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0034
한자 地質
영어공식명칭 Geological Features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희만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에 나타나는 지질 구조나 암석의 분포 상태.

[개설]

경상북도 영덕군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부터 중생대 초기·중기·말기, 신생대까지 영덕군 전역에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중앙부·서부 및 북서부 지역, 북서부· 중동부·중남부 지역, 북동부·남동부 해안 지역으로 구분되며, 지질구조선[지질 구조가 다른 두 지역의 경계를 이루는 선]도 남북 방향으로 3~4개 정도 나타나고 있다. 지질 구조가 다른 두 지역의 경계를 이루는 선. 일반적으로 조산대를 가로지르거나 구분하여 주는 큰 규모의 단층을 이른다.

[지질 시대별 분포]

경상북도 영덕군의 지질을 시대별로 살펴보면 가장 오래된 지질은 선캄브리아기의 흑운모편마암이다. 다음에는 중생대 초기인 트라이아스기의 각섬석화강암이며, 중기인 쥐라기의 장사동화강암이 분포한다. 그리고 중생대의 말기인 백악기에는 퇴적암인 경상누층군 울련산층[오천동층]의 자색 셰일과 자색 사암 및 역암이 영덕군 전역에 많이 분포한다. 또 신라층과 낙동층의 적색 사암층도 널리 분포한다. 백악기 말에는 화강암이 관입하여 불국사층군의 온정리화강암이 분포하며, 말기에는 화산 활동도 있었다. 이러한 화산 관련 암석으로는 불국사층군의 석영반암, 신라층군의 보경사반암류와 지경동화산암류, 신라층군의 입봉반암층, 불국사층군의 각력질안산암이 곳곳에 분포한다. 그리고 가장 최근인 신생대에는 얕은 해저에서 퇴적된 제3기층으로 영동층과 영해역암층, 도곡층 등이 해안의 평야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지질 지역별 분포]

경상북도 영덕군을 지역별로 보면 첫째, 중앙부와 서부 및 북서부 지역은 각섬석화강암이 대부분이다. 둘째, 북서 지역과 중동부 및 중남부 지역은 중생대 백악기의 울련산층의 퇴적암이 주로 분포한다. 셋째, 북동부 내륙과 남동부 해안 지역에는 백악기 관입암인 불국사화강암이 분포한다. 그 외 흑운모편마암과 석영반암, 보경사반암류와 지경동화산암류, 장사동화강암, 입봉반암층, 안산암 등이 소규모로 분포한다.

지역적으로 가장 넓게 분포하는 지질은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의 각섬석화강암으로 중앙부에서 서부 및 북서부 지역인 지품면창수면, 영해면, 그리고 영덕읍 화천리·화수리·화개리·우곡리, 축산면 대곡리칠성리 일대에 분포한다. 그다음으로는 중생대 백악기의 울련산층인 자색 셰일과 자색 사암 및 역암이 많이 분포하는데, 영덕 북서 지역인 창수면 갈천리·인천리·수리·삼계리, 병곡면 금곡리, 중부의 동쪽 지역인 축산면 기암리축산리, 영덕읍 화전리남산리, 지품면 삼화리오천리, 달산면 용덕리·용전리·덕산리, 강구면 상직리·금호리·하저리, 남정면 중화리에 주로 분포한다. 그리고 백악기 불국사층군의 온정리화강암은 영덕 북동 지역인 병곡면 금곡리와 영덕 남동부 해안 지역인 영덕읍 오보리창포리·대부리·금진리, 강구면 하저리·삼사리 일대에 분포한다. 또한, 영덕 중동부 해안 지역인 영해면 대진리괴시리, 성내리 일대에는 선캄브리아기의 흑운모편마암이 분포하며, 축산면 상원리에는 불국사층군의 석영반암이 좁게 분포한다. 남서부의 포항시 북구 내연산과 접경 지역에는 백악기 신라층군의 보경사반암류와 지경동화산암류 등이 분포하며, 동쪽에는 낙동층군의 가송동층과 쥐라기의 장사동화강암이 분포한다. 그리고 달산면 주응리 일대에는 신라층군의 입봉반암층이 분포하며, 주왕산국립공원과 인접한 달산면 일부는 백악기 신라층군과 낙동층군의 적색 사암층이 분포하며, 지품면 일부에는 불국사층군의 각력질안산암이 분포한다.

[지질구조선]

경상북도 영덕군의 지질구조선은 남북 방향으로 3~4개 정도 나타난다. 지품면 도계리에 일직선상으로 분포하고, 창수면 신기리에서 영해면 대리~축산면 조항리~축산면 대곡리로 이어지는 지질구조선도 있다. 달산면 대지리에서 남정면 사암리로 이어지는 남북 방향의 지질구조선과 창수면 신기리에서 영덕읍 화천리로 이어지는 것이 있다. 또한, 영해면 괴시리에서 축산면도곡리~상원리~고곡리, 영덕읍 매정리에 걸쳐서 해안과 나란한 구조선이 발달해 있다.

[참고문헌]
  • 『영덕군지』 (영덕군지편찬위원회, 2002)
  • 국토지질정보(https://data.kigam.re.kr/mgeo)
  • 영덕군청(https://www.yd.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