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0648
한자 李能一
영어공식명칭 I Neungil
이칭/별칭 능문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왕족·호족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시대 고려/고려 전기
집필자 김명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사당|배향지 성산재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1길 35-6[경산리 329]지도보기
성격 무신
성별
본관 성산

[정의]

고려 건국 초기 성주 지역의 호족이었던 성산 이씨의 시조.

[개설]

이능일(李能一)성산 이씨(星山李氏)의 시조로서 대략 10세기에 생존 및 활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성산 이씨벽진 이씨(碧珍李氏), 성주 이씨(星州李氏), 광평 이씨(廣平李氏), 경산 이씨(京山李氏), 가리 이씨(加利李氏)와 함께 경상북도 성주 지역을 본관으로 하는 성주 6리(李)의 하나이다.

[가계]

이능일의 선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문중에서는 신라 말 왕건(王建)과 견훤(甄萱)이 패권을 다툴 때 이능일이 왕건이 승리하도록 적극적으로 도우며 성주의 지역 세력으로 자리 잡았다고 한다. 성산 이씨 문중에서는 925년의 『고려사(高麗史)』에 등장하는 고울부(高鬱府)[현 경상북도 영천시 일대] 장군 능문(能文)이 성주에 자리 잡은 지역 세력인 이능일과 동일 인물이라고 한다. 고려 말에 중앙에서 이름을 알린 이능일의 후손으로는 14세손 이여량(李汝良)이 있다.

[활동 사항]

이능일이라는 이름은 일반적인 사서(史書)에서는 기록이 나오지 않지만, 『고려사』 925년(고려 태조 8) 10월조에 비슷한 이름인 능문(能文)이 발견된다. 이능일의 초명이 능(能) 또는 능필(能弼)이던 것을 고려 태조 왕건이 필(弼)자를 삼한 통일(三韓統一)을 상징하는 일(一)자로 개사(改賜)하여 능일(能一)로 부르게 했다고 한다. 또한 경상북도 성주군의 옛 사정을 잘 기록해 놓은 『성산지(星山誌)』에도 이능일의 활동 사항이 간략히 기술되어 있다. 이능일은 성산, 즉 현재의 경상북도 성주군에 터를 잡고 성산 이씨 시조가 되었으며, 왕건을 도운 공로로 고려개국벽상공신(高麗開國壁上功臣)으로서 벼슬이 삼중대광사공성산부원군(三重大匡司空星山府院君)에 이르렀다고 한다. 성산 이씨 문중에서는 능문과 이능일이 동일 인물이라고 한다.

[상훈과 추모]

성산 이씨 시조인 이능일 추모 행사는 문중이 주관하며,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 329번지성산재(星山齋)에서 춘추 향사(春秋享祀)로 거행되고 있다. 성산재는 1680년(숙종 6)에 조성되었으며, 이후로 여러 번의 중수 및 정비 사업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구내에 이능일이 사용했다고 하는 우물인 이공신정(李公神井)이 있다. 이능일의 유허비[신비(新碑)]는 2008년에 세웠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