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영덕 장육사 지장보살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0386
한자 盈德藏陸寺地藏菩薩圖
영어공식명칭 Painting of Ksitigarbha Bodhisattva of Jangyuksa Temple in Yeongdeok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장육사1길 172[갈천리 120]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병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764년연표보기 - 「영덕 장육사 지장보살도」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2005년 11월 7일연표보기 - 「영덕 장육사 지장보살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74호로 지정
현 소장처 「영덕 장육사 지장보살도」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장육사1길 172[갈천리 120] 장육사지도보기
성격 불화
소유자 장육사
관리자 장육사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74호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갈천리 장육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불화.

[개설]

「영덕 장육사 지장보살도(盈德藏陸寺地藏菩薩圖)」는 장육사 대웅전 내부 우측 벽면에 봉안된 탱화이다. 1764년(영조 40)에 조성된 조선 후기 불화이며, 2005년 11월 7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강조된 본존 주위를 조그맣게 묘사된 많은 권속들이 둥글게 에워싼 구도를 취하고 있으며, 장식문양 및 화사한 채색과 여러 곳에 금채를 사용하는 등 장식성이 돋보인다. 지장보살은 인도의 토신(土神)에서 유래한 보살이고, 땅은 만물을 생장시키는 위대한 힘을 갖고 있다. 이처럼 지장보살은 죽은 사람들의 죄를 구제하고, 지옥에 떨어져 고통에 허덕이는 중생들을 안락한 정토나 해탈의 길로 인도하는 보살이다.

[특징]

중앙의 주존인 지장보살은 비구(比丘) 형상으로 삭발을 하고 있고, 손에는 석장(錫杖)과 투명한 보주(寶珠)를 지니고, 천의(天衣) 대신 가사를 입고 있으며 결가부좌를 하고 있다.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좌우에는 도명존자와 무독귀왕, 명부시왕과 판관, 녹사 등의 권속을 표현하였으며, 상단에는 이부동자와 보살을 묘사하고 있다. 화면 여러 곳에 금채를 사용하는 등 장식성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1764년에 조성되었다.

[의의와 평가]

문양이나 채색이 조선 후기 불화의 특징을 잘 표현하고 있을 뿐 아니라, 불화의 조성 시기가 확인되어 조선시대 불화 제작 시기를 밝혀주는 기준이 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