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계역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0283
한자 踏溪驛
영어공식명칭 Dapgye Posthouse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학산리
시대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정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폐지 시기/일시 1896년 1월연표보기 - 답계역 폐지
관할 지역 답계역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학산리 답계[댁기] 마을지도보기

[정의]

고려·조선시대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학산리에 있던 역참.

[개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성주목(星州牧) 북쪽 10리[약 4㎞]에 있었다. 조선 시대에는 김천도(金泉道)에 소속되어 있었다.

[관련 기록]

답계역(踏溪驛)은 고려 시대에는 22역도 중 경산부도(京山府道)에 속했고,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는 김천도에 속하는 것으로 나온다. 『경국대전(經國大典)』과 『대전회통(大典會通)』에도 이 내용은 바뀌지 않았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대마(大馬) 1마리, 기마(騎馬) 2마리, 복마(卜馬) 2마리, 역리(驛吏) 45명, 역노(驛奴) 18명, 역비(驛婢) 3명이 배속되어 있다. 1832년에 간행된 『성주목읍지』에는 대마 1필, 기마 3필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고, 역리, 역노, 역비에 대한 내용은 없다. 북쪽으로 개령의 부창역참까지 30리[약 12㎞], 남쪽으로 성주의 안언역참까지 30리 떨어졌고, 현 위치로는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학산리이다.

[변천]

1896년(고종 33)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역들이 전국적으로 폐지될 때 함께 폐지되었다.

[의의와 평가]

우리나라 역제는 고려 초부터 시작되었는데, 답계역은 규모는 작아도 가장 일찍 설치된 역 중 하나로 조선 시대 말까지 유지되었던 역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