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0502
한자 五服沿革圖
영어공식명칭 Diagrams for Historical changes about Five systems of Funeral garments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추제협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617년연표보기 - 『오복연혁도』 편찬
간행 시기/일시 1629년 - 『오복연혁도』 간행
소장처 청사 도서관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청사도서관길 13[경산리 229]지도보기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운중동 490]
성격 고전적|고문헌
편자 정구(鄭逑)[1543~1620]
간행자 이윤우(李潤雨)[1569~1634]
권책 1책
행자 10행
규격 33.1×22.8㎝
권수제 오복연혁도(五服沿革圖)
판심제 오복연혁도(五服沿革圖)

[정의]

성주 출신 학자인 정구가 다섯 가지 상복(喪服)에 관한 연혁도(沿革圖)를 그린 예학서.

[개설]

『오복연혁도(五服沿革圖)』정구가 주희(朱熹)와 그의 제자 황간(黃幹)과 양복(楊復)에 의해 편찬된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의 『의례상복도식(儀禮喪服圖式)·오복도(五服圖)』를 참고하여 참최(斬衰), 제최(齊衰), 대공(大功), 소공(小功), 시마(緦麻)의 다섯 가지 상복(喪服)에 관한 역대 연혁을 정리하고 제자인 이윤우(李潤雨)[1569~1634]가 이를 표로 그려 20첩(帖) 25목(目)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저자]

정구(鄭逑)[1543~1620]는 자가 도가(道可), 호가 한강(寒岡)이다.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김굉필(金宏弼)의 외증손이다. 이황(李滉)과 조식(曺植)의 문하에 출입했고, 1573년 예빈시 참봉을 거쳐 창녕현감, 형조참판, 안동부사, 대사헌 등을 역임했다. 벼슬에서 물러난 뒤 성주, 대구 등에서 강학활동을 하여 많은 제자를 길렀으며 유종(儒宗)으로 추앙받았다. 사후 영의정으로 추증되었고 시호는 문목(文穆)이다.

[편찬/간행 경위]

1617년 가을에 저자가 편찬하고 당시 담양도호부사로 있던 제자 이윤후가 저자 사후 1629년에 이를 초간했다. 이후 1664년에 전라감사 정만화(鄭萬和)와 용담현령인 홍석(洪錫)에 의해 재간되었다.

[형태/서지]

1책의 목판본(木版本)이다. 판식은 사주 단변(四周單邊)으로, 계선이 있으며, 어미는 없다. 크기는 33.1×22.8㎝, 반곽의 크기는 26.0×18.2㎝이다. 1면 10행에 1행의 자수는 일정하지 않다. 권수제와 판심제는 ‘오복연혁도(五服沿革圖)’이다. 장정법은 선장본(線裝本)이며, 지질은 저지(楮紙)[닥종이]이다. 현재 성주의 청사 도서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등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오복연혁도』는 35개의 도식으로 되어 있다. 군신(君臣)과 관련된 복제 7개 도식, 본종(本宗)과 관련된 1개 도식, 위인후자(爲人後者), 출가녀(出嫁女)과 관련 복제 7개 도식, 모당(母黨)·부당(夫黨)·처당(妻黨)과 관련 복제 6개 도식, 기타 복제 14개 도식이다. 이는 『의례상복도식·오복도』의 18개 도식을 모두 수록하고 설명만 있던 「무복위위도(無服爲位圖)」를 도식화하고 『의례상복도식·오복식』에 수록되었던 「조복도(弔服圖)」를 옮겨 개정 및 보완했다. 또한 『가례』에 있던 「삼부팔모복도(三父八母服圖)」에서 ‘삼부(三父)’에 해당하는 계부(繼父) 내용과 ‘팔모(八母)’에 해당되는 내용을 「계부복도(繼父服圖)」와 「십모복도(十母服圖)」로 분리 개정하여 수록했다. 여기에 기존에 없던 13개의 도식을 새롭게 작성하여 추가했다.

[의의와 평가]

16세기 『의례경전통해』의 유입과 함께 본격화된 사가례(私家禮) 연구는 고례(古禮)의 정신에 따라 『가례』를 보완하는 성격이 없지 않았다. 정구『오복연혁도』는 이러한 전통을 이어받아 이를 새롭게 해석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준 조선 최초의 예학서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