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2132 |
---|---|
한자 | 大邱 黃金洞 遺跡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산70-3|황금동 25-6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김병섭 |
조성|건립 시기/일시 | 조선시대 - 대구 황금동 유적 조성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99년 4월 21일~5월 12일 - 대구 황금동 유적 발굴 조사 |
원소재지 | 대구 황금동 유적 -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산70-3|25-6![]() |
성격 | 생활 유적 |
크기(높이,길이,둘레) | 2m 이상[1·2호]|25~75㎝[3·4호] |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에 있는 조선시대 생활 유적.
대구 황금동 유적(大邱黃金洞遺跡)은 수성구 황금동~만촌동 간 도로 건설에 앞서 영남문화재연구원에서 1999년 4월 21일부터 1999년 5월 12일까지 22일간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구 황금동 유적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산70-3번지와 25-6번지에 있다. 황금동은 무학산[200m]과 두리봉[216.5m]으로 둘러싸인 산지와 산지 사이의 곡부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대구 황금동 유적은 두리봉[216.5m]에서 북서쪽으로 뻗어 내린 능선의 말단부에 있으며, 서쪽으로 경북고등학교가 있다.
대구 황금동 유적의 수혈유구는 5기 확인되었는데, 평면 형태는 부정형을 띠고 있다. 1·2호는 2m 이상의 비교적 큰 규모이나 3·4호는 25~75㎝의 소형이며, 5호는 도랑 형태를 띠고 있다. 수혈유구의 성격을 주거용으로 보기는 어려우며, 1·2·3호의 경우 내부에 소토와 목탄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생산 관련 유구일 가능성이 있다. 고상 건물지는 정면 및 측면 1칸의 방형을 띤다. 집석유구는 자연석들이 무질서하게 흩어진 형태인데, 7호 집석유구에서는 슬래그가 다량 확인되고 있어 공방지와 관련된 유구로 추정된다. 대구 황금동 유적의 유물은 대야 형태의 바리와 분청사기 대접이 출토되었다.
대구 황금동 유적은 발굴 조사 완료 후 도로가 건설되었다. 서쪽으로는 경북고등학교가 들어서면서 원형이 훼손되었으나, 동쪽으로는 두리봉의 서쪽 사면부가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대구 황금동 유적과 관련된 유적이 더욱 분포하여 있을 가능성이 높다.
대구 황금동 유적은 두리봉 서쪽 사면 말단부에 조성된 조선시대 생활 유적이다. 주변으로 관련 유적이 더 조성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수혈유구와 집석유구에서 소토와 목탄, 슬래그 등이 확인되어 생산 기능을 담당한 유적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