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80204 |
---|---|
한자 | 星州大橋 |
영어공식명칭 | Seongju Grand Bridge |
이칭/별칭 | 성주교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하산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진원형 |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선원리와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하산리를 연결하는 다리.
대구에서 낙동강을 지나 성주군으로 진입하는 다리이므로, 성주라는 지명을 이름에 반영하였다. 또한 장대한 다리의 규모로 미루어 대교라고 명명하였다.
성주대교(星州大橋)가 가설된 낙동강 변에는 예로부터 달성군 하빈면 하산리에서 성주대교 북쪽으로 인접한 성주군 선남면 소학리를 연결하는 하산 나루[하목정 나루]가 있었다. 나루의 명칭은 하산리의 지명을 따서 하산 나루라 하였다. 또한 나루가 있던 하산리의 낙동강 변에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었던 이종문이 1604년 세운 정자 하목정(霞鶩亭)이 있어 하목정 나루라고도 불렀다. 이곳에 1975년 성주대교가 가설되어 대구와 성주 간의 거리를 16㎞ 단축하고, 왜관을 거치지 않고 달성군 다사읍, 하빈면을 거쳐 대구와 성주 간을 곧바로 연결할 수 있게 되었다.
성주대교를 통과하는 교통량이 늘어남에 따라 1995년 기존 다리에서 남쪽으로 약 10m의 간격을 두고 왕복 2차선의 다리가 새롭게 건설되었다.
1975년 준공된 구 성주대교는 총 길이 1,050m, 총 폭 8.5m, 유효 폭 7m, 높이 10m이며, 경간 수 39개, 최대 경간장 30m로 상부 구조 형식은 PSCI형교, 하부 구조 형식은 T형 교각, 설계 하중은 DB-18이다. 1995년 준공된 신 성주대교는 총 길이 1,080m, 총 폭 9.8m, 유효 폭 8.8m, 높이 14m이며, 경간 수 18개, 최대 경간장 60m로 상부 구조 형식은 PSC 상자형교, 하부 구조 형식은 구주식 교각, 설계 하중은 DB-24이다.
성주대교는 낙동강을 건너는 길이 1㎞가 넘는 매우 긴 다리이다. 국도 30호선이 지나며 1975년과 1995년에 각각 건설된 2개의 교량이 위치하고 있다. 구 성주대교는 대구에서 성주 방향 편도 2차선, 신 성주대교는 성주에서 대구 방향 편도 2차선 노선으로 운영되고 있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북서부 지역과 경상북도 성주군을 직접 연결하는 유일한 다리로서, 2014년 성주대교의 하루 평균 교통량은 2만 1141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