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0770
한자 權永祚
영어공식명칭 Kwon Yeongjo
이칭/별칭 윤부(胤夫)
분야 역사/근현대,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권대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9년 4월 13일연표보기 - 권영조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1년 - 권영조 남만주 망명
활동 시기/일시 1919년 2월 - 권영조 국내 잠입
활동 시기/일시 1919년 3월 18일 - 권영조, 영해면 3.1독립운동 참여
몰년 시기/일시 1958년 5월 24일연표보기 - 권영조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68년연표보기 - 권영조 대통령 표창 추서
추모 시기/일시 1991년연표보기 - 권영조 건국훈장 애국장에 추서
관련 사건 시기/일시 1919년 3월 18일 - 영해면 3.1독립운동
출생지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송천1길 15-32[송천리 343]지도보기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가계]

권영조(權永祚)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윤부(胤夫)이다. 1889년 4월 13일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송천리 343에서 권석섭(權錫燮)의 차남으로 태어나 권봉석(權鳳錫)에게 출계하였다.

[활동 사항]

권영조는 일찍이 한학을 공부하였다. 1911년 남만주로 망명하여 이상룡(李相龍)·김대락(金大洛)·박경종(朴慶鍾) 등과 함께 독립운동 기지 건설에 참여하였다. 1919년 2월 군자금 모집을 위해 국내에 들어왔다. 한편, 3.1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권영조의 고향 경상북도 영덕에서도 만세운동이 추진되고 있었다. 영덕 지역의 3.1운동은 서울의 독립만세운동을 목격하고 돌아온 지품면 낙평리 예수교 장로교회 조사 김세영(金世榮), 구세군(救世軍) 참위(參尉) 권태원(權泰源), 병곡면 송천리 예수교 장로교회 조사 정규하(丁奎河)·남여명(南汝明)·남효직(南孝直)·권상호(權相鎬) 등 기독교 교인들에 의해 추진되었다. 기독교인들은 3월 18일 영해면 장날을 거사일로 정하고 영덕 지역의 토착 향반(鄕班) 권(權)·남(南)·백(白)·이(李)·박(朴) 등 5성(姓)의 양반들을 설득하였다. 권영조도 3.1운동 계획에 적극적으로 찬동하였다.

권영조는 3월 18일 오후 1시경 영해면 성내리 시장으로 갔다. 시장에는 만세시위에 찬동하여 모인 사람과 장꾼 2,000여명이 있었다. 권영조는 사람들을 선도하기 위해 태극기를 흔들며 대한독립만세를 외치고 연설을 하였다. 영해주재소 주임 순사 스즈키[鈴木鶴次郞]가 해산 명령을 내렸지만, 권영조 등은 스즈키를 비롯한 일본인 순사와 조선인 순사보를 구타하였다. 나아가 일본인 순사와 조선인 순사보, 영해공립보통학교 훈도 배병렬(裵秉烈) 및 생도들에게 대한독립만세를 외치게 하였다. 그리고 영해주재소·영해공립보통학교·영해면사무소·영해우편소 등의 건물과 집기 및 서류를 파괴하였다.

3월 18일 오후 2시경 권영조는 약 200명의 시위 군중과 함께 병곡면 병곡리로 향하였다. 병곡면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많은 군중이 합세하였다. 병곡리에 도착한 시위대는 병곡주재소와 병곡면사무소 부근에서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다. 그리고 400~500명의 군중과 함께 병곡주재소와 병곡면사무소를 파괴하였다. 그러나 평해(平海)에서 증원된 일본 헌병 3명과 주재소 순사가 합세하여 총을 겨누며 위협하자 희생을 염려한 정규하의 설득으로 오후 7시경 해산하였다.

3월 19일 영해를 비롯해 병곡·창수·영덕·지품·남정면 일원에서 만세시위운동을 이어 나갔다. 하지만 3월 19일 대구 주둔 일본군 보병 60연대로부터 장교 이하 17명의 군대가 증원되었다. 증원된 군대와 합세한 헌병들이 시위대를 향해 무차별 발포함으로써, 군중들을 강제로 해산시켰다.

일본 군경의 무력 진압과 탄압으로 시위 군중 8명이 순국하고 16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관련자 다수가 체포되었다. 권영조는 소요, 주거 침입, 건조물 손괴, 문서 훼기, 공무 집행 방해로 기소되었지만, 교묘히 일본 군경의 경계망을 피하여 대구를 거쳐 만주로 건너갔다. 권영조는 궐석 재판으로 징역 4년을 선고받았다. 권영조대한민국임시정부와 연결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다가 1946년에 귀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8년 대통령표창,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