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101606
한자 忠龍祠春秋享祭
영어의미역 Ritual Ceremony of Chungnyongsa Shrine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정기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의례시기/일시 음력 3월 말정일(末丁日)|음력 9월 말정일
의례장소 충룡사

[정의]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 충룡사에서 제향하는 의례.

[개설]

박세화(朴世和)·윤응선(尹膺善)·신현국(申鉉國)·정규해를 배향하고, 매년 봄(음력 3월 말정일)과 가을(음력 9월 말정일)에 음성 지역 유림들이 제향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충룡사의당(毅堂) 박세화를 봉안한 사당으로 1964년 음성 유림의 도움으로 건립되었다. 그 후 윤웅선·신현국·정규해를 추가로 배향하고 있다.

[절차]

제관은 음성군수, 부군수, 충룡사와 관련된 음성 유림 중에서 유덕한 인물로 한다. 제관으로는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 분헌관, 알자, 찬인, 직일, 집례, 축관, 봉향, 봉로, 사준, 봉작, 전작 등으로 한다. 제향은 「홀기(笏記)」에 의해 진행되는데 다음과 같다.

1. 행사(行事)

(제를 올릴 준비를 하는 예입니다)

○ 헌관은 앞줄에 세우되 북쪽을 향해 서쪽을 상위로 삼아 세우고, 집사들은 두 번째 줄에, 제생은 그 뒤에 세우시오. ○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문 안으로 들어가 동계로 올라가 제수차림을 둘러보시오. ○ 알자는 축관과 여러 집사를 인도하여 자리에 나가 북쪽을 향해 서쪽을 상위로 세 번 절을 하시오. ○ 알자는 의당 선생 신위 앞으로 나가시오. ○ 상감과 독을 열고 이어 변과 두와 보와 궤를 여시오. ○ 헌관과 제생은 모두 북쪽을 향해 두 번 절하시오. ○ 알자는 초헌관 좌측에 나가 엎드려 행사를 알리시오.

2. 행전폐례(行奠幣禮)

(제를 올리는 시작의 예입니다)

○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 남쪽에 서시오. ○ 선생 신위 앞으로 나가 북쪽을 향해 꿇어앉으시오. ○ 봉향은 헌관 우측에 나가 향합을 만들고, 봉로는 헌관 좌측에 나가 향로를 받들고 헌관은 향을 세 번 피우시오. ○ 봉향 봉로는 향합과 향로를 전 자리에 놓고 모두 내려와 제자리로 가시오. ○ 헌관은 엎드렸다가 일어나 조금 물러나 꿇어앉으시오. ○ 축관은 헌관에게 폐백을 드리시오. ○ 헌관은 폐백을 추관에게 주시오. ○ 축관은 폐백을 받아 신위 앞에 드리시오.

3. 행초헌례(行初獻禮)

(첫 번째 잔을 올리는 예입니다)

○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동쪽 계단으로 올라가 준소에 나가 서쪽을 향해 서시오. ○ 사준은 멱을 들고 잔에 술을 따르고 봉작은 잔으로 술을 받으시오. ○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의당 선생 신위 앞으로 나가시오. ○ 봉작이 잔을 헌관에서 주시고, 헌관은 잔을 잡았다가 전작에게 주시오. ○ 전작은 잔을 받아 신위 앞 서쪽 제일 첫 자리에 드리시오. ○ 봉작 전작은 다 내려오시오. ○ 헌관은 엎드렸다가 일어나 조금 물러나 꿇어앉으시오. ○ 축관은 신위 우측으로 나가시오. ○ 축관은 축판을 들고 공을 향해 꿇어앉아 축을 읽으시오. ○ 헌관은 엎드렸다 일어나 물러나 오시오.

4. 행아헌례(行亞獻禮)

(두 번째 잔을 올리는 예입니다)

○ 알자는 아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 남쪽에서 북쪽을 향해 세수하시오. ○ 사준은 멱을 들고 잔에 술을 부으시고, 봉작은 잔으로 술을 받으시오. ○ 알자는 헌관을 인도하여 선생 신위 앞으로 나가시오. ○ 봉작은 전작을 따라가시오. ○ 헌관은 꿇어앉으시오. ○ 봉작은 헌관 우측으로 전작은 헌관 좌측으로 나가시오. ○ 봉작은 잔을 아헌관에게 주시오. ○ 헌관은 잔을 잡았다가 다시 전작에게 주시오. ○ 전작은 잔을 받아 신위 앞 두 번째 자리에 드리시오. ○ 봉작 전작 다 내려오시오. ○ 헌관은 엎드렸다 일어나 내려오시오.

