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2664
한자 玉山書屛
영어음역 Oksan Seobyeong
영어의미역 Screen of Callingraphy by Oksan
이칭/별칭 옥산초서병풍,초서 귀거래사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강원도 강릉시 율곡로3139번길 24[죽헌동 201번지]지도보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정호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1년 12월 16일연표보기 - 옥산서병,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옥산서병,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성격 서예
제작시기/일시 1556년(명종 11) 3월연표보기
작가 이우
양식 사임당 서풍
재질 한지(韓紙)
서체/기법 초서
가로 24㎝
세로 34~42㎝
소장처 오죽헌·박물관율곡 기념관
소장처 주소 강원도 강릉시 율곡로3139번길 24[죽헌동 201번지]
소유자 강릉시
문화재 지정번호 강원도 유형문화재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서화가인 옥산(玉山) 이우(李瑀)[1542~1609]가 어린 시절에 쓴 초서로 만든 병풍.

[개설]

옥산서병(玉山書屛)신사임당의 넷째 아들이자 고산(孤山) 황기로(黃耆老)의 사위인 이우가 어렸을 때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를 초서로 쓴 글씨를 뒤에 장황하여 병풍으로 만든 것이다. 민태식(閔泰植)이 원래 자기의 소유였던 것을 1965년 강릉시에 양여(讓與)하여 율곡 기념관[현 오죽헌·박물관 내에 위치]에 기증한 것으로 병풍 말미에 그에 관한 내용의 발문이 한 폭 붙어있다.

[제작경위]

처음부터 병풍을 만들기 위하여 쓴 글씨는 아니며 원래 17매의 종이 서첩(書帖)이었던 것을 뒤에 10폭의 병풍으로 고쳐 제작한 것이다.

[형태]

원래 서첩 17매 가운데 13매는 세로 42㎝이고 나머지 4매는 세로 34㎝로 그 길이가 일정하지 않으나 가로의 크기는 24㎝로 대체로 일정한 편이다.

[구성]

옥산서병(玉山書屛)은 초서 9폭과 발문 한 폭으로 전체 10폭으로 구성된 병풍이다. 행에 따라 잘라 만든 17면을 현재 10폭의 병풍에 한 폭 당 2면씩 장황하여 제1폭부터 제9폭까지는 이우의 초서로 꾸며졌으며 제10폭에는 1965년 9월에 김순동(金舜東)이 쓴 한문·국문의 발문이 있다. 이 발문에는 친우 동교(東喬) 민태식(閔泰植)이 이 필적을 소장하다가 율곡기념관에 기탁했음을 밝힌 내용이 적혀있다.

[특징]

이우의 초서 「귀거래사(歸去來辭)」 전문(全文) 가운데 중간의 87자가 결락되어 있으며 제5폭의 9번째 면과 10번째 면 사이에는 84자가 없다.

이우는 어렸을 때 어머니 신사임당의 서체를 이어받았고 혼인 후에는 장인인 황기로의 서체를 따랐는데, 「귀거래사(歸去來辭)」 말미에 ‘丙辰暮春玉山書似(병진모춘옥산서사)’라 기록되어 있어 이우가 15세였던 1556년 3월에 썼음을 알 수 있다. 이 작품을 통해 이우의 초기 서체가 사임당의 서체를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이우의 장인이자 스승이었던 황기로이우의 초서 쓰는 법을 칭찬하며 “곱게 쓰기는 나만 못하되 웅건하기는 나보다 낫다”라고 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은 「옥산시고서」에서 ‘옥산의 글씨는 정묘하고 웅건하여 용과 뱀이 날아 올라가는 것 같아 그 글씨를 얻는 자는 저 값진 보석보다도 더 귀중히 여기는 것이다’ 라고 기록할 정도로 이우의 글씨는 높이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