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0522
한자 倻溪先生文集
이칭/별칭 『야계집』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이미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816년연표보기 - 『야계선생문집』 편찬
간행 시기/일시 1924년 - 『야계선생문집』[중간본] 간행
성격 시문집
저자 송희규(宋希奎)
편자 송지문(宋之汶)|이사정(李師靖)
간행자 송능겸(宋能謙)
권책 3권 2책
행자 10행 18자
규격 31.5 ×22.0㎝
어미 내향이엽화문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
권수제 야계선생문집(倻溪先生文集)
판심제 야계선생문집(倻溪先生文集)

[정의]

1924년 성주 봉강서원에서 간행된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송희규의 시문집.

[저자]

송희규(宋希奎)[1494~1558]는 본관은 야로(冶爐), 자는 천장(天章), 호는 야계산옹(倻溪散翁)이다. 아버지는 부사직 송방현(宋邦賢)이다. 1513년 향시에 합격하고 이어 1519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병조좌랑·현풍현감·호조정랑 등을 지내고, 1534년 흥해군수가 되었다. 이때 옥산(玉山)에 있는 이언적(李彦迪)과 왕래하면서 교분을 두텁게 하였으며 선정관(善政官)으로 뽑혀 1급이 승진되었다. 1543년 이후 장령·상주목사·집의를 역임하였고, 유희춘(柳希春)과 함께 윤임(尹任)을 옹호하다가 파직당하였다. 1545년 대구도호부사로 복직하였고, 이듬해 예빈시정이 되어 문과중시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547년 장령으로 왕의 외숙인 윤원형(尹元衡)의 전횡을 탄핵하여 상소하다가 유배당하였다. 그 뒤 풀려나와 고산(高山)에 집을 짓고 스스로 야계산옹이라 이름하였다. 효우(孝友)가 두터워 사후 4년 뒤에 조정에서 정려와 효우비를 세워주었으며, 1565년에 조정에서 내리는 임명장인 직첩을 환급받았다.

[편찬/간행 경위]

송희규의 시문은 사후 200여년 동안 대부분 흩어져서 없어져 버렸고 약간의 유문 및 연보만이 남아 있었는데, 송희규의 9세손 송지문(宋之汶)[1747~1824]이 화암(華巖) 이사정(李師靖)[1724~1788]에게 유문 수습과 연보 교감을 부탁하여 1787년에 2권 2책의 완고본을 만들었고, 이를 송희규의 12세손 송능겸(宋能謙)[1774~1849]이 1816년에 정종로(鄭宗魯)의 서문을 받아 목활자로 인쇄하여 펴냈으니 이것이 『야계선생문집』 초간본이다. 이후 1898년에는 15세손 송기선(宋祺善)[1833~1917]이 기존의 연보를 보완하고, 이후 송기선의 아들 송준필(宋浚弼)[1870~1940]과 14세손 송홍눌(宋鴻訥)[1878~1944]등이 송희규의 시문 관련 자료를 모아 전체 3권 2책으로 문집을 다시 편찬하고 장석영(張錫英)의 발문을 받아 1924년 성주 봉강서원(鳳岡書堂)에서 목판으로 간행하였으니 바로 중간본이다.

[형태/서지]

3권 2책의 목판본이다. 1면 10행에 1행의 자수는 18자이다. 크기는 31.5 ×22.0㎝, 반곽의 크기는 21.2×17.8㎝이다. 상하이엽화문어미(上下二葉花紋魚尾)이다. 권수제와 판심제는 모두 ‘야계선생문집(倻溪先生文集)’이다.

[구성/내용]

권수에는 정종로(鄭宗魯)의 서문과 목록(目錄), 세계(世系), 연보(年譜), 송기선(宋祺善)의 연보후지(年譜後識)가 실려 있다. 권1에는 부(賦) 6편, 시(詩) 8제, 계사(啓辭) 2편, 책(策) 3편, 서(書) 1편, 논(論) 3편, 잠(箴) 1편, 제문(祭文) 1편, 비(碑) 1편, 유사(遺事) 1편이다. 부는 「소학(小學)」의 가르침에 대한 실천 의지를 엿볼 수 있는 「소학부(小學賦)」와 참된 선비의 존재를 고대하는 진유부(眞儒賦) 등이 있고, 시의 경우 이현보(李賢輔)에 대한 만시(輓詩) 및 이황에 대한 차운시 등 수록양이 비교적 적은 편에 속한다. 윤원형(尹元衡)의 축출을 위한 「청출윤원형계(請黜尹元衡啓)」, 혼인, 상제, 의복, 음식 등에 대한 문제 해결법을 제시한 「혼인상제궁실의복음식책(婚姻喪祭宮室衣服飮食策)」, 조카에게 청량산(淸凉山) 유람을 권하는 「기종자사(寄從子師)」, 선비가 중시해야 할 의리를 강조한 「오백의사종전횡론(五百義士從田橫論)」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그 외 스승 행정(杏亭) 도형(都衡)에 대한 제문, 송순(宋純)에 대한 유애비명(遺愛碑銘), 그리고 종조숙부(從祖叔父) 송석충(宋碩忠)에 대한 유사(遺事)가 있다. 권2~3은 부록(附錄)이다. 권2에는 저자의 손자 송유경(宋惟敬)이 쓴 저자의 이력을 비롯하여 행장(行狀), 묘지(墓誌), 여각비음기(旌閭碑陰記), 묘비명(墓碑銘), 만장(輓章), 증유(贈遺), 시장(諡狀) 등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3에는 「제현사실척록(諸賢事實摭錄)」, 「이동고정묘주의(李東皐丁卯奏議)」, 「이율곡옥당차(李栗谷玉堂箚)」, 「동화록(同禍錄)」 등 다른 전적에 실려 있는 저자 관련 기록 20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말에는 1787년에 지은 이사정(李師靖)의 발문과 1924년에 지은 장석영(張錫英)의 발문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주로 효제(孝悌), 충신(忠信) 등 유교와 관련한 내용과 내우외환(內憂外患)에 대한 대비책 등 당시 성주 지역 선비들의 국가에 대한 관심도와 예학에 대한 교화책 등을 엿볼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https://db.itkc.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