5. 행종헌례(行終獻禮)

(세 번째 잔을 올리는 예입니다)

○ 알자는 종헌관을 인도하여 준소 앞에 나가 남쪽에 서시오. ○ 사준은 멱을 들고 잔에 술을 부으시고, 봉작은 잔으로 술을 받으시오. ○ 알자는 헌관을 인도하여 선생 신위 앞으로 나가시오. ○ 종헌관은 꿇어앉으시오. ○ 봉작은 잔을 종헌관에게 주시오. ○ 종헌관은 잔을 잡았다가 다시 전작에게 주시오. ○ 전작은 잔을 받아 신위 앞 세 번째 자리에 드리시오. ○ 봉작 전작 다 내려와 제자리에 가시오. ○ 종헌관은 엎드렸다 일어나 내려오시오. ○ 모든 헌관은 두 번 절하시오.

6. 행분헌례(行分獻禮)

(잔을 나누어 올리는 예입니다)

○ 알자는 분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 남쪽에 서시오. ○ 분헌관은 신위 앞으로 나가 꿇어앉으시오. ○ 봉향은 향합을 받들고, 봉로는 향로를 받들고 헌관은 향을 세 번 피우시오. ○ 봉향 봉로는 향합 향로를 원 자리에 놓고 다 내려오시오. ○ 헌관은 엎드렸다가 일어나 조금 물러나 꿇어앉으시오. ○ 축관은 헌관 좌측으로 돌아가 꿇어앉으시고, 헌관은 폐백을 대축에게 주시오. ○ 축관은 폐백을 받아 신위 앞에 드리시고 제자리에 돌아가시오. ○ 헌관은 일어나 준소에 나가 서쪽을 향해 서시오. ○ 봉작 전작은 준소에 올라가 사준은 멱을 들고 술을 뜨고 봉작은 잔을 들어 술을 받으시오. ○ 알자는 헌관을 인도하여 한강 신위 앞으로 나가시오. ○ 헌관은 꿇어앉고 봉작은 우측으로, 전작은 좌측으로 나가시오. ○ 봉작은 잔을 헌관에게 주고 헌관은 잔을 받아 다시 전작에게 주시오. ○ 전작은 잔을 받아 신위 앞에 드리시오.

○ 봉작, 전작 다 내려오시오. ○ 헌관은 엎드렸다가 일어나 내려오시오. ○ 모든 헌관은 다 재배하시오.

7. 행음복례(行飮福禮)

(음복을 하는 예입니다)

○ 축관은 준소에 가서 잔으로 복주를 떠서 탁상 위에 올려놓으시오. ○ 조와 칼을 준비하여 신위 앞에 조육을 베어 조에 담아 탁상 위에 올려놓으시오. ○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음복위에 나가 서쪽을 향해 꿇어앉으시오. ○ 축관은 잔을 들어 헌관에게 잔을 주시고, 헌관은 잔을 받아 마시오. ○ 축관은 빈 잔을 받아 상에 놓고 조육 안주를 헌관에게 주시오. ○ 헌관은 조육을 받아 다시 축관에게 주고 축관은 받아들고 동계로 내려와 종자에게 주시오. ○ 축관은 내려오고, 알자는 헌관을 인도하여 내려오시오. ○ 헌관은 재배하시오. ○ 찬자는 호창하고 축관은 변두를 조금씩 옮기고 나오시오. ○ 헌관 및 모든 제생들은 절을 하시오. ○ 축관과 봉향은 들어가 상감 문을 닫으시고, 이어 독을 닫으시고, 나오시오.

8. 행망료례(行望燎禮)

(축문과 폐비를 분축하는 예입니다)

○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망료위에 나가 북쪽을 향해 서시오. ○ 축관은 선생님 앞에 폐비와 축판을 가지고 서쪽 계단으로 내려와 폐비축문과 폐백을 태우시오.

○ 원 위치로 돌아오시오. ○ 알자는 초헌관 좌측에 나가 예필을 고하고 헌관을 인도하여 나가시오. ○ 축관과 모든 집사들이 함께 양쪽 계단 배위에서 절을 하고 나가시오. ○ 집예 알자 찬자는 배위에 나가 함께 재배하고 나가시오. ○ 제사 책임자는 여러 집사를 인솔하고 다시 들어가 제물을 걷고 문을 닫고 나오시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