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개봉동 느티나무 설화」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001596
한자 開峰洞-說話
영어음역 Gaebongdong Neutinamu Seolhwa
영어의미역 Tale of Zelkova in Gaebong-do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3동
집필자 김미경B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설화|도당제 유래담|금기담
주요 등장인물 조상익|도사|신랑|신부
관련지명 개웅산 지도보기
모티프 유형 개봉동 도당제의 시초|느티나무에 대한 경외와 금기

[정의]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3동에서 큰 느티나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개봉동 느티나무 설화」구로구 개봉3동 271-19번지[목감천 철산교 근처]에 위치했던 구로구의 지정보호수로서 창녕조씨(昌寧曺氏)의 선조가 심었다는 느티나무에 관한 유래담이다. 여러 가지 이야기가 함께 전해지는데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마을 도당제와 유래담이다.

[채록/수집상황]

1997년 구로구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구로구지』와 2004년 김정진이 집필하고 가람에이전시에서 발행한 『향토사수탄』에 수록되어 있으며, 『구로타임즈』 등에도 실려 있다.

[내용]

옛날 옛적에 개웅산 아래 개웅마을에서 갓난아이와 어린이와 청년뿐만 아니라 성인까지 이유도 모른 채 죽어갔다. 그러던 어느 날 창녕조씨의 후손인 조상익이라는 사람의 모친 꿈에 수염이 하얗게 센 도사가 나타나서 이르기를, 다시마를 튀겨서 산고사를 지내라고 하였다. 도사의 말대로 이 마을에 살던 당시 30여 호의 사람들이 양곡을 거두어 고사를 지냈다. 그 이후에는 이러한 변고가 사라졌다고 한다. 이것이 개봉동 도당제의 시초가 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이야기는 이 나무 앞으로는 말을 타고 지나갈 수 없다는 것이다. 옛날에 결혼을 마친 신랑과 신부가 이곳을 지나가다가 신랑이 탄 말의 다리가 땅에 달라붙어 움직이지 못했다고 한다. 이 일화는 느티나무와 관련된 또 다른 이야기와 연결시킬 수 있다. 즉 마을 사람이 장가를 가거나 시집을 오면 새 사람은 이 느티나무에 와서 꼭 인사를 하고 지나갔다는 이야기이다.

그 밖의 이야기로, 대략 70여 년 전에 제사[도당제]를 지낼 때 어느 신부가 자신이 임신한 줄 모르고 제사를 지냈다가 손가락이 여섯인 아이를 출산했다고 한다. 다른 이야기는, 1945년 광복이 되던 해 느티나무 옆에 있던 가죽나무가 갑자기 쓰러진 적이 있었다. 그 이유를 도당 할아버지가 꿈에 나타나 다른 나무에서 고사를 지냈다고 호통을 쳐서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느티나무는 둥치에서 50m 떨어진 곳에 그네를 매달아서 놀 정도로 컸으며, 어린아이 한 명이 들어가 놀 만큼 느티나무에 큰 구멍이 있었는데 밤에는 ‘우~’하는 소리가 났다고 한다. 이것은 바로 나무에 사는 구렁이가 우는 소리였다고 마을 사람들 사이에서 전해지고 있다.

[모티프 분석]

「개봉동 느티나무 설화」의 주요 모티프는 ‘개봉동 도당제의 시초’, ‘느티나무에 대한 경외와 금기’ 등이다. 개봉동 느티나무와 관련하여 여러 각편[Version]의 설화가 구전되는데, 이것은 작자가 알려지지 않은 채로 구전되는 정형화 되지 않은 설화 특유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개봉동 느티나무 설화」는 특히 신목설화와 연관시켜 설명할 수 있다. 신목이란 하늘과 땅, 그리고 신과 인간을 만나게 하는 매개체, 혹은 영혼이 깃든 매개체로서의 나무이다. 신목설화는 나무와 민속신앙과 얽혀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이다. 신목은 신비로움이 깃들어 있으므로 신성하게 여겨져서 숭배되어야 할 대상인 것이다.

개봉동에 종산을 갖고 있는 창녕조씨 집안에서 내려오는 「개봉동 느티나무 설화」는 “옛날 옛적에”라고 시작되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전승되는 민담으로 볼 수 있다. 이 이야기는 느티나무를 처음 심었다고 전해지는 조씨와 조씨의 후손 조상익이라는 사람 중심의 한 가계(家系)를 넘어서 당시 이 마을에 살던 30여 호의 사람들이 함께 양곡을 모아 도당제를 지냄으로써 마을의 집단적 공동작품으로 승화된다. 마을의 안녕과 태평을 기원하는 인간의 무의식적 구조가 굿이라는 민속신앙의 형태로 드러난 것이다.

또 다른 이야기로 이 느티나무 앞으로는 말을 타고 지나갈 수 없다거나, 마을 사람들은 장가를 가거나 시집을 오면, 즉 마을에 새 사람이 들어오면 이 느티나무에 와서 꼭 인사를 하고 지나갔다거나, 임산부가 도당제에 참여하면 장애아를 낳는다든가 하는 이야기들은 이 나무의 신성성을 믿는 마을 사람들의 집단의식이 경외와 금기를 유발하는 사회적 심층 의식과 결부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