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901011 |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루봉로 295-3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하현미 |
설립 시기/일시 | 2005년 12월 19일 - 늘푸른집 개소 |
---|---|
현 소재지 | 늘푸른집 -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루봉로 295-3[도봉 1동 613-40] |
성격 | 사회 복지 시설 |
전화 | 02-3491-6620 |
홈페이지 | 늘푸른집(http://www.nulpurunjip.net) |
[정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는 정신 장애인 사회 복귀 지원 재활 훈련 시설.
[개설]
늘푸른집은 정신 장애인의 재활과 사회 복귀를 위해 다양한 재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하프웨이 하우스(halfway house)이다. 하프웨이 하우스란 정신 장애인이 퇴원 후 지역 사회에 원활히 적응할 수 있도록 집중적인 단기 재활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종합 훈련 시설이다. 하프웨이 하우스는 1단계인 정신 의료 기관과 3단계인 지역 사회를 연계하는 2단계 과정으로서, 정신 의료 기관에서 퇴원해 지역 사회 재활 훈련이 필요한 사람을 대상으로 초기 상담 및 평가 후에 2주간의 적응 기간을 거쳐 재활 훈련을 하게 된다. 당사자에게 거주지를 제공하고 사회 기술 훈련, 일상생활 훈련, 직업전 교육, 약물 증상 교육, 가족 교육과 상담 등을 3개월에서 6개월, 길면 1년까지 실시한 후 퇴소시킨다. 하프웨이 하우스는 서울특별시의 병원 지원형 사회 복귀 시설로서 늘푸른집 외에도 서울특별시 광진구의 누리봄, 은평구의 새오름터, 강동구의 이음이 있다.
[설립 목적]
늘푸른집은 정신 장애인을 대상으로 병원 퇴원 후 원만한 지역 사회인으로의 복귀를 돕기 위한 재활 훈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2005년 12월 19일 서울특별시립 축령 정신 병원이 서울특별시 병원 지원형 사회 복귀 시설 위탁 운영 기관으로 지정되어 정신 장애인을 위한 사회 복귀 시설인 늘푸른집을 개소하였다. 2006년 늘푸른 집 및 늘푸른집과 유사한 사회 복귀 시설인 누리봄, 새오름터, 오아시스 등이 공동 운영 방안을 구축하고 독립 재활 프로그램 사업 공동 매뉴얼 작업을 시작하였다. 2007년 하프웨이 하우스 운영 보고서를 발간했으며, 2007년 이래로 매년 병원 지원형 사회 복귀 시설 4개 기관에 대한 멘토링을 실시하고 있다. 2008년 8월 도봉구 정신 보건 기관 협의회를 발족했으며, 2009년 이래로 도봉구 정신 건강 페스티벌을 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늘푸른집의 주요 사업으로는 재활 사업, 여가 프로그램 사업, 기획 사업, 특화 사업, 단기 입소 사업 등이 있다. 이 중 재활 사업을 통해서는 사회 기술 훈련, 사회 적응 훈련, 일상생활 훈련, 직업전 교육, 긴장 이완 훈련, 약물 증상 교육, 건강한 식단 교육 등에 관한 사업이 수행되고 있다. 여가 프로그램 사업을 통해서는 주 3회 꾸준한 운동을 실시하는 ‘건강한 하루’ 프로그램과 영화 관람, 노래 교실, 음악 치료, 동아리 활동 등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기획 사업을 통해서는 생일 파티, 송년회, 명절 행사, 캠프, 격월로 외부로 나가서 여가를 직접 체험하는 아우팅(outing), 모든 프로그램을 이수한 뒤 외부 기관에 연결되어 체험하는 ‘세상 속으로’ 등에 관한 사업이 수행되고 있다. 그리고 특화 사업으로는 동물 매개 치료 사업이 시행되고 있으며 단기 입소 사업은 지역 내 만성 정신 질환자를 대상으로 2주 일정으로 진행되고 있는 사업이다.
[현황]
늘푸른집은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립 축령 정신 병원, 서울시 정신건강 증진 센터의 협력에 의해 운영된다. 서울특별시는 예산과 행정을, 서울특별시립 축령 정신 병원은 인력 지원과 함께 센터 운영에 관한 제반 사항을 지원한다. 서울시 정신건강 증진 센터도 센터 운영에 관한 제반 사항을 지원한다. 2016년 현재 전체 사업을 총괄하는 원장[정신 보건 사회 복지사] 아래에 촉탁의[정신과 전문의] 1명, 사무국장[정신 보건 간호사] 1명, 주담당 직원[정신 보건 사회 복지사] 5명을 두고 있으며, 부서는 생활 훈련, 사회 재활, 직업 재활, 위기 개입, 교육 총무 분야로 나누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