구속되고 고문당한 광주공립농업고등학교 학생들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탑.
1926년 11월 3일 광주고등보통학교[지금의 광주제일고등학교] 학생인 장재성과 왕재일, 광주공립농업학교[지금의 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 학생인 박인생 등은 식민지 교육을 반대하고 주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조직체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성진회(醒進會)를 결성하였다.
1929년 11월 3일 시작된 1차 광주학생운동[광주학생독립운동]이 끝난 후 일본 경찰은 광주고등보통학교 학생 48명, 광주중학교 학생 8명, 광주공립농업학교 학생 11명, 광주사범학교 학생 5명 등 총 72명을 검거하였다. 그중 광주고등보통학교 학생 39명, 광주공립농업학교 학생 1명을 형무소에 가두고 소위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건, 보안법 위반의 죄명으로 기소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학생들은 2차 광주학생운동을 전개하였으며, 광주공립농업학교 학생들 또한 "철창에서 신음하는 교우를 구하자."는 구호를 외치며 시위 행진을 하다가 광주고등보통학교 앞에서 강제 해산되었다.
1959년 6월 10일 개교 50주년 기념 사업으로 광주농업고등학교 동창회에서 성금을 모아 전라남도 광주시 임동[지금의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 옛 교정에 세웠다. 1974년 9월 30일 전라남도 광주시 동구 서산동[지금의 광주광역시 북구 오치동]으로 학교가 이전함에 따라 이건하였다.
광주광역시 북구 오치동 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 안에 있다.
부지면적 902㎡에 원형의 기단 위로 4개의 사각형 기단을 쌓아 기다란 사다리꼴의 탑신을 세운 형태이다. 높이는 8.73m이며, 탑의 맨 꼭대기에는 빨간색과 파란색이 섞인 횃불 모양의 조형물이 장식되어 있다. 기단 정면에는 교복을 입고 만세를 외치며 일제에 항거하는 학생들의 모습이 동판에 조각되어 있다.
기념비에는 "1929년 11월 3일 일어난 광주학생독립운동은 일제의 굴욕적인 식민지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불평이 점차 높아가던 중 광주고보생의 일본인 중학생과의 충돌이 도화선이 되어 이 고장 광주에서 일어났던 항일독립운동이다. 이로 인해 광주농고를 비롯한 280여 명의 학생이 구속되어 많은 학생이 가혹한 고문을 당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기존에 세워진 기념탑은 교내 광주학생독립운동역사관에 보존되어 있으며, 새로운 기념탑 조성의 염원을 모아 2011년 11월 3일 기념탑을 새로 세웠다. 2002년 11월 국가보훈처 현충시설로 지정되었다.
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을 비롯한 빛고을의 젊은이들의 숭고한 독립정신과 정신을 계승하는 교육의 장으로 이